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AI 창작 음악교육이 초등학생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I-Based Create Music Education on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저자
신기호 (한국교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3-249(17쪽)
제공처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AI-based music composition clas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toward Music Education. Specifically, it analyzes changes in students’ interest, self-efficacy, learning engagement, and attitudes toward participation in music classes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f pre- and post-intervention surveys.
Method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91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A four-session music class utilizing an AI-assisted composition tool was implement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re- and post-class surveys. The survey included 30 items: six demographic questions, one multiple-response question on music activity preferences, and 23 questions using a 5-point Likert scale. Data analysis involved paired-sample t-test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effect size analysis using Cohen’s d.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found in overall student perceptions following the AI-based music composition class. Particularly notable were large increases in responses to items such as “I think composing music is easy”, “I wish there were more music classes” and “I want to perform better in music class than in other subjects.” The question on composition perception (Q7) showed a very large effect size (Cohen’s d = 1.75), suggesting that AI tools effectively reduced psychological barriers to music creation and expanded students’ creative experiences. However, certain items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due to high pre-test scores, highlighting the need to consider initial perception levels and potential variability among student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integrating AI-based creative music education into classrooms can positively influence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self-efficacy,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attitudes beyond mere technological incorporation. This study also highlights the educational value and potential for the expansion of AI-driven creative music instruction, providing foundational insights for developing integrated education models that bridge music, AI literacy, and other subject areas.
연구목적: 이 연구는 인공지능(AI) 기반 음악 창작 수업이 초등학생의 음악 교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음악 교과에 대한 흥미, 자기효능감, 학습 몰입 및 참여 태도의 변화를 중심으로 수업 전후의 인식 변화에 대해 양적 연구를 거쳐 검토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191명이며, 인공지능 작곡 도구를 활용한 4차시 AI 창작 음악 수업을 실시하고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학습자를 구분하는 6문항과 음악 활동 선호의 복수응답 1문항, 이 중 5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한 23개 문항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정과 Pearson 상관분석, 기술통계 및 효과크기(Cohen’s d) 분석을 통해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수집된 데이터 분석 결과에서 전반적인 인식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특히 「나는 작곡이 쉽다고 생각한다」, 「나는 음악시간이 더 많았으면 좋겠다」, 「다른 과목보다 음악을 더 잘하고 싶다」 등의 문항에서 큰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 중 Q7 문항(작곡 인식)의 Cohen’s d는 1.75로 매우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AI 도구가 작곡 활동에 대한 심리적 진입 장벽을 완화하고 창작 경험을 확장시키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했음을 시사한다. 반면 일부 문항은 높은 사전 평균값으로 인해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수업 전 학습자의 인식 수준과 변동 가능성 간의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AI 기반 음악 창작 수업이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서 학습자의 내적 동기, 자기효능감, 몰입 및 참여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 음악교육에서 AI 도구를 활용한 창작 중심 수업의 교육적 가치와 확장 가능성 제공하며, AI 리터러시와 음악 중심 타 교과 간의 융합 교육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