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임계적 공공성과 공공예술 = Critical Publicness and Public Ar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43-175(33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공공예술은 모두를 위한 예술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공공성이 자유롭고 평등한 모두의 접근을 허용하는 개방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공공성을 평가하는 일은 곧 ‘배제’의 흔적을 살피는 일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배제된 존재를 규정하는 서발터니티라는 개념을 먼저 살펴본다. 여기서 서발터니티는 ‘임계’와 ‘전복성’을 드러낼 것이다. 이것은 공공예술계 내부의 전복성과, 공공예술이 작동하는 사회를 향한 전복성과 연결된다. 이어서 이러한 임계와 전복성의 감각을 드러내는 데 예술이 특화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서발터니티가 ‘장소성’과 관련되는데, 공공예술도 장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두 개념은 연결될 여지가 많다.
서발터니티의 장소성은 주로 주변, 경계 등과 결부된다. 그래서 서발터니티의 장소는 경계지와 밀접한 연관을 맺기 마련이다. 그 대표적인 장소가 관문도시다. 따라서 이 글은 서발터니티의 장소성을 드러내면서, 이 글이 작성되고 있는 관문도시 부산의 서발터니티를 추적하고 있다. 그 교점에서 완월동을 다루는 부산의 공공예술 사례가 언급된다. 이 글은 여기서 더 나아가 공공예술 전체가 그런 장소성을 주요한 임계의 감각으로 활용한다는 것을 언급함으로써 다양한 공공예술의 사례와 임계적 공공성의 등장을 설명한다.
결과적으로 공공예술은 임계의 감각을 활용하여 새로운 감각을 보여주고, 이를 통해 새로운 의미 생성을 요구한다. 이는 기존 공공성에 임계를 제공하여 특정 지역과 사회에 새로운 공공성을 창출하도록 촉구한다. 이 지역과 사회의 스펙트럼은 매우 유동적이고 중층적이다. 공공예술은 임계적 공공성을 근간으로 합리성 중심의 공론장을 넘어설 뿐만 아니라, 합리적 공공성에 우선한다. 그러므로 공공예술의 공공성은 임계적 공공성에 대한 감각 없이 자신의 공적 역량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다.
Public art is nicknamed art for everyone. This is because publicness has openness that allows free and equal access to all. In that case, evaluating publicness means examining traces of ‘exclusion.’ In this way, this article first examines the concept of subalternity, which defines excluded beings. Here, subalternity will reveal its ‘criticality’ and ‘subversiveness.’ This will be connected to the subversiveness within the public art world and the subversiveness toward the society in which public art operates. Next, this article shows that art specializes in revealing this sense of criticality and subversiveness. In particular, since subalternity shows that it is related to ‘placeness,’ there are many public art works that are connected to placeness.
Placeness of subalternity is mainly associated with marginal places or boundaries. Therefore, places of subalternity are closely related to borderlands. The representative place is the gateway city. Therefore, this article reveals the placeness of subalternity and traces some of the subalternity of Busan, the gateway city where this article is written. At that intersection, an example of public art in Busan dealing with Wanwol-dong is mentioned. This article goes further to explain various examples of public art and the emergence of critical publicness by mentioning that public art as a whole utilizes such sense of place as a major criticality.
As a result, public art shows new senses by utilizing critical senses, and through this, requires the creation of new meaning. This provides a threshold for existing publicness and urges the creation of new publicness in specific palces and societies. The spectrum of this palces and society is very fluid and multi-layered. I defined this as critical publicness, which not only goes beyond the rationality-centered public sphere, but also takes precedence over rational public sphere. Therefore, the publicness of public art cannot properly demonstrate its public capacity without a sense of critical publicnes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