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AI 산업에 관한 법 담론의 사회적 영향 = The social impacts of legal discourse on AI industry
저자
송영현 (충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3-140(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산업과 관련한 법적 담론과 그 사회적 영향에 대해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그 담론은 사회를 보여주는 창이라 일컫는 언론 속의 자료를 탐색하였다. 또한 AI 산업과 관련한 문헌과 실례를 찾아 해석해 봄으로써 그 기능 방식을 파악하는 전거로 삼았다. 이제 인공지능은 우리의 일상에 깊숙이 침투하였다. 동시에 AI가 인간의 동반자가 되는 현실이 기업들에는 생존의 문제로 맞닥뜨릴 정도가 되었다. 이런 사회적 현상을 반영하듯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이 국회를 통과했다. 이 법안이 마련되기까지 산업계를 비롯해 사회적으로 수많은 관련 담론이 언론을 통해 생성되었다. AI 기본법을 토대로 한 산업발전은 사회 변화를 반영하면서 법과 사회의 진화를 이끌게 될 것이다. 바로 이러한 사회적 상황은 기업들로 하여금 최첨단의 과학기술을 경제적 성장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 창출을 끌어내는 데 쓰도록 유도한다. 지금도 “우리는 AI를 사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라는 물음이 진행형으로 제기된다. 본 논문은 언론 속 법 담론과 교차한 AI 산업사회라는 틀을 살핌으로써 기존 연구와 차별화를 시도했고 그에 따라 디지털 전환 사회가 바라는 개인이나 기업의 책임성을 강조한다. 또한, AI가 인간을 얼마나 대신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는 AI가 가져올 산업 구조 발전과 새로운 기회 창출에 대한 기대감으로 연결되면서 그에 맞물린 법의 기능을 다시금 떠올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점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gal discourse related to the AI industry and its social impact. The discourse examining the relationship was explored through materials appearing in the media, as the media is said to be a window that shows society. In addition, by searching for literature and cases related to the AI industry, the method of functioning was attempted to be understood. AI has now deeply penetrated our daily lives. At the same time, the reality that AI is becoming a companion to humans has become a matter of survival for companies. Reflecting this social phenomenon, the Basic Act on AI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Until this bill was prepared, numerous related discourses were created through the media, including in the industrial sector and society. Industrial development based on the AI Act will lead to the evolution of law and society while reflecting social changes. This social situation encourages companies to use cutting-edge science and technology to create social value as well as economic growth. The question of “Are we ready to use AI?” is ongoing. This article attempts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existing research by examining the framework of the AI industry society that intersects with legal discourse in the media, and accordingly emphasizes the nature of social responsibility given to individuals and companies. And the question of how much AI can replace humans can be linked to expectations about the industrial structural development and new opportunities that AI will bring, an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function of the law intertwined with it can be recalled.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