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Investigating Inequitable Access to Higher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 A Case of Centro Preuniversitario, UNMSM in Peru = 개발도상국 고등교육 접근 기회의 불평등 탐색 : 페루 산마르코스국립대학 내 입시준비기관을 중심으로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In the international arena, discussions are actively underway to achieve equitable access to higher education through initiatives such a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While there is no binding obligation at the national level to enhance the equity of higher education access, the Cordoba Reform, which had a widespread impact in the Latin American region, serves as the basis for specific societal expectations placed on public universities of Peru. Peruvian public universities are aware of their role in this regard. With the expansion of demand and supply in higher education, Peruvian public universities have transitioned from elite to popularized institutions since the 1960s.
    However, in the 1990s, public universities established Centro Preuniversitario (Preuniversity Center, hereafter ‘CEPRE’), a type of private supplementary education (PSE) institution to prepare applicants for their university entrance exams within their campuses, ostensibly with the goal of admitting academically prepared students to the university while providing more opportunity for higher education to low-income individuals. However, within this context, the period during which university aspirants enroll and study at CEPRE is not recognized for any level of secondary or higher education. CEPREs exist in both 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that rank above a certain level. Modeled after ‘academies’ that had been preparing students for competitive university admissions exams since the 1960s, CEPREs also gained legal standing in 1983. As higher education expanded, students entering university exhibited a broader socio-economic spectrum, and those who had received lower-quality public education struggled to meet the academic standards required by universities. This led to the emergence of academies as businesses, mirroring the financial challenges faced by public universities, which, in turn, implemented a similar model within the university.
    The fact that the state permits each public university to operate a CEPRE and generate its own profits is not unrelated to the global trend of neoliberalism or education privatization. In other words, the public university CEPRE is a system with elements of neoliberalism within a state-supporte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Meanwhile,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and parents, public university CEPREs function in the same way as PSE taken to prepare for university entrance exams.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the CEPRE as an extreme form of PSE that exists at the point of transition from secondary education to higher education. While PSE is generally known to exacerbate educational inequity, CEPRE is notorious for charging higher tuition fees than any other academy. Against this backdrop, this dissertation examines how the inequity of higher education access opportunities is manifested through the case study of a CEPRE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San Marcos (UNMSM) in Peru. This research specifically addresses the lack of studies examining the impact of PSE in inequities during the transition from secondary to higher education in the context of developing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atterns of inequitable higher education access in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PSE during the university admissions proces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does inequity in higher education access occur through public university CEPREs?
    - What are public university CEPREs?
    - How do public university CEPREs function?
    2) What are the educational systematic factors that explain the ongoing presence of public university CEPREs?
    This research is a qualitative case study conducted locally in Peru, incorporating literature reviews and interview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40 participants, including current students of UNMSM, professors, officials of CEPRE UNMSM, and so on. The analytical framework adopted was based on the method used in Zhang & Bray's (2018) study on private tutoring in China. Their findings demonstrate that education equalization policies in Shanghai, China, have inadvertently exacerbated the concerns of middle-class and above parents who wish to maintain competitive advantages. This has led them to actively engage in private tutoring, ultimately offsetting the intended effects of equalization policies. The differentiation and tracking phenomena within China's private tutoring institutions reveal that high-incom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receive quality private tutoring and, furthermore, have a higher likelihood of entering elite schools. Following this approach, this paper analyzes Peru's university admissions preparation methods by ‘differentiation of access’ and ‘sorting mechanisms.’ This framework aligns closely with Lucas's (2001) Effectively Maintained Inequality (EMI) theory. The EMI theory argues that despite quantitative expansion in education, students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continue to have an advantageous position in progressing to higher educational levels or entering universities through qualitative differentiation. However, Zhang & Bray (2018) provide an analytical framework illustrating how private tutoring can serve as a form of qualitative differentiation utilized by students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analysis of ‘differentiation of access’, CEPRE UNMSM charges higher costs to students than any other university admission preparation method, and it was observed that students with higher socioeconomic backgrounds are more likely to utilize the CEPRE. Additionally, a certain level of academic foundation is required to compete with other students within the CEPRE. Secondly, when analyzed through ‘sorting mechanisms’, the exclusive entrance system, known as ‘ingreso directo (direct admission)’, operated only by CEPREs, provides additional opportunities only to students with economic capital. Furthermore, comparing the operation of academies and public university CEPREs, the former focuses on providing a strong academic foundation, while the latter emphasizes practical problem-solving.
