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칼 뷜러의 상상 직시* 이 논문은 2024년 국립공주대학교 학술연구지원사업의 연구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 - 규정, 조건, 유형 = Karl Bühlers Deixis am Phantasma - Ihre Bestimmung, Bedingungen und Typen
저자
발행기관
한국독일언어문학회(Koreanische Gesellschaft fur Deutsche Sprache und Literatur)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1-69(1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잘 알려져 있듯이 뷜러는 언어이론에서 직시를 현장 직시, 조응, 상상 직시로 구분했다. 이 가운데 상상 직시는 보이지 않는 대상을 기억과 상상 속에서 직시적으로 지시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부재하는 대상을 지시하는 데에는 심리적 전제 조건이 필요하다. 즉, 현장 직시에서 눈에 보이는 대상을 화자와 청자가 직시적으로 지시하기 위해 필요한 공통 기반인 지남력이 상상 직시에서도 비교적 동일한 정도로 발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직시의 원점이 작동하는 틀인 신체 도식도 상상 직시에서도 역시 구비되어야 한다.
상상 직시는 우리가 의사소통에서 비교적 무의식적으로 동원하는 세계와 관계 맺는 방식이다. 뷜러는 이 상상 직시를 세 가지로 구분했다. 제1유형은 상상의 세계에 있는 직시의 대상이 지각의 세계의 화자에게로 이동하는 경우이다. 제2유형에서는 제1유형과는 반대로 직시의 원점이 상상의 세계로 전이하여 상상의 대상을 지시한다. 제3유형은 현실의 세계에 존재하는 직시의 원점에서 상상의 세계의 직시 대상을 가리키는 경우이다. 전이는 이러한 상상 직시를 가능하게 하는 심리적 기전이다.
Bekanntlich unterscheidet Bühler in seinem Buch Sprachtheorie zwischen der Demonstratio ad oculos, der Anaphora und der Deixis am Phantasma. Unter diesen Formen der Deixis bezieht sich die Deixis am Phantasma auf die Art und Weise, wie unsichtbare Objekte in Erinnerung und Vorstellung deiktisch referiert werden. Allerdings erfordert das Zeigen auf abwesende Objekte bestimmte psychologische Voraussetzungen. Das heißt, die Orientierung, die in der Demonstratio ad oculos als gemeinsame Grundlage für Sprecher und Hörer notwendig ist, um auf sichtbare Objekte deiktisch zu verweisen, muss in der Deixis am Phantasma in ähnlichem Maße wirksam sein. Darüber hinaus muss das Körperschema, das als Rahmen für die Origo der Deixis fungiert, auch in der Deixis am Phantasma vorhanden sein.
Die Deixis am Phantasma ist eine Art und Weise, wie wir uns in der Kommunikation relativ unbewusst auf die Welt beziehen. Bühler unterscheidet drei Typen dieser Deixis am Phantasma. Der erste Typ tritt auf, wenn das deiktische Objekt aus der imaginären Welt in die Wahrnehmungswelt des Sprechers verschoben wird. Beim zweiten Typ wird im Gegensatz zum ersten Typ die Origo der Deixis in die imaginäre Welt versetzt, um auf imaginäre Objekte zu referieren. Der dritte Typ bezieht sich auf Fälle, in denen von der deiktischen Origo in der realen Welt auf deiktische Objekte in der imaginären Welt verwiesen wird. Die Voraussetzung ist der psychologische Mechanismus, der die Deixis am Phantasma ermöglicht.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