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보건의료 규제 변화에 따른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 경험 = Digital Healthcare Regulatory Experience in Adapting to Changing Healthcare Regulation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55-187(33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발전에 대응하여, 이에 따른 보건의료 규제의 변화 사례를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 gence, AI), 디지털 치료기기(Digital Therapeutics, DTx), 원격의료(Telemedicine) 등 첨단기술 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기존 의약품 및 의료기기 중심의 전통적 규제 체계만으로는 신의료기술을 효과적으로 규제하기에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의료기기산업법」, 「체외진단 의료기기법」, 「디지털의료제품법」 등 신의료기술 특성을 반영한 개별 맞춤형 법률을 제정하여, 기존 규제 체계에서 벗어난 새로운 규제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규제 의 변동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회적 구성주의와 합리적 선택 신제도주의를 분석 틀로 활용하였다. 사회적 구성주의는 기술에 대한 사회적 담론과 의미 구성 과정을 통해 규제가 형성되는 과정 을 설명하며, 합리적 선택 신제도주의는 제도적 맥락 속에서 이해관계자들이 전략적으로 규제 방향을 형성해가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활용된다. 실제로 원격의료, 디지털 치료기기, 인공지능 기반 의료기기 등 주요 기술의 규제 변화과정에서는 정부와 산업계가 규제 혁신을 강조한 반면, 의료계는 안전성 확보와 윤리적 문제를 중시하며 갈등이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종사자 21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무형 소프트웨어 기반 의료기기의 안전성 및 유효성 입증의 어려움, 규제 당국과 산업계 간 협력 부족, 허가·심사자의 전문성 부족 등이 산업 활성화를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 사례(미국 FDA)의 the Software Precertification Pilot Program(이하 ‘Pre-Cert’) 및 유럽의 의료기기 규정(Medical Device Regulation, MDR), 체외진단의료기기 규정(In Vitro Diagnostic Regulation, IVDR)과 비교분석을 통해, 한국의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에 있어 신속 심사 체계 도입, 보험 적용 확대, 사후관리 강화를 위한 정책적 보완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는 기술 특성과 사회적 수용성을 반영한 보다 유연하고 선제적인 변화가 요구되며, 이해관계자 간 협력과 지속적인 제도 개선이 병행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더보기This study investigates South Korea’s regulatory responses to the rapid evolution of digital healthcare technologies and explores policy implications for more adaptive governance.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digital therapeutic devices (DTx), and telemedicine continue to advance, traditional frameworks centered on pharmaceuticals and medical devices have proven insufficient. In response, South Korea has enacted legislation such as the Medical Device Industry Act and the Digital Healthcare Products Act to establish a more tailored regulatory system. To analyze the dynamics of these changes, this study applies social constructivism and rational choice institutionalism. The former emphasizes how public discourse shapes regulatory meaning, while the latter highlights how stakeholders strategically influence policy within institutional constraints. Tensions have arisen as government and industry actors advocate innovation, while the medical community prioritizes safety and ethics. A survey of 216 professionals identified barriers including difficulties in proving the safety of software-based devices, weak industry-regulator collaboration, and limited evaluator expertise. International comparisons—such as the U.S. FDA’s Pre-Cert Program and the EU’s MDR and IVDR—underscore the need for fast-track approvals, broader insurance coverage, and enhanced post-market oversight. This study concludes that South Korea should pursue a more flexible and proactive regulatory approach to digital healthcare that emphasizes technological specificity, stakeholder collaboration, and ongoing institutional refinement.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