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SGI 지용보살의 공공행복 연구 = A Study on the public conviviality of Jiyong bodhisattva in Korean SGI
저자
김용환 (충북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59-492(3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on the public conviviality of Jiyong bodhisattva in Korean SGI. The Korean SGI is a kind of Buddhism which was transmitted from Japan in 1960’s. The conviviality of Jiyong Bodhisattva is in a state of profound peace, tranquility and equanimity. Unlike the traditional Korean bodhisattva who persevere in suffering, Jiyong bodhisattva in Korean SGI tries to prove that he would fulfill dharma such as the mutual equipment in ten realms.
Firstly. The public conviviality of Jiyong bodhisattva by the mutual equipment in ten realms can be happened. As the Korean SGI has been contributed to activating the private to opening the public conviviality.
Secondly, The correlative linkage between three secrets of buddhist law and the public common practice of benefit to others including self interest have contributed to establish public conviviality by the chanting of Lotus Sutra’s title. Thirdly, The correlative linkage between fulfilling buddha’s nature in one lifetime and wide spreading the dharma benefit in the world have contributed to the public conviviality through the perfect harmony among persons. The public conviviality Jiyong Bodhisattva is considered to share life’s goods with others.
In addition, it is said that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realizing happy public happiness together, breaking away from the priesthood with the modern religious reform spirit without monks through the practice of Jiyong bodhisattva in Korean SGI. Every day, Jiyong Bodhisattva would moves forward to the mundane world and continues to cultivate a sense of community.
This article on the basis of public conviviality of Jiyong bodhisattva in Korean SGI, would be a new type of a cosmo-theandric spirituality in the discursive morphology of public conviviality. The Korean SGI can be seen as an Applied Buddhism as the three principle of dharma of the Lotus Sutra.
본 연구는 공공철학의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 SGI 지용보살(地涌菩薩)의 공공 행복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전대미문의 코로나 사태를 맞이하여 일상이 송두 리째 붕괴되는 상황에서 마스크를 쓰며 ‘자기애(attapiya)’와 ‘타자애(parapiya)’의 관계에 주목한다. 자기보호의 자행(自行)과 타자보호를 염려하는 화타(化他)는 자행화타 ‘공사(公私)’의 관계를 형성한다. 『법화경』에 나오는 지용보살은 고통 을 없애는 발고(拔苦)와 기쁨을 선사하는 여락(與樂)이 ‘일원상(一圓相)’으로 드 러나 다종교문화권에서 문화적 소통을 진작시키는 간문화 역량가치를 나타낸 다. 이에 한국 SGI는 코로나 시대를 맞아 지용보살 역할을 강조하고, 업력장애 (業力障碍)를 법화여락(法華與樂)으로 용해하는 ‘원겸어업(願兼於業)’에 충실함으 로 이체동심(異體同心)으로 인존을 부각시킨다. 또한 진여실상에 도전하여 제 법실상에 다가서고 ‘자행화타(自行化他)’의 공공행복을 부각시킨다.
지용보살은 삼덕을 심간(心肝)에 물들이고 공공분노를 공공반야(公共般若)의 지혜로 전환시킴으로, 공공행복을 매개삼아 ‘만인성불’ 목표로 제목창제를 일 상으로 실천한다. 또한 지용보살은 『법화경』의 혼을 ‘광선유포’의 중핵으로 삼 아 인류경애를 불계(佛界)로 승화시키면서 개체생명을 근원적 생명력으로 이 어주고 매개하여 공공철학의 공사공매(公私共媒)의 방편으로 불계(佛界)의 우주 생명력으로 전환하고자 노력한다. 이를 통해 지금 여기서 제법실상을 여실지견으로 깨달아 공공행복을 넓혀 간다. 이에 따라 지용보살 공공행복 구현을 세 과정으로 고찰한다. 먼저 ‘세계광포 시대의 지용보살로서 자아정체성을 찾아 공공행복 구현을 위한 만인성불 서원가치에 주목한다. 또한 제법실상을 추구 하며 업력을 원력으로 용해하고 승화시킴으로 공공분노를 자비원력으로 전환 하여 지금 여기에 법화정토를 구현하고 확산시키고자 신심으로 몰입한다. 그리고 『법화경』의 요체를 ‘만인성불’로 집약하면서 재가신도와 출가 승려 의 신분차이를 극복하고 지용보살로서 ‘지금 내가 ‘묘호렌게쿄’ 당체로서 인존 가치를 표방하며 상호존중 상호호혜의 법위를 확산시켜, 일생동안 즉신성불 (卽身成佛)이 가능하도록 법화신행에 입각하여 ‘행불응신(行佛應身)’을 구현한 다. 자타불이의 동체대비를 지금 여기서 살려 소외되지 않고 차별받지 않도록 지금 여기 살아 움직이는 행불을 선택하고 수범으로 실천한다. 한국전통불교 의 지장신앙과 달리 지용보살 신행은 법화신행의 일환으로 이루어져 삼세윤 회를 한 생애 ‘불계생사(佛界生死)’로 전환시키기에 공공행복에 진력한다. 결국 ‘묘호렌게쿄’ 혈맥을 생사일대사 혈맥으로 전수받고 지용보살의 정체성으로 구현함으로 ‘우주신인론 영성(cosmo-theandric spirituality)’으로 ‘적멸위락(寂滅爲 樂)’을 부각시켜 응용불교의 위상을 나타낸다고 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6-2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Reserch Institute for The Wonbuddhist Thoughts -> The Research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5 | 0.768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