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업무능력에 대해 취업자가 인식한 최종학력 요인 및 영향 = Effect of Relevant Factors to the Contribution of Last Educational Background on the Work Abili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1-44(24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strengthen long-term employment competency by exploring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with a focus on the contribution of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 to the actual work ability perceived by the employed. A study that analyzes 286 young employed people aged 25-29 based on the 2020 data of the youth panel survey, and subdivides the work ability recognized by the employed into 4 categories and confirms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quired area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ubdividing work capabilitie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eign language & math and psycho-social skills were maintained based on the basic and specialized knowledge skills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while computer utilization skills were considered as additional specialized knowledge skills. Second, it was recognized that the higher the household income or academic background, the higher the contribution of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to work ability. Third, the level of recognition of contribution to professional knowledge ability and foreign language/mathematics abil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job characteristics, and in particular, the size of the workplace and the regular workers had an effect. Fourth, the contribution of final educational attainment to psycho-social ability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residential area or household gross income but disappears as workplace and job characteristics variables are add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① to strengthen the job and career education in educational institutions, ②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at the workplace, and ③ to link organically the education with employment for developing the employment competency of college graduates.
본 연구는 취업자가 인식하는 실제 업무능력에 대한 최종학력의 기여도를 중심으로 관련 변인의 영향력을 탐색하여 장기적인 취업역량의 강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청년 패널조사 2020년 자료 기준 만25~29세 청년 취업자 286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며, 취업자가 인식하는 업무능력을 4가지로 세분화하여 그 필요영역의 특성에 따른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확인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업무능력을 세분화한 결과 기존 연구에서 드러난 기본 및 전문지식 능력을 바탕으로 외국어・수학 및 소통・성찰 능력이 유지되고 있는 가운데 컴퓨터 활용 능력이 추가적인 전문지식 능력으로 고려되고 있었다. 둘째, 가구 총소득이 높거나 대학 이상의 학력 수준을 가질수록 최종학력의 업무능력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업무능력 가운데 전문지식 능력과 외국어・수리 능력은 직무 특성에 따라서 기여도 인식 수준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직장의 규모나 정규직 유무가 영향을 주고 있었다. 넷째, 소통・성찰 능력에 대한 최종학력 기여도는 거주지역이나 가구 총소득이 유의한 영향을 주지만 직장 및 직무 특성 변인이 추가됨에 따라 소멸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졸자의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기관의 직무 및 진로 교육 강화, 직장에서의 제도적 뒷받침, 교육과 취업간 유기적 연계를 제언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5-28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직업교육연구외국어명 :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06 | 2.06 | 2.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21 | 2.29 | 2.564 | 0.3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