KCI등재
670년대 이후 고구려 유민과 신라‧당 관계 = Relations between refugees of Goguryeo and Tang‧Silla in the 670s
저자
김강훈 (사동중학교 교사)
발행기관
학술지명
중원문화연구(Journal of Jungwon Yongu(Bulletin of th Institute for Jungwon Culture))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9-178(30쪽)
제공처
서북한 일대에서 활동한 고구려 부흥군은 673년 윤5월 호로하 서쪽에서 당군에게 크게 패하였다. 황해도 일대에서 부흥운동에 참여하고 있던 고구려 유민들은 근거지를 상실하고 육로와 해로를 통해 신라 영역인 영서 지역 및 경기 서부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신라는 이들을 대양성, 동자성 등에 배치하여 군사적으로 활용하였다. 673년 후반 신라와 당의 전투는 신라로 이주한 고구려 유민을 둘러싼 양국의 갈등에서 발생한 것이었다. 이후 신라는 고구려 유민을 지금의 익산 지역인 금마저 일대로 집단 안치하였다.
674년은 나당전쟁의 소강기였다. 당시 안동도호부는 요동성에서 평양성으로 다시 옮겨져 있었다. 674년 2월 안동도호는 고간에서 굴돌전으로 교체되었으며, 비슷한 시기에 안동부도호가 사망하는 일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670~673년 서북한 일대에서 전염병이 창궐하여 당군이 피해를 입은 사실이 「육효빈신도비」를 통하여 확인된다. 고구려 유민도 전염병을 비켜 갈 수 없었다. 안동도호부 수뇌부의 일시적 부재와 전염병의 유행은 674년에 나당전쟁이 소강기를 맞는 하나의 배경이 되었다.
신라가 고구려 유민 집단을 받아들이고 금마저에 집단 안치한 것은 당이 원정군을 신라에 파견하는 이유가 되었다. 이에 신라는 674년 9월 안승을 보덕왕으로 책봉하여 고구려 유민을 수용하였다는 사실을 희석시켜 당과의 충돌을 피하고자 하였다. 한편 670년대 후반 요동 지역의 정세는 여전히 불안정하였다. 신라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안승과 신라 왕실 여성의 혼인을 추진하여, 고구려 유민을 회유하는 동시에 신라 체제 내로 흡수하고자 하였다.
결국 신라는 집권 체제 구축을 위해 보덕국을 해체하였다. 이때 내부한 지 10년이 된 고구려 유민은 완전한 신라민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논리가 작동하였다. 이에 683년 안승은 신라 관등과 김씨 성을 사여 받고 경주로 이거하게 되었다. 금마저의 고구려 유민은 보덕국 해체에 따른 심리적 상실감과 부세 면제 혜택 종료에 따른 경제적 여건의 악화로 684년 반란을 일으키게 되었다.
The Army for Revival of Goguryeo suffered a major defeat by Tang armies on the west of Horoha river in May 673. Accordingly, refugees of Goguryeo migrated to Silla by land and sea. Silla deployed them in Yeongseo area and western Kyeong-gi Province and utilized them militarily.
Tang armies fighting the army for Revival of Goguryeo were damaged by the epidemic. And in early 674, the head of Andong Protectorate was temporarily absent. These were the backgrounds that the Tang-Silla War enters a temporary lull in 674.
Refugees of Goguryeo was settled in Geummajeo. Tang used this as an excuse to attack Silla. Silla appointed Anseung as King Bodeok and married him to a woman of the Silla royal family. This was a consideration of Silla-Dang relations.
In the end, the Bodeokguk was dismantled for a highly centralized system of Silla’s government. As tax exemption for a period of ten years ended, refugees of Goguryeo had to become Silla people. Refugees of Goguryeo in Geummajeo revolted in 684 due to psychological loss and worsening economic conditions resulting from the end of tax exemptio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