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금강사건국5년명 옥책 예불대참회문」의 서체 연구 = A Study on the Chirography of ‘The Great Repentance Text for Worship Ritual to the Buddha of the Jade Book Inscribed in the Fifth Year Since the Foundation of Geumgang Templ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5-65(31쪽)
제공처
소장기관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불경옥책은 「부모은중경」 · 「예불대참회문」 · 「월인석보」 등이며, 이번에 발표되는 「금강사건국5년명 옥책 예불대참회문」은 1960년대 초에 충남 부여지역의 폐사지 부근에서 출토되었지만 올해에 이르러서야 세상에 소개되게 되었다.
이 옥책에는 불경인 「예불대참회문」이 23개의 옥간에 음각으로 새겨져 있으며, 제작연대는 마지막 옥간에 ‘금강사건국5년(金剛寺建國五年)’이라고만 새겨져 있어서 제작지와 제작연대에 관한 서지학적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옥책은 일반인이 사용하던 물건이 아니고 특수계층인 왕실에서 주로 사용할 수 있었던 것이어서 불교를 숭상했던 왕이나 왕비가 사용하였던 불구(佛具)로 추정되며, 108배를 올릴 때 암송하는 「예불대참회문」이 새겨진 점으로 보아 불교를 숭상했던 시대의 유물로 볼 수 있다.
구성은 처음과 마지막 옥간을 제외한 21개의 옥간에 「예불대참회문」의 전문(全文)이 행초서로 새겨져 있으므로 문자 자체(字體)의 특징과 서체의 변화를 분석함은 제작시기의 시대서풍을 규명하는 데 있어서 척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 옥책의 서체를 서법상의 규칙에 의해 필획, 결구, 장법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몇 가지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첫째, 필획에서의 특징에서 동일자의 변화와 과장된 필획의 급격한 태세 변화에서 황산곡 필획이 뚜렷하게 보이고 있으며, 둘째, 결구에 있어서는 글자마다 점과 획의 조합·안배·연결의 변화와 점획과 허백의 포치를 조화롭게 구성하고 있다. 셋째, 장법상에 있어서는 각 행과 행, 각 글자와 글자의 안배와 배열에서 무밀과 대소의 조화를 이루어 기운 생동함을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이 옥책의 서체 특징에서는 송대에 유행되었던 상의서풍(尙意書風)이 잘 나타나고 있으므로 송대의 영향을 많은 시기 이후에 제작되었던 불교 유물이라고 할 수 있다.
The Jade Book (okch’aek) of the Buddhist scriptures found in Korea includes The Sutra of Great Grace of Parents (pumo-ŭnjung-kyŏng), The Great Repentance Text for Worship Ritual to the Buddha (yebul-tae-ch’amhoimun), The Shakyamuni Record of the Moon Seal (wŏrin-sŏkpo), and so on. ‘The Great Repentance Text for Worship Ritual to the Buddha of the Jade Book Inscribed in the Fifth Year Since the Foundation of the Geumgang Temple’ (keumgang-sa kŏn’guk onyŏn-myŏng okch’aek yebul-dae-ch’amhoimun) was excavated near a ruined temple site in Buyeo area, Chungnam Province in the early 1960s, but it wasn’t until this year that it was introduced to the world.
‘The Great Repentance Text for Worship Ritual to the Buddha,’ which is a Buddhist sutra, is carved with intaglio on 23 jade parts in this jade book. However, "the Fifth Year Since the Foundation of the Geumgang Temple (金剛寺建國五年)" is the only indication of the year of production it contains, and therefore, a bibliographic study about production place and year is needed. Significantly, the jade book was not an object that the general public used, and could only be used by the royal family. So it is assumed that the jade book was a Buddhist instrument (佛具) that the king or queen used, and was a relic of the time that believed in Buddhism because the Great Repentance Text for Worship Ritual to the Buddha, which was recited when prostrating a hundred and eight times, was carved into it.
With the exception of the first and last jade part, the full text of the Great Repentance Text for Worship Ritual to the Buddha was carved in a semi-cursive and cursive style in 21 jade parts, and thus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tters and the change of font can be a criterion in investigation of the writing style of the time when it was made.
Therefore, this report deduced several characteristics by dividing the font of this jade book into stroke, structure, and closing style based on calligraphic rules. First,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stroke, the stroke of Hwangsan-gok was showed clearly in the change of the same letter and rapid change of attitude in an exaggerated stroke. Second, structure is composed of the change of combination, arrangement, and connection of dots and strokes, and is composed of the arrangement of letters between dots, strokes and spare in harmony. Third, closing style expresses cheerfulness and vividness by harmonizing the sparseness and denseness, and the size in the arrangement of each line and letter. Therefore, this jade book can be said to be a Buddhist relic made after the time in which there was a strong influence of the Song Dynasty because the characteristic of the font shows style of Shang’yi(尙意書風) which was popular in Song Dynast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