    Public university CEPREs that have been nominally operated to enhance the equity of higher education access can be seen as primarily a profit-seeking business. The reasons for the existence of public university CEPREs can be explained by low-quality public education, differences in the direction of national curriculum of secondary education and public university entrance exams, the lack of quality university supply for socioeconomically vulnerable groups, and financial issues in public universities. In addition, public university CEPREs’ own unique operational strategies interact with the social systemic factors, allowing it to thrive. Therefore, public university CEPREs arose from various education issues in Peru.
    Public university CEPREs, with their distinctive identity,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equity in higher education access based on the EMI theory. Although higher education opportunities have quantitatively expanded in Peru, the emergence of PSE for university admissions exams was driven by an incomplet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tructural issues. Among public university aspirants, those with socioeconomic capital use PSE as a form of qualitative differentiation, entering high-quality universities and perpetuating the inequities. First, public university CEPREs with significantly high economic and academic entry barriers and employing the direct admissions modality, were found to be un helpful in improving the equity of access to higher education for public university aspirants. This direct admissions system in which 10 to 30% of the total admission capacity is allocated for the internal exam-takers in CEPREs, admits top-performing students directly from the CEPREs to the university. Second, students belonging to higher socioeconomic strata effectively utilize CEPREs to gain an advantageous position when entering the university. Among public university aspirants, high- income students tend to enter into prominent fields of study, and those entering those fields tend to have higher university admission rates when preparing for exams at CEPRE rather than at the academies. In contrast, students with lower socioeconomic status tend to enter less-pursued fields of study, and those preparing for admission to those majors at CEPREs often fail to fill even the allocated quota for the direct admissions modality due to insufficient scores. Considering how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students have since childhood influences the level of public education they receive, determines the need for or choice of PSE for university admission, and even impacts their eligibility for desired university admission, it is evident that educational and social inequity are reproduced based on socioeconomic status, and PSE for university admission solidifies this tendency.
    While public university CEPREs may have encourage the survival of PSE, it should be viewed not merely as an individual university's financial problem- solving strategy but rather as a problem within the overall education system. Students and parents facing various educational issues tend to seek PSE, and public universities have their own strategies to secure revenue. These two align together resulting in the persistence of public university CEPREs that exacerbate inequitable higher education access for students of different socioeconomic background. However, not only in Peru but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privatization policies in education are functioning as a means to drive the expansion of education, supplementing or even replacing public education based on the qualitative issues. In many cases, PSE serves as a temporary solution to the failure of public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evaluate whether the phenomenon of nominally expanding higher education access for low-income group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educational privatization genuinely enhance the equity of higher education access. In doing so, it is crucial to consider the broader factors that enable it, rather than merely seeking ways to eradicate PSE itself.

    Keywords: Higher education access, Public university, Private supplementary education, Inequity, Equity, Peru, Education privatization
    Student Number: 2016-30454

    더보기

    국제사회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등을 통해 형평성 있는 고등교육기회를 달성하기 위한 논의가 활발하다. 각 국가 차원에서 고등교육기회의 형평성 제고를 이행할 ‘의무’는 없으나 중남미 전역에 영향을 미친 코르도바 개혁을 바탕으로 페루 국립대는 특별히 요구 받는 사회적 기대를 가지며 대학 자체적으로도 그와 같은 역할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 고등교육 수요와 공급이 확대되며 페루 국립대는 엘리트 대학에서 벗어나 1960년대 이후 대중적 대학으로서의 정체성을 지니게 되었다. 그런데 페루 국립대는 1990년대 Centro Preuniversitario(이하 CEPRE)라는 대학입시 사교육 기관을 대학 내에 설립하면서, 학업적으로 준비된 학생들을 대학에 합격시키되 저소득층에게도 고등교육의 기회를 주는 것을 표면적 목적으로 하였다. 다만, 이 때 각 대학 지망생들이 CEPRE에 등록하여 수학하는 기간은 중/고등교육 중 그 어떤 학력으로도 인정되지 않는다. CEPRE는 국립대뿐 아니라 중상위권 이상의 사립대에 존재한다. 이는 1960년대부터 국립대를 중심으로 경쟁력 있는 대학들의 입시를 준비시켜주던 학원 개념의 ‘아카데미’를 모방한 것으로, CEPRE의 설립과 운영에 대한 법적 근거도 1983년에 마련되었다. 고등교육이 확장되며 대학에 진학하는 학생들의 사회경제적 배경 스펙트럼이 넓어졌고, 낮은 질의 공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대학에서 요구하는 학업적 수준을 충족하지 못하자 자연스럽게 아카데미가 하나의 비즈니스로 생겨났던 것인데, 그 과정에서 특히 재정적 문제를 겪던 국립대가 법적 기반을 근거로 아카데미와 유사한 형태를 대학 내에 도입했던 것이다. 정부가 국립대로 하여금 CEPRE를 운영하고 그 곳으로부터 자체 수익을 창출해도 된다고 허가하는 것은 사실 전세계적인 신자유주의 혹은 교육민영화의 흐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즉, 국립대 CEPRE는 국가의 지원을 받는 고등교육기관 내에 신자유주의적 측면의 요소가 가미된 시스템이다.
