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 한 산업디자인교육과 업사이클링 브랜드의 방향 = A Industrial Design Education and Up-cycling Brand Base on the Edu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3-51(9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이란 세계의 사회, 환경과 경제 발전을 위협하는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살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하는 교육이다. 이러한 개념은 산업디자인이 지향하는 목적과 유사하다. 연구는 4년제 대학교의 산업디자인 교육을 대상으로 하여 2학년 2학기부터 4학년 2학기까지 5개 학기, 각각 한 개 총 다섯 개 강좌에서 지속가능발전을 추구하는 교과연구를 목표로 수행되었다. 산업디자인은 경제활동의 일부이기도 하므로 생산의 합리적 양산성과 대중 소비를 의식한 마케팅을 고려해야 했다. 그러나 또 다른 관점에서 디자인에 접근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시도 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최종목표는 다양한 방법론을 산업디자인교육에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가치에 대한 다양한 인식과 표현을 갖추게 하는 것에 있다. ‘지속가능발전’의 원리와 가치가 사회, 환경, 경제, 그리고 산업디자인교육에 있어 필요하다는 당위성을 지속가능발전교육(ESD)를 기반삼아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지속가능 사고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는 산업디자인 교육과정과 브랜드 창출의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 연구의 내용은 지속가능발전 교육, 지속가능 디자인의 가능성 및 사례연구, 교과과정 설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ESD교육을 대학의 산업디자인전공에서 수행하는 것과 동시에 교육과 연계된 학교기업, 브랜드 창출을 목표로 하는 기초연구이다. 물질적 풍요만이 디자인과 경제, 경영을 형성하는 전부는 아니다. 가치관의 혼란을 겪는 현상은 선진화가 진행될수록 더욱 심화되기에 다양한 문제의식을 가져야 한다. 디자인의 다양한 접근방법을 고려할 때, 생활의 가치라는 정의를 여러 각도에서 해석할 수 있었다.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ave a goal what is finding solution of Social, Environment, Economic problem in the world. At the same time it is a education for the sustainable life. This point have similar goal of industrial design. This study is for industrial design major in four year course in university. The sustainable design course is start from fall semester of sophomore to senior class, five semester, 5 class. Industrial design is also a part of economic activities, thus marketing conscious of practice mass production and public consumption must be considered in the design. But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methods of approaching design must also be attempted in various ways.
The final goal of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research applying such methodology in industrial design education and aming to let students attempt various recognition and attempts regarding value. Confronted with internal and external demands, Industrial Design education has continuously evolved from an society, environment, economic issues.
As a result, Industrial Design education by restoring its inherent principles and expanding its external values, has become encountered today with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mplementing ESD is primarily to share the values and cooperate together between education and sustainable brand in the market. This study is focused, sustainable design education, possibility of sustainable design business. The current paper is to discuss practical strategies to effectively offer Industrial design major class what is connecting with ESD. At the same time, another goal is establishing School-based Enterpriseand create brand which is networking with education. Therefore, this is a board report and further study will be in concrete strategy like School-based Enterprise progress, practical curriculum structure. The phenomenon of confusion in the value system deepens as a country becomes more developed, a various kind of critical mind must be had. When considering the values methodology of design, the definition of the value of life could be reinterpreted from many angles.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이란 세계의 사회, 환경과 경제 발전을 위협하는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살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하는 교육이다. 이러한 개념은 산업디자인이 지향하는 목적과 유사하다. 연구는 4년제 대학교의 산업디자인 교육을 대상으로 하여 2학년 2학기부터 4학년 2학기까지 5개 학기, 각각 한 개 총 다섯 개 강좌에서 지속가능발전을 추구하는 교과연구를 목표로 수행되었다. 산업디자인은 경제활동의 일부이기도 하므로 생산의 합리적 양산성과 대중 소비를 의식한 마케팅을 고려해야 했다. 그러나 또 다른 관점에서 디자인에 접근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시도 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최종목표는 다양한 방법론을 산업디자인교육에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가치에 대한 다양한 인식과 표현을 갖추게 하는 것에 있다. ‘지속가능발전’의 원리와 가치가 사회, 환경, 경제, 그리고 산업디자인교육에 있어 필요하다는 당위성을 지속가능발전교육(ESD)를 기반삼아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지속가능 사고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는 산업디자인 교육과정과 브랜드 창출의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 연구의 내용은 지속가능발전 교육, 지속가능 디자인의 가능성 및 사례연구, 교과과정 설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ESD교육을 대학의 산업디자인전공에서 수행하는 것과 동시에 교육과 연계된 학교기업, 브랜드 창출을 목표로 하는 기초연구이다. 물질적 풍요만이 디자인과 경제, 경영을 형성하는 전부는 아니다. 가치관의 혼란을 겪는 현상은 선진화가 진행될수록 더욱 심화되기에 다양한 문제의식을 가져야 한다. 디자인의 다양한 접근방법을 고려할 때, 생활의 가치라는 정의를 여러 각도에서 해석할 수 있었다.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ave a goal what is finding solution of Social, Environment, Economic problem in the world. At the same time it is a education for the sustainable life. This point have similar goal of industrial design. This study is for industrial design major in four year course in university. The sustainable design course is start from fall semester of sophomore to senior class, five semester, 5 class. Industrial design is also a part of economic activities, thus marketing conscious of practice mass production and public consumption must be considered in the design. But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methods of approaching design must also be attempted in various ways.
The final goal of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research applying such methodology in industrial design education and aming to let students attempt various recognition and attempts regarding value. Confronted with internal and external demands, Industrial Design education has continuously evolved from an society, environment, economic issues.
As a result, Industrial Design education by restoring its inherent principles and expanding its external values, has become encountered today with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mplementing ESD is primarily to share the values and cooperate together between education and sustainable brand in the market. This study is focused, sustainable design education, possibility of sustainable design business. The current paper is to discuss practical strategies to effectively offer Industrial design major class what is connecting with ESD. At the same time, another goal is establishing School-based Enterpriseand create brand which is networking with education. Therefore, this is a board report and further study will be in concrete strategy like School-based Enterprise progress, practical curriculum structure. The phenomenon of confusion in the value system deepens as a country becomes more developed, a various kind of critical mind must be had. When considering the values methodology of design, the definition of the value of life could be reinterpreted from many angle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8-04-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문화무역학회 -> 한국문화산업학회영문명 : Korea Society Of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 Korea Society of Culture Industry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8 | 0.88 | 0.9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6 | 0.83 | 1.366 | 0.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