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IE
SCOPUS
유세포 분석에 의한 각종 칸디다 균종의 Rhodamine 6G 축적 분석 = Species-Specific Differences in Rhodamine 6G Accumulation of Candida Isolates Detected by Flow Cytometric Analysis
Background : Fluorescent dye Rhodamine 6G (R6G) is a substrate of multidrug resistance pumps and its accumulation is reduced in some azole-resistant Candida isolates with the upregulation of multidrug efflux transporter genes. Despite reports on species-specific differences in azole susceptibility
in various Candida species,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reported on the R6G accumulation among clinical isolates of Candida species. In this study, we compared R6G accumulation between six different Candida species.
Methods : The intracellular accumulation of R6G and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of three triazole agents were investigated in 48 strains of six Candida species (14 C. albicans, 9 C. tropicalis, 8 C. glabrata, 8 C. krusei, 7 C. parapsilosis, and 2 C.haemulonii ). R6G accumulation was measured by using flow cytometry and the geometric mean of the fluorescence intensity (GMF) was used to compare the accumulation between the Candida isolates.
Results : The GMF values for the C. tropicalis, C. albicans, C. krusei, C. parapsilosis, and C. glabrata isolates were 167.3±18.5, 126.9±6.6, 88.5±18.5, 50.8±7.0, and 38.1±3.9, respectively. C. glabrata had a significantly lower mean GMF than all the other Candida species (P<0.05). While
some Candida strains with trailing growth phenomenon and increased fluconazole MIC did not have a reduced GMF, three Candida strains with increased MICs to all three triazole agents had a reduced GMF.
Conclusions : This study found species-specific differences in R6G accumulation in Candida. In addition, the intracellular R6G accumulation can be used to investigate the drug efflux mechanism in azole-resistant Candida strains.
배경 : 형광물질인 rhodamine 6G (R6G)는 칸디다의 다약제
내성 펌프를 통해 균 밖으로 배출되는데, 다약제 내성 유출 유전
자가 과발현된 azole 내성 칸디다 균주에서 R6G의 세포내 축적
이 감소됨이 밝혀졌다. 칸디다의 azole 약제에 대한 감수성 정도
는 균종에 따라 서로 다름이 관찰되고 있는데, 서로 다른 칸디다
균종 간의 세포내 R6G 축적을 비교한 연구는 아직 시행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6종의 칸디다 균종을 대상으로 세포내 R6G
축적양을 측정하여 비교하여 보았다.
방법 : 칸디다 임상균주 및 표준균주 48주(Candida albicans
14주, Candida tropicalis 9주, Candida glabrata 8주, Candida
krusei 8주, Candida parapsilosis 7주 및 Candida haemulonii
2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3가지 azole 항진균제(fluconazole,
itraconazole, voriconazole)에 대한 감수성 검사는
CLSI M27-A2의 broth microdilution법을 이용하여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하였고, 칸디다 균
주의 세포내 R6G 축적 정도는 FACscan flow cytometer (BD
biosciences, USA)를 이용하여 geometric mean of fluorescence
intensity (GMF)를 측정하였다.
결과 : 세포내 R6G 축적을 측정하여 얻은 GMF의 평균은 균
종별로 C. tropicalis, C. albicans, C. krusei 및 C. parapsilosis에서
각각 167.3±18.5, 126.9±6.6, 88.5±18.5 및 50.8±
7.0순이었고, 가장 낮은 GMF를 보인 균종은 C. glabrata로서
(평균 38.1±3.9) 다른 균종에 비해 의의 있게 낮았다(P<0.05).
Trailing성장을 보인 5주와 fluconazole에서만 약제의존성 내
성(MIC 16-32 μg/mL)을 보이는 2주에서는 GMF의 감소가 관
찰되지 않은 반면, 세 가지 azole 항진균제 모두에 대한 MIC가
증가된 4주 중 3주(C. glabrata 2주 및 C. parapsilosis 1주)에
서 낮은 GMF가 관찰되어 다약제 유출에 의한 내성기전이 시사
되었다.
결론 : 6종의 칸디다를 대상으로 세포내 R6G 축적량을 측정
한 결과, GMF의 평균값은 다른 칸디다 균종에 비해 C. glabrata에서
낮게 측정되어 칸디다 균종에 따라 R6G 축적량에 차이
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R6G의 축적 검사는 azole 계열
132 문창진∙신종희∙김다운 외 5인
항진균제에 내성을 보이는 칸디다 균주에서 다약제 약물 유출에
의한 내성기전을 조사하는데도 이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12-05-2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The Korean Journal of Laboratory Medicine ->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Laboratory Medicine ->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학술지 분리 (기타) | KCI등재 |
2010-06-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진단검사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Laboratory Medicine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1 | 0.18 | 1.1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1 | 0.81 | 0.458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