    한편, 국립대 CEPRE는 학생과 학부모 입장에서 볼 때 대학 입시 준비를 위해 취하는 사교육과 같은 형태로 기능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CEPRE를 ‘중등교육에서 고등교육으로 전환되는 시점에서의 극단적 형태의 사교육’으로 상정하고자 한다. 보통 사교육은 교육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기제로 알려져 있는데 CEPRE는 그 어떤 아카데미보다도 높은 교육비를 책정한다. 이러한 상황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페루 국립대 CEPRE라는 기관을 통해 고등교육 기회의 불평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산마르코스 국립대학(이하 UNMSM)을 사례로 살펴보았다. 특별히 개발도상국을 배경으로 중등교육에서 고등교육으로의 이행 과정에서 사교육의 불평등에 대한 영향력을 보는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발도상국 고등교육기회의 불평등에 대한 양상을 대학입학의 과정에서 기능하는 사교육을 통해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페루 국립대 CEPRE를 통해 고등교육기회의 불평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 페루 국립대 CEPRE는 무엇인가?
    - 페루 국립대 CEPRE는 어떻게 기능하는가?
    2) 국립대 CEPRE가 존속할 수 있는 교육 시스템적 요인은 무엇인가?
    페루 현지에서 질적 사례연구로 문헌 연구와 면담을 병행하였으며, 면담은 UNMSM 재학생, 교수진, CEPRE 기관장 등 총 4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분석틀은 Zhang & Bray (2018)의 중국 사교육 관련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을 취하였다. 이들의 연구는 중국 상하이의 교육 평등화 정책이 오히려 경쟁적 지위를 유지하고 싶은 중산층 이상 학부모들의 불안을 가중시켜서 그들이 사교육을 적극 이용하도록 만들었고, 결국 평등화 정책이 상쇄되었음을 주장한다. 중국의 사교육 기관 내 차별화 및 계열분리(tracking) 현상을 통해 고소득층 학생들이 양질의 사교육을 받거나, 더 나아가 엘리트 학교에 진학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차용하여 본 논문은 페루의 대학입시 준비 방법을 접근방법의 차별화(Differentiation of access)와 분류 메커니즘(Sorting mechanisms)으로 구분해 분석하였다. 이 분석틀은 본 논문의 ‘논의’ 부분에서 적용할 Lucas(2001)의 Effectively Maintained Inequality(이하 EMI) 이론과 상당히 맞닿아 있다. EMI 이론은 교육의 양적 확대가 이루어진다고 할지라도 여전히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학생들이 질적 차별화 방식을 사용해서 상위 교육단계로의 진급 혹은 대학 진학 시 유리한 위치에 있음을 주장한다. 그런데 Zhang & Bray (2018)는 사교육이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학생들이 이용하는 일종의 질적 차별화 방식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분석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접근방법의 차별화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국립대 CEPRE는 그 어떤 타 대입 준비 방법보다도 높은 비용을 학생들에게 요구하며, 사회경제적 배경이 높은 학생들일수록 국립대 CEPRE를 많이 활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정 수준의 학업적 기초가 형성되어 있어야 국립대 CEPRE에서 다른 학생들과 경쟁이 가능하다. 두 번째, 분류 메커니즘으로 분석했을 때 국립대 CEPRE에서만 운영하는 무시험 입학(ingreso directo)제도는 경제자본이 있는 학생들에 한하여 추가 응시기회를 얻도록 한다. 또한 아카데미와 국립대 CEPRE의 작동방식을 비교해 볼 때 전자는 기초부터 탄탄히 가르쳐주는 반면 후자는 실전 문제풀이 위주이다.
