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동정과 연민, ‘병리화’의 안과 밖 - 1950년대 부랑아 문제를 중심으로 = The Unspoken Lives : Reconstructing the Marginalized Experiences of Vagrant Youth in Postwar Korea
저자
예지숙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77-305(29쪽)
제공처
이 글은 1950년대 한국 사회에서 ‘부랑아’라 불렸던 아동·청소년의 실태 와 이들을 둘러싼 사회적 담론을 분석한다. 나아가 이들을 단순한 사회문제 나 병리적 존재가 아닌, 주체적인 ‘생활인’으로서 조명하고자 한다.
한국전쟁 이후 ‘전쟁고아’, ‘불량소년’, ‘직업소년’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 이들은 극심한 빈곤 속에서 거리와 시설을 오가며 자립적으로 생계를 꾸려 간 도시 하층민이었다. 당시 이승만 정부는 일제시기부터 이어진 단속 중심 의 방식에 더해 외원단체의 재원을 바탕으로 한 수용 정책을 통해 부랑아 문제에 대응하려 하였다. 이는 단속과 방치 중심의 일제시기 정책과 구별되 는 지점이었다.
부랑아는 냉전기 주권국가 건설이라는 시대적 과제 속에서 국가의 ‘미래’ 이자 ‘수치’로 여겨졌으며, 전쟁과 빈곤이라는 특수한 상황은 이들을 향한 동정과 연민, 그리고 혐오가 뒤섞인 복합적인 사회적 감정을 일으켰다. 또한 이 시기 미국에서 유입된 정신의학과 심리학의 영향으로 부랑아를 ‘병리화’ 하려는 담론이 등장하였으나, 이러한 서구 이론은 당시 한국 사회의 현실과 상당한 괴리를 보였다.
부랑아는 스스로 생계를 책임지며 때로는 어른의 역할을 수행하는 생활인 이었고, 기성 사회의 질서를 내면화하며 나름의 규율 속에서 살아가고 있었 다. 1950년대의 보편적 빈곤 상황에서 부랑아는 단순한 혐오의 대상이 아니 라 동정과 연민이 교차하는 존재였으며, 사회적으로 완전히 분리된 ‘타자’가 아닌 빈민가의 ‘이웃’으로 인식되기도 했다.
본 연구는 과거의 부랑아 문제를 고찰하는 것이 단순한 과거의 오류를 지적 하는 것을 넘어, 오늘날 우리 사회가 마주한 소수자 -노인, 이주민, 장애인 등에 대한 혐오와 차별의 문제를 성찰하고 이를 시정하는데 중요한 역사적 통찰 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부랑’이라는 용어는 사라졌지만, 사회적 약자를 ‘우리’의 문제에서 배제하고 ‘그들’의 문제’로 타자화하는 시선과 통치 방식은 여 전히 여러 형태로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This paper examinest the lived of experienceces of adolescents in 1950s Korea known as burang-ah (부랑아, 浮浪兒), a terms often translated as “vagrant children.” Challenging simplistisc categorizations of these youth as mere social problem or pathological subjects, this study reconstructs them as individuals with agency navigating the harsh realities of post-Korean War society. In the wake of the conflict, numerous childeren, orphaned and impoverished, were labeled variously as war orphans, delinquent boys, or working boys. They inhabited streets and shelters, forging survival strategies as part of the urban poor.
The Syngman Rhee government’s approach to the burang-ah marked a departure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s policiesof arrest or neglect. Influenced by both inherited colonial-era social control mechanisms and collaborations with foreign aid organizations, the postwar government grappled with a dual perception of these youths: they were simultaneously viewed as the nation's future and a source of national shame, evoking a complex mixture of pity and fear. Concurrently, the introduction of American psychological and psychiatric paradigms led some experts to pathologize the children's behaviors, applying Western frameworks that often ill-suited the specific socio-economic context of postwar Korea.
This paper argues that the burang-ah demonstrated significant autonomy and resilience. Functioning with adult-like responsibilities, they adhered to their own social codes and developed a keen understanding of societal structures, operating within them to survive. In the pervasive poverty of 1950s Korea, the burang-ah were not solely ostracized; they also elicited sympathy and compassion, often regarded as neighbors within shared impoverished communities rather than distant "others." Re-examining the lives of the burang-ah extends beyond historical rectification; it offers critical insights into contemporary societal issues. The mechanisms of marginalization and discrimination faced by these youths resonate with the experiences of vulnerable populations today, including the elderly, immigrants, an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lthough the term burang-ah has faded from common usage, the societal tendency to ostracize and "other" vulnerable groups persists.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that the challenges faced by marginalized communities are, in fact, collective societal concern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