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북한 어문규범의 변천을 통해 본 어두 ㄴ, ㄹ의 표기와 발음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Orthography and Pronunciation of Word-Initial ㄴ and ㄹ through Changes in North Korean Language Norms
저자
송미영 (충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3-93(31쪽)
제공처
분단 이전까지 하나의 어문규범을 가졌던 한반도는 광복 이후 북측의 「조선어 신철자법」(1948)이 제정되면서 달라지기 시작한다. 어두 ㄴ, ㄹ 규정은 남북이 아직까지 합의하지 못한 향후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북한 어두 ㄴ, ㄹ 관련 규정 개정의 배경과 어문규범의 변천, 현재 남북한 어두 ㄴ, ㄹ 관련 쟁점과 해당 규정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단 이전 한반도는 「諺文綴字法」(1930)부터 두음법칙이 적용되기 시작하여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에서 한자어 어두 ㄴ, ㄹ의 발음에 따라 표기하게 된다. 조선어학회의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 어두 ㄴ, ㄹ 관련 규정을 이어받은 남측과 달리 북측의 조선 어문 연구회는 형태주의를 원칙으로 개정을 시도하게 된다. 개정의 배경으로 북한의 학자들은 「한글 마춤법 통일안」의 한계를 지적하였는데 동일한 한자를 어두에서 달리 발음하고 적는다는 점, 한자어와 달리 외래어에서 어두 ㄴ, ㄹ의 인정으로 인한 모순, 언중들이 어두에서 ㄴ, ㄹ을 발음할 수 있다는 점 등을 들었다.
북측의 「조선어 신철자법」(1948)에는 한자어 두음 ㄴ, ㄹ은 본음을 밝혀 적는다는 원칙이 있었다. 그러나 「조선어 철자법」(1954)에서 두 모음 사이의 ‘ㄴ, ㄹ’은 발음에 따라 적었으며 「조선어 철자법」에서는 때에 따라 달리 발음되는 한자를 발음대로 적는다는 예외를 두었다. 또한 조선말규범집(1966)에는 변화된 한자음을 현대 소리에 따라 표기에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선말규범집(2010)에서 본음과 속음이 있는 한자어의 경우 발음을 표기에 반영했고, 한자어 ‘렬, 률’의 발음에 대한 규정이 추가되었다. 형태주의를 원칙으로 삼았던 북측의 어두 ㄴ, ㄹ 관련 규정은 언중들의 발음을 반영하게 되면서 남측의 규정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아졌다. 다섯 차례에 걸쳐 다듬어진 어두 ㄴ, ㄹ 규정은 추후 한반도의 통일된 어문규범 마련 시 숙고해야 할 부분이다.
The Korean Peninsula, which had a single language norm before the division, began to change after the liberation when the North enacted the “Joseoneo Sincheoljabeop” (1948). The word-initial ㄴ and ㄹ regulations can be considered a future task that the South and the North have not yet agreed on.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revision of the North Korean initial consonants ‘ㄴ’ and ‘ㄹ’-related norms, the changes in the language norms, and the current issues and relevant regulations concerning initial consonants ‘ㄴ’ and ‘ㄹ’ in South and North Korea.
Before the division, the Korean Peninsula began applying the initial consonant rule starting with “Eonmun Cheoljabeob for Primary School” (1930), and in “Hangeul Machumbeob Tong-il-an” (1933), the pronunciation of word-initial ㄴ and ㄹ in Sino-Korean words were indicated. Unlike the South, which inherited the word-initial ㄴ and ㄹ regulations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s “Hangeul Machumbeob Tong-il-an”(1933), the North Korean Language Research Association attempted to revise it based on the morphophemic principle. As the background for the revision, North Korean scholars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Hangeul Machumbeob Tong-il-an,” including the fact that the same Sino-Korean words are pronounced and written differently in word-initial position, the contradiction caused by the recognition of word-initial ㄴ and ㄹ in foreign words unlike Sino-Korean words, and the fact that the public can pronounce ㄴ and ㄹ in word-initial position.
In the North’s “Joseoneo Sincheoljabeop”(1948), there was a principle that the initial consonants ㄴ and ㄹ of Sino-Korean words should be transcribed according to their original sounds. However, ‘ㄴ, ㄹ’ between two vowels was transcribed according to pronunciation in “Joseoneo Sincheoljabeop”(1948), and an exception was made in “Joseoneo Cheoljabeop”(1954) that Sino-Korean words that are pronounced differently at times are transcribed according to pronunciation.
In addition, the changed Sino-Korean sounds in Joseonmal Gyubeomjip (1966) were applied to the notation according to modern sounds. Finally, in Joseonmal Gyubeomjip(2010), the pronunciation of Sino-Korean words with primary and secondary sounds was reflected in the notation, and the rules for the pronunciation of the Sino-Korean words ‘Yeol, Yul’ were added. The North’s word-initial ㄴ and ㄹ rules, which were based on the morphophemic principle, came to reflect the pronunciation of the public, and many parts of them coincided with the South’s rules. The word-initial ㄴ and ㄹ, which were refined five times, are an area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unified Korean language norms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utur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