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제도적 한계와 개선 방향- 배아 연구, 유전자치료 연구, DTC 유전자검사에 대한 심의를 중심으로 = Institutional Limitation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Focusing on Deliberations on Embryo Research, Gene Therapy Research, and DTC Genetic Testing
저자
김훈기 (홍익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7-85(2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최근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는 지난 20여 년의 활동을 평가하면서, 기본정책 수립을 중심으 로 기능과 역할을 확대하고 제도적 위상을 재정립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비기속 자문위원회라는 제도적 한계 속에서, 생명윤리위가 기존의 고유 심의 사항들을 처리해온 과정을 평가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본고에서는 생명윤리위의 연례보고서와 정부 보도자료 등을 검토하여 ‘영역 정치’와 ‘정책프레임 경쟁’의 관점에서, 생명윤리위의 심의 활동에서 나타난 주요 문제 사례를 두 가지 범주에서 확인했다. 첫째, 보건복지부의 주도로 생명윤리위의 심의 권한이 변경된 사례다. DTC기관의 질병 예방을 위한 유전자검사를 허용하는 생명윤리법 개정이 보건복지부 주도로 이루어지면서, DTC 유전자검사에 대한 허용 권한이 생명윤리위에서 보건복지부로 이전 됐다. 둘째, 정부 내 타위원회들이 생명윤리위의 역할을 견제한 사례다. 2019년 산업통상자원부의 실증특례 제도는 생명윤리위가 심의 중이던 질병예측성 DTC 유전자검사를 허용했으며, 2024년 출범한 국가바이오위원회는 유전자치료 연구의 규제를 대폭 완화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하고 나섰다. 생명윤리위를 대상으로 한 보건복지부의 주도권 경쟁은 영역 정치의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또한 바이오위를 포함한 타위원회들과 생명윤리위 간의 의견 상충은 정책프레임 경쟁의 전형적인 사례로 이해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생명윤리법의 개정은 생명윤리위를 기속 자문위원회로 변경하고, 정부 내 타위원회들의 결정에 대해 생명윤리위에 최종 심의 권한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더보기Recently, the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NBC) has been evaluating its activities over the past 20 years and exploring ways to expand its functions and roles with a focus on establishing basic policies, and to reestablish its institutional standing. However, within the institutional limitations of being a non-binding advisory committee, it is also crucial to assess the process by which the NBC has handled its existing unique deliberative matters. This paper examined the annual reports of the NBC and government press releases to identify key issues in two categories of the NBC’s deliberative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s of “turf politics” and “policy framework competition.” First, there was a case wher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took the initiative to change the NBC’s deliberative authority. When the MOHW led the amendment of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to allow genetic testing for disease prevention by direct-to-consumer (DTC) institutions, the authority to permit DTC genetic testing was transferred from the NBC to the MOHW. Second, there were some cases where other committees within the government checked the NBC’s role. In 2019,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s regulatory sandbox system allowed DTC genetic testing for disease prediction, which the NBC was deliberating. Also, the Presidential Bio Committee (PBC), launched in 2024, announced a policy to significantly ease regulations on gene therapy research. The MOHW’s competition for leadership over the NBC can be identifi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urf politics. Furthermore, the conflicts between the NBC and other committees including the PBC can be understood as a typical example of policy framework competition. In conclusion, the amendment of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should move towards changing the NBC into a binding advisory committee and granting it the final deliberative authority over decisions made by other committees within the government.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