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기획논문>: 조선시대 사행(使行)과 사행 문화 : 경정(敬亭) 李民宬의 『계해조천록(癸亥朝天錄)』 소고 = Special Edition : Review of 『Gyehaejocheonrok』 written by Gyeongjeong Minseong Le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36(2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경정(敬亭) 이민성(李民宬)은 1623년 3월 반정으로 등극한 인조의 책봉을 주청하기 위한 책봉주청사 서장관으로 정사 이경전(李慶全), 부사 윤훤(尹暄)과 함께 해로를 통하여 명나라를 다녀왔다. 이민성은 이 때의 사행 경험을 『계해조천록(癸亥朝天錄)』과 「연사창수집(燕사唱酬集)」으로 남겼다. 「연사창수집」은 사행 당시 정사·부사와 함께 수창했던 시문을 모은 시문집으로 『경정집』 권 6·7·8에 수록되었으며, 사행과 관련한 노정과 사건 등을 일기형식으로 기록한 『계해조천록』은 『경정집』 속집권 1·2·3에 수록되어 있다. 이민성은 사행을 마치고 1624년 4월에 돌아온 후 고향으로 돌아가 1624년 5월에 「연사창수집」의 시문을 여정의 순서대로 편집하였으며, 『계해조천록』도 함께 완성하였다. 당시 해로사행에서 삼사가 함께 갈 경우 6척의 배가 출항하였는데, 이민성은 당시 사행시 출항했던 6척의 배와 각 배에 승선한 명단과 인원수, 직업, 그리고 배의 크기 등에 대하여 세세하게 기록해 두었다. 당시 해로사행의 규모와 참가 인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을 통해 반정으로 등극한 인조가 자신의 책봉에 대해 매우 고심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의주 상인들이 등주에서 장사하기 위해 격군(格軍)이되려한 사실과 이를 통제하기 위해 요패(腰牌)를 나누어 주었던 사실을 적어 놓음으로써, 후금 세력으로 인하여 명나라와의 육로 교역이 어려워진 의주 상인들이 등주와 무역하기 위해 노력했던 당대의 삶의 모습도 읽어낼 수 있다. 이민성이 사행 당시 이용한 해로는 평안도 선사포에서 중국 등주에 이르는 뱃길이었다. 등주에 상륙한 후에는 육로로 등주에서 출발 추로(鄒魯) 지역을 지나 북경에 이르렀다. 당시 중국의 추로지역은 조선조 선비들이 독서를 통하여 추체험을 가지고 있던 곳으로 조선 선비들이 몹시 가보고 싶어 했던 장소이다. 이러한 지역을 지나면서 서술한 『계해조천록』은 앞선 대명 사행문학이 매일 하루 동안의 노정을 적고 그날 있었던 사건을 기록했던 일기체 양식을 계승하였으며, 6월 13일 등주에 도착한 후부터 육로로 북경에 도착할 때까지의 약 40일간의 노정에 대하여 추로 지역에 대한 고적과 풍속 등을 객관적으로 묘사하고 역사적 사실에 대해 하나하나 고증하였다. 따라서 『계해조천록』은 앞선 대명 사행문학 작품들과 달리 인문지리지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 있다. 인문지리적 성격이 강한 이민성이 『계해조천록』은 이후 해로 대명 사행문학 작품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해로사행을 기록한 사행록 중에 서술 방식 자체가 일기형식이 아닌 각 노정별로 묶어 지리지로 서술하고 지도를 삽입한 작품도 나오게 된다.
더보기Gyeongjeong Minseong Lee went to China as a seojanggwan, documentation officer with Jeongsa Kyeongjeon Lee and Busa Hweon Yun during Ming dynasty by sea to petition to proclaim Injo who restored in Mar. 1623 to the throne. Minseong Lee wrote about this official journey in Gyehaejocheonrok and ‘Yeonsachangsujip’ . ‘Yeonsachangsujip’ is a collection of poems chanted by Minseong Lee, Jeongsa and Busa, which was recorded in Vol. 6, 7 and 8 of Kyeongjeongjip and Gyehaejocheonrok which contains the courses and events during the official journey as a form of diary was recorded in Vol. 1, 2 and 3 of the sequel to Kyeongjeongjip. Minseong Lee came back from his official journey in Apr. 1624 and went to his hometown in May. 1624 and then edited the poems of Yeonsachangsujip according to the order of journey and completed Gyehaejocheonrok. At the time when the three officers went on the journey by sea, six ships departed and Minseong Lee recorded about the six ships and the list, number and occupation of the persons on board, the size of the ships and etc. in detail, which enables the scale and number of participants on the official journey to be identified and it can be assumed that Injo who restored had taken great pains over his being appointed as the king. Also, the lives of merchants of Euiju who struggled to trade with Deungju, a new route for trade with China due to the block of land route for trade with China are assumed by the wooden plates distributed to control the persons in Euiju who wanted to be assistants for engaging in business in Deungju. The seaway used for the official journey of Minseong Lee was a waterway from Seonsapo in Pyeongan province to Deungju in China. After arriving at Deungju, he went to Beijing by passing Churo in land routes. Churo was a place scholars of Joseon wanted to visit very much because scholars of Joseon used to have Nacherleben through reading books in Churo. Gyehaejocheonrok succeeded the writing style of diary which records daily events every day from envoy’s travel literature and investigated the historical facts and described objectively the remains and customs of Churo region regarding the journey of forty days in detail from the day he arrived at Deungju in Jun. 13 to the day he arrived at Beijing. Therefore, Gyehaejocheonrok has strong characteristic of anthropogeography unlike former envoy’s travel literature. Gyehaejocheonrok which has strong characteristic of anthropogeography written by Minseong Lee affected envoy’s seaway travel literature afterwards and the works of geography with maps describing the seaway journey based on the route, not diary style were created.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