    고등교육기회의 형평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명목으로 운영되어온 국립대 CEPRE는 실질적으로 자체 수익을 확보하고자 하는 ‘비즈니스’에 그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정체성을 지닌 국립대 CEPRE가 존속할 수 있는 이유를 거시적으로 살펴볼 때 낮은 질의 공교육, 국가교육과정과 국립대 입학시험 문제의 방향성 차이,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이 진학할 수 있는 양질의 대학 공급 부족, 그리고 국립대의 재정적 문제로 설명된다. 이러한 교육 시스템적, 사회적 환경에 더하여 CEPRE 자체적인 특수한 운영 전략들이 상호작용한 결과 국립대 CEPRE는 호황을 누릴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국립대 CEPRE는 페루를 둘러싼 여러 교육 문제에 기생하는 존재이다.
    이러한 정체성을 지닌 국립대 CEPRE가 고등교육기회의 형평성 측면에서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 EMI 이론을 바탕으로 해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고등교육기회가 페루 내에서 양적으로 확대되어왔지만, 온전치 않은 교육환경과 구조적 문제들로 인해 대학입시 사교육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국립대 지망생들 안에서 사회경제적 자본을 가진 학생들이 대입 사교육을 일종의 질적 차별화 방식으로 사용하여 양질의 대학에 진학하며, 이로써 고등교육기회의 불평등이 잔존한다. 첫번째로, 상당히 높은 경제적 및 학업적 진입장벽이 있는 국립대 CEPRE는 무시험 입학이라는 입시 전형의 하나로 활용이 됨으로써 국립대 지망생들의 고등교육기회의 형평성 제고에 그다지 도움이 되는 방식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CEPRE에서 자체 시험을 통해 최상위 성적 학생들을 무시험 입학으로 대학에 합격시키는데, 그것이 총 입학정원의 10-30%에 해당된다는 점으로 이를 설명할 수 있다. 두번째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축에 속하는 학생들이 CEPRE를 유용하게 활용하여 대학 진학 시 유리한 위치를 점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국립대 지망생 중에서 고소득층이 인기학과에 진학하고, 인기학과에 진학한 학생들이 아카데미에서보다 CEPRE에서 입시를 준비할 때 대학 합격률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비인기학과에 진학하는데, CEPRE에서 비인기학과 입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최저 점수 미달로 무시험 입학 전형에 할당한 정원조차 채우지 못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학생들이 어릴 적부터 지닌 사회경제적 배경이 그들이 경험하게 되는 공교육의 수준을 결정하고, 그것이 대입 사교육 필요 여부나 선택을 결정하며, 원하는 대학 진학 여부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통해,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교육 및 사회적 불평등이 재생산되고 대입 사교육이 그 과정을 공고화 시킴을 볼 수 있다.
