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세기 독일 국가종교와 종교의 자유 = The 19th Century Prussian National Religion and Freedom of Relig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주제어
KDC
2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5-139(35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Germany is well-known for its free thoughts in various areas such as philosophy and theology. Especially the Reformation was the historical event that happened in Germany, which eventually divided the singular religion of the western Europe, Christianity, into two, that is,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Yet, until the end of the 18th century, Germany or then Prussia had maintained the policy of the Protestant national religion and not allowed freedom of religion for each individual. This phenomenon triggers the question, “When did Germany allow freedom of religion to each individual?” A modern German church historian, Johannes Wallman, argues that the Prussian national religious system was annihilated as a result of the 1848 Prussian revolu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analyze Wallman’s argument that the Prussian national religious policy was annihilated as a result of the Prussian On the one hand, Wallman presents Enlightenment as a critical movement to Christianity but Romanticism and Idealism as advocations for Christianity, considering all of them as intellectual movements. On the other hand, he classifies the period from 1800 to 1848 as three stages of the spiritual revival movements of the general public. Yet the question for the Prussian national religion and freedom of religion requires much more complicate analyses than theological and church historian view points, including law, politics, philosophy, and religion.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of Europe revolutions that demanded freedom and equality of people and nations were breaking out in America, France and other countries, so it is sometimes called as “the Age of Revolution.” Yet, Prussia was filled with the anti-revolution conservative spirit, and tried to consolidate its absolute monarchy and national religious system through its ruthless political religious censorships. In this oppressive situations thinkers such as Kant and Schleiermacher could not directly express their opposition to the absolute monarchy and national religious system because of the censorships, so that they rhetorically expressed their thoughts and criticized those systems. Yet, it seems that after 1813 Prussia proceeded toward the recognition of individual religious freedom, because it allowed many Catholics into its national religion. But it was a result of the political negotiations between Prussia and France after Prussian liberation from the French occupation. At last in 1830 a revolution broke out in Prussia but failed. Yet Prussian thinkers such as Schleiermacher, Heine, Feuerbach and Marx continued to criticize the Prussian oppressive policies through rhetorical expressions. As Wallman pointed out, the 1848 Prussian revolution almost annihilated the national religious system, but it was completely restored, as soon as the revolutionary crises passed out. Consequently, unlike Wallman’s argument, the Prussian national religious system was not annihilated in 1848. The existence of the Prussian national religion and the negation of each individual’s freedom of religion remind us the importance of freedom of religion because Christianity is based on the free determination of each believer or freedom of religion.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7 | 0.37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9 | 0.23 | 0.606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