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이중언어 교육정책과 그 사회적 영향 = Bilingual Education Policy in Xinjiang Uyghur Autonomous Region and Uyghur Socie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05-132(28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Xinjiang Uyghur Autonomous Region is a unique minority region in China. Uyghur identity which is based on language and culture has been very strong, so it is not easy to be incorporated into main Han Chinese culture. Since the annexation of the region into China, the Chinese government has taken various measures in language education to the Uyghur minority. Bilingual education policy is one of them.
Although the policy of bilingual education was proclaimed in 1992, real programmes were widely executed in the 21st century after the 'Great West Development Programme.' However, education of Mandarin Chinese language was mainly emphasized in the bilingual programme, whereas the Uyghur language became a minor language even in minority nationality schools(minzu xuexiao). In some schools of city areas of northern part of the Autonomous Region, the policy seems to be partly successful. But the bilingual policy became an important factor in widening gaps in the Uyghur society among classes, regions, and even generations.
The Uyghurs, on the one hand, seem to accept Mandarin Chinese as a practical tool for them to enter Han-Chinese centered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Uyghurs are cautious enough to sustain their culture in preserving their language. Therefore, present drastic measures in the bilingual education policy cannot be a good tool for perpetual goal of the Chinese government, which would be regional stability and incorporation of the Uyghurs into the Chinese culture. A real measure to accept the Uyghur language in bilingual education policy can make a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Han Chinese and Uyghurs.
신장 위구르 자치구는 중국의 소수민족 지역 중 토착민족인 위구르족의 언어, 문화적 정체성이 강한 곳이다. 중국이 1949년 이 지역을 점령한 이후, 위구르족에 대한 언어정책은 지역 안정과 소수민족정책의 성공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과제였다. 개혁개방 전까지‘한어 교육’을 강조하면서도 소수민족에 대해 비교적 평등한 언어정책을 실시하던 중국은, 1992년 이중언어 교육정책을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공식적으로 실시한다고 선언하였다. 그러나 이중언어 실험반을 위시한 여러 형태로 자치구에서 이루어진 이중언어 교육은 사실상 한어몰입 교육이었다. 한어는 하나의 과목이 아니라 수업의 주된 언어로 사용되고, 위구르어는 공식 교육에서 제한적인 매개 역할만 하게 되었다. 급진적으로 추진된 이중언어 교육정책은 양적으로 실험반 수가 현저하게 늘어나고 실험반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비교적 우수하다는 성과를 보여주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지나친 몰입교육으로 여러 교육적 폐단을 불러왔다. 한어의 역사와 그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부족, 시험과 성적향상만을 위한 한어교육, 영어교육의 취약성 등이 위구르족에 대한 이중언어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위구르 자치구에서 실시되고 있는 이중언어 교육정책은 위구르족의 언어 정체성 및 사회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다. 위구르족은 위구르어에 대한 정체성을 공고히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한어를 도구적 언어로 받아들이는 것 같다. 반면 이중언어 교육정책의 실시는 위구르 사회에서 계층, 지역, 도농 간 차이를 심화시키고, 심지어 세대 차이마저 표출시키고 있다. 이런 현상은 중국으로의 동화적 측면에서 보면 일견 성공한 듯 보이지만, 소수민족 사회의 불안정을 가중시키는 문제점도 제기하고 있다.
소수민족과 한족이 공존하는 곳에서 이중언어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그 방향은 소수민족 학생들에게 더 많은 경제적, 사회적 기회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중언어 교육의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에 맞는 수준과 추진 과정을 마련하여 위구르족과 한족이 안정적으로 공존하는 균형적 이중언어 교육정책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4-11-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 Studies | KCI등재 |
2013-12-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5-2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동북아논총외국어명 : 미등록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9 | 0.49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3 | 0.703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