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소그룹활동을 위한 생성형AI 활용사례 연구 -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창의적 문화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 = A Case Study on the Use of Generative AI for Small Group Activities With the focus on creative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based on intertextuali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87-713(27쪽)
제공처
소장기관
텍스트와 이미지, 음악 등 다양한 콘텐츠를 생성해내는 생성형 AI의 발전은 인간의 사상, 소통, 의식 세계를 반영하는 ‘텍스트’의 기능과 이해에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속에서, 성경이라는 텍스트에 정체성의 뿌리를 두고 있는 기독교는 생성형 AI로 수반된 텍스트 활동의 혁명적 변화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급속한 디지털 기술발전 시대를 거듭하면서도 진리의 ‘본질’에 대한 텍스트 활동을 지속해온 기독교공동체는 ‘소그룹’이라는 관계적 단위를 통해 영적 실체를 체화하고 심화해왔다.
본 연구는 텍스트와 텍스트의 관계 속에서 창의적 변주를 일으켜 해석과 이해의 확장을 견인하는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하여 생성형 AI를 활용한 소그룹 활동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창작과 연계된 문화예술 활동에 집중하여 경험자들의 텍스트 이해와 표현 방식의 확장과 변화를 탐색했다. 선행연구를 통해 생성형 AI는 성경 텍스트를 교육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는데, 텍스트의 내용을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재구성하거나, 미술, 음악, 영화, 문학, 워크북, 퀴즈, 게임, 활동 등을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학습 교재, 또는 프로그램이 가능했다. 이로써 성경의 가르침을 각 세대 맞춤형으로 전달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이 같은 텍스트 활동과 이해의 확장은 무엇보다 교회 소그룹 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제공할 수 있다. ‘소그룹’에 대한 정의는 교회의 환경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정의될 수 있지만, 인간은 자연만물과 하나님에 대하여 ‘관계적 존재’이며 소그룹은 관계적 존재의 본질을 되새기는 기본단위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연구조사에 의하면 한국교회 소그룹 운영은 ‘소그룹 리더의 부담, 참여 증진, 협력 강화, 다양성 확대’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를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탐색한 소그룹 활동 사례는 몇 가지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는데 이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소그룹 활동의 본질인 공감과 소통방식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 참여자들의 흥미와 몰입을 유도하여 참여도를 증진 시킬 수 있다는 점, 인도자(리더)의 역할 부담을 줄이고 참여자들의 자발성과 지속성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 사회 문제나 국제 이슈를 관찰하고 해석할 수 있는 통찰력을 함양할 수 있다는 점, 텍스트 이해력과 표현력을 향상할 수 있다는 점, 공감과 호응을 통해 공동체에 대한 친밀감, 유대감, 소속감을 얻을 수 있다는 점, 대그룹과 연계성을 가지며 또 다른 상호작용을 이끄는 공동체의 연대를 도모할 수 있다는 점이다.
The development of Generative AI, which generates various contents such as text, images, and music, is opening a new horizon in the function and understanding of 'text' that reflects the world of human thought, communication, and consciousness. In this trend of the times, Christianity, which has its identity rooted in the text of the Bible, cannot help but think about how to respond to the revolutionary change in text activities that has been accompanied by Generative AI. Of course, the Christian community, which has continued to engage in textual activities on the 'essence' of truth despite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embodied and deepened its spiritual reality through a relational unit called a 'small group'.
This study aims to examine cases of small group activities using Generative AI based on intertextuality, which causes creative varia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 and the text, driving the expansion of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Focusing o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related to creation, we explored the expansion and change of experienced people's text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methods. Through previous studies, it was examined that the Generative AI can use the Bible text as an educational material, and it was possible to reconstruct the contents of the text in an easy-to-understand form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or to reconstruct the contents of the text in an interactive learning textbook or program including art, music, film, literature, workbooks, quizzes, games, and activitie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customization of the teachings of the Bible to each generation. Such textual activities and expansion of understanding can provide positive influences on small group activities of churches, above all else. It explains that humans and all things are fundamentally relational beings. Small groups are places of meeting and environments that satisfy these human relational desires.
Considering the "burden of small group leaders, increased participation, strengthened cooperation, and expanded diversity" that emerged as a problem in the operation of small groups of Korean churches, the small group activity cases explored in this study show some significant results, which are listed as follows. It can provide a diversity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methods, which are the essence of small group activities; it can induce interest and immersion of participants to increase participation; it can reduce the role burden of leaders and induce voluntary and persistence of participants; it can cultivate insights to observe and interpret social issues or international issues; it can improve text comprehension and expressive power; it can gain intimacy, bond and belonging to the community through empathy and response; it can promote community solidarity that connects with large groups and leads to another interac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