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어와 중국어 외래어 차용에서 본 문화적 차이 = Cultural Differences Reflected in the Borrowed Words in Chinese and Korean
저자
이정자 (중국청도대학)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060.0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5-56(22쪽)
제공처
中國與韓國從歷史與地理角度來看是近隣, 他們都有强大的文化同化力. 在5千年的漫長歷史中, 這兩個民族曾多次遭到外國列强的侵略和蹂란. 然而他們現在能구屹立在世界民族之林, 成爲文化大國, 其重要的原因就在于他們宏揚了自己燦爛的文明和文化, 卽民族的魂.
語言是文化的一部分, 語言又是創造文化和傳播文化的工具. 語言不僅僅是交際的手段, 也是民族精神文化的根源. 所以說, 語言的汚染也會導致精神健康的失調.
隨着科學技術的迅猛發展和政治環境的變化, 國家與國家之間, 民族與民族之間在政治, 經濟, 文化, 科技等領域的交流日趨頻繁. 朝鮮王朝世宗大王與集賢殿學者共同創製的, 被UNESCO指定爲世界文化遺産的漢文也好, 被칭爲光芒四射的東方文明之塔的漢字也罷, 如今都面臨着外來語的强烈襲擊和影響.
羅常培在他的"語言和文化"一書中指出 : "語言本身固然可以反映出歷史的文化色彩, 但遇到和外來文化接觸時, 타也可以吸收新的成分, 幷將舊有的유合在一起. 所謂外來語就是一國語言里所流入的外來成分. 타可以表現兩種文化接觸后在語言上所産生的影響 ; 反過來說, 從語言的유合也可以窺察文化的交流."
1. 韓國語中的外來語
在韓國, 近궤年外來語可謂到了氾濫成災的地步, 以至使用同一語言的中國僑胞返回故里時, 語言交際都受到一定程度的阻碍. 從文化部長官到普通百姓, 從響下人到小學生궤乎人人都是開口不離外來語, 傳播媒體更是首當其衝. 英語時모論, 英語優越論, 英語現實論十分盛行. 最近韓國語英語共用論又引起陣陣風波. 這無疑是對韓國語的嚴重汚染化挑戰. 主張國語純化論的學者及關心, 熱愛韓國語的所有的人對此우心重重, 大力抵制, 但收效甚微.
筆者認爲, 整治外來語汚染的對策之一是 : 塡充本民族語中空白的外來語可以接受 ; 外來語比固有詞更能確切地表達同一槪念時, 可適當地使用 ; 相應的本族語能表達同樣的思想, 絶不用外來語. 關鍵在于, 要制定出面向未來的長期的明確的語文政策, 不學或少學"邯鄲之步", 在外來語借用問題上也應弘揚韓國人在物質文明方面表現出來的"身土不二"的愛國精神.
2. 漢語中的外來語和中華文化中心觀
漢語是以漢文化爲主的中華文化的表現形式. 타儲存着中華民族在歷史發展過程中創造積累起來的各種文化. 漢語中的外來語極少. 中國人在必需使用外來語時, 董量避免音譯, 卽使音譯也在譯音上加形符, 或是半音譯, 但更多的是採用音譯, 使外來語"八響隨俗", 同化, 卽外來語中國化.
由于漢字的結구, 形意結合, 可見形望義, 漢語中的外來語也易識別, 熟悉幷儲存. 但也有人批評這種作法是中華文化中心觀在作崇, 阻碍中國的現代化進程, 阻碍與國際化, 標準化和規範化的世界主流接軌.
總之, 韓國和中國都應明確外來語在本國語中的地位, 切不能本末倒置, 使本國語成爲外來語的宗屬語.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