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노래로 불려 진 천주가사의 음악적 특징 = Musical characteristics of Catholic Verse for the Hymnal
저자
강영애 (한양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국악원논문집(Journal of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7-149(53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소장기관
Catholic verse is a compound word of Catholic (Lord of Heaven), a core term of Western Learning and verse, a traditional literary genre. It is introduced to stress faith and creed practice of the believer and also used for propagandizing the Catholic Church. Our ancestors formed a song culture which is the best method reflecting the social feature of Joseon to the extent in not breaching the decree of the Catholic Church and developed based on our nationality.
This study examined and sorted 40 verses in 23 kinds of Catholic Verse in two stages before and after 1886.
The verses in the stage 1 is 4 including Cheondangnorae, Cheonjugonggyeongga, Samsedaeui, Sahyangga and The composition time of Juilga, Bokjahyeonyangga, Ibyeolga, Jatanga and Jinbokpaldan is unknown and the other 19 belongs to the stage 2.
As for musical characteristics, 22 kinds of Jeongak, 8 kinds of folk song, 6 of psalm and 4 of Changa. While the tone, rhythm, melody and Jongjieum exist in mixed form, they are based on Jeongak. This seems because those songs composed by individuals are based on the faith of the believers or widely sung by many for the practice of dogma. However, the musical feature is not identified by composition time or collection area but by those who sang songs. It means that while there is no similarity shown in Tonghoisa, Samalchuronga, Sogyeongjatanga and which had identical composition period and composers, songs from one singer have almost similar features.
Songs by a singer had almost a similar feature. For example, Seo Seon Yi had all Jeongak music structure in her Samalchuronga1, Sogyeongjatanga, and Sipgaetaryeong. On the other hand, Park Eom Jeong had all features of psalm songs at Munhakgeonhakga, Tonghoisa and Samalchuronga 2. As such Catholic verse demonstrates uniqueness by adopting partly traditional feature and foreign musical feature according to preference of singers.
천주가사는 천주라는 서학사상의 핵심어와 전통적 문학 장르인 가사라는 말이 융합된 합성어이다. 교우들의 신심과 교리실천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탄생되어, 천주교의 포교를 위해 활용되었다. 선현들은 조선시대의 사회상과 천주교의 교리를 위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가장 최상의 방법인 노래문화를 형성하였고, 우리의 민족성을 토대로 변화 발전시켜나갔다.
본고에서 살펴 본 천주가사는 1886년을 경계로 제1기와 제2기로 구분한 23종 40곡이다.
제1기에 속하는 곡은 <천당노래>, <천주공경가>, <삼세대의>, <사향가> 4종이며, 제작 시기를 알 수 없는 <주일가>, <복자현양가>, <이별가>, <자탄가>, <진복팔단> 등을 합친 19종은 제2기에서 살펴보았다.
음악적인 특징은 정악이 22곡, 민요가 8곡, 시편성가가 6곡, 창가가 4곡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은 구성음, 리듬, 선율진행, 종지음 등이 서로 혼재하지만, 정악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는 개인에 의해 창작된 천주가사가 교리실천을 위하여 다수에게 불려 지거나 교우들의 신심에 기반을 두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제작시기나 제작자, 채집지역에 따라 음악의 특징이 구별되지 않고, 가창자에 따라 차별화를 이룬다. 즉, 1930년대 박제원의 작품으로 알려진 <통회사>, <사말추론가>, <소경자탄가>의 3종에서는 박엄정에 의한 <통회사>, <사말추론가2>와 서선이에 의한 <사말추론가1>, <소경자탄가>가 구별되는 것이다. 한 가창자에 의한 노래는 거의 동일한 특징이 나타나는데, 서선이는 <사말추론가1>, <소경자탄가>, <십계타령(서)>에서 모두 정악의 음조직을 보이고, 박엄정은 <문답권학가>, <통회사>, <사말추론가2>에서 모두 시편성가의 특징을 보인다.
천주가사는 가창자의 선호도에 의해 전통적인 요소와 외래 음악적인 요소가 취사선택되고 개개인의 음악성에 따라 구별되고 있다. 이는 한국의 전통과 서양의 종교가 융합되는 과정에서 생산된 천주가사만의 고유성으로 볼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1 | 0.41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3 | 0.29 | 1.006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