    페루 국립대가 생존을 위해 사교육을 조장하였지만 CEPRE는 단순히 개별 대학의 재정문제 해결 전략이 아니라 국가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총체적 교육 시스템의 문제로 바라보아야 한다. 낮은 공교육의 질을 포함한 여러 문제를 직면한 학생과 학부모는 사교육을 모색하게 되고, 그에 국립대의 자체 수익 확보를 위한 전략이 만나 국립대 CEPRE의 존속을 가능케 하고 있고, 이에 사회경제적 배경의 차이가 더해져 고등교육기회의 불평등을 만들고 있다. 그런데 페루 뿐만 아니라 많은 개발도상국에서는 교육 민영화 정책이 교육의 확대를 견인하고 교육의 질적 문제를 보완, 심지어 대체하는 수단으로 작동하고 있다. 특히 사교육은 공교육의 실패에 대한 임시방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고등교육기회를 저소득층에 확장하고 교육의 질을 제고한다는 명목의 교육 민영화 현상이 과연 진정한 고등교육기회의 형평성을 제고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검토해야 하며, 이 때 단순히 사교육을 근절시키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큰 틀의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고등교육기회, 국립대학, 사교육, 불평등, 형평성, 페루, 교육 민영화
    학번: 2016-30454

    더보기
    • ABSTRACT i
    • LIST OF TABLES ix
    • LIST OF FIGURES xii
    • LIST OF ABBREVIATION xiii
    • CHAPTER I. INTRODUCTION 1
    • 1.1. Research Background 1
    • 1.2. Problem Statement 6
    • 1.3. Purpose of the Study and Research Questions 8
    • 1.4. Terminology 11
    • 1.5. Contents of Research 13
    • CHAPTER II. LITERATURE REVIEW 15
    • 2.1. Equity in Higher Education Access 15
    • 2.1.1. Universal and Equitable Access to Higher Education 15
    • 2.1.2. Inequitable Access to Higher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18
    • 2.2. Private Supplementary Education and Inequity in Developing Countries 23
    • 2.2.1. Private Supplementary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nd its Effects on Inequity – Focusing on Higher Education Access 24
    • 2.2.2. Differentiating Shadow Education and Peru’s Private Supplementary Education for (Public) University Admission Examination 32
    • 2.3. Theoretical Framework 34
    • CHAPTER III. METHODOLOGY 44
    • 3.1. Research Methods 44
    • 3.1.1. Case Study 44
    • 3.1.2. Case Selection 45
    • 3.2. Research Design 51
    • 3.2.1. Data Collection 51
    • 3.2.2.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57
    • 3.2.3. Analytical Framework 59
    • 3.2.4. Ethical Considerations 63
    • CHAPTER IV. PRIVATE SUPPLEMENTARY EDUCATION FOR PUBLIC UNIVERSITY ADMISSION IN PERU 65
    • 4.1. Contextual Background: Peruvian Higher Education 65
    • 4.1.1. Current Status of Peruvian Higher Education 65
    • 4.1.2. Historical Overview and Governance of Peruvian Higher Education 71
    • 4.2. Higher Education Access in Peru 87
    • 4.2.1. The System of University Admissions Examination 87
    • 4.2.2. Stratified Pathways of University Access in Peru 89
    • 4.2.3. Measures to Pursue Equity in University Access in Peru 97
    • 4.2.4. The Gap Between Secondary Education and Public University Admission Examination 102
    • 4.3. How Does Inequitable Higher Education Access Occur through CEPRE UNMSM? 114
    • 4.3.1. The Context of Academies and CEPREs in Peru 114
    • 4.3.2. The Case of CEPRE UNMSM 129
    • CHAPTER V. DISCUSSION 166
    • 5.1. Public University CEPRE: A Business that Claims to Promote Equitable Access to Higher Education 167
    • 5.2. Factors Behind Public University CEPREs’ Persistence within the Broader Educational System: A Reluctant Business that Parasitizes on Pressing Educational Issues 171
    • 5.2.1. Low Quality Public Education 172
    • 5.2.2. The Non-Alignment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Public University Admissions Examination 175
    • 5.2.3. Limited Opportunities for Quality University Education 178
    • 5.2.4. Public Universities’ Need to Self-Finance – Issue of Education Privatization 180
    • 5.3. Effectively Maintained Inequality of Higher Education Access for Public University Aspirants in Peru 192
    • 5.3.1. An Inequitable Environment: The Purchase of Exam Opportunities through Financial Resources 195
    • 5.3.2. CEPRE is not a Mechanism that Benefits All Applicants 201
    • 5.3.3. Summary 204
    • CHAPTER VI. CONCLUSION 207
    • 6.1. Summary of the Study 207
    • 6.2. Implications of the Study 214
    • 6.3.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rther Suggestions 218
    • BIBLIOGRAPHY 223
    • APPENDICES 245
    • 1. IRB Approval Letter 245
    • 2. Photos of Peruvian Private Supplementary Education 246
    • 3. Tables Supporting the Main Text 247
    • 4. Notice on Recruitment of Students: CEPRE UNMSM Ordinary Cycle 259
    • 국문초록 2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