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화란개혁주의 관점에서 조명한 개혁주의생명신학 = Reformed Life The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Dutch Reformed Theolog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40(30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article studies how the core value of the Christian Gospel, “the Kingdom of God,” should be interpreted in relation to the theological theme of “Church and Stat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formed perspective. First, with the methodology of the historical theology, I study the Dutch Reformed theology in the early modern era of the sixteenth century interprets the Kingdom of God, and examine how the Reformed Life Theology interprets this theme. In the end, the Reformed Life Theology is illuminated from the viewpoint of the Dutch Reformed.
According to Dutch Reformed Theology, the Kingdom of God begins with a spiritual Kingdom where the Word of God is proclaimed and sinners gain the life. Faced with the rising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and theology, Reformed Life Theology also finds a solution in the Gospel of Life of Jesus Christ. In this respect, Reformed Life Theology shows theological characteristics consistent with Dutch Reformed Theology.
The Dutch Reformed Church was able to actively and positively contribute to modern history by applying Calvin’s theology of the Kingdom of God to the dynamic situation of the Netherlands, which was developing into a modern united republic. Calvin and the Dutch Reformed Theology understood the Kingdom of God as God's dual rule, and emphasized that the state must have the justice, while Church and State that carry out the reign of God are distinguished. Reformed Life Theology clearly interprets the Kingdom movement as a movement that realizes the lordship of Jesus Christ throug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in all areas of faith and life. In this context, an in-depth study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on God’s reign through the State and society is required.
The history of Dutch Reformation shows that when the Christians, who gained the life of salvation through the Word of God, lived according to their faith in the Kingdom of God, they contributed to the opening of modern civil society, as well as to the Dutch Reformed Church.
Reformed Life Theology, which has a clear orientation to the Kingdom of God, is also expected to make a historical contribution to supplying spiritual life to the secularized and power less modern church and theological world and establishing God's justice in the modern society.
본 논문은 기독교 복음의 핵심 가치인 “하나님 나라”가 “교회와 국가”라고 하는 신학적 주제와 관련해서 어떻게 해석되어야하는지 개혁주의 관점에서 연구한다. 먼저 16세기 근세 초 화란개혁주의 신학은 하나님 나라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역사신학적으로 고찰하며,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이 주제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결국 화란개혁주의의 관점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조명한다.
화란개혁주의에 의하면 하나님의 나라는 하나님의 말씀이 선포되어 죄인이 생명을 얻게 되는 영적인 나라에서 시작한다. 한국 교회와 신학의 한계 상황을 직면하면서 개혁주의생명신학도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의 복음에서 해결을 찾는다. 이런 면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은 화란 개혁주의와 일치되는 신학적 특징을보여주고 있다.
화란 개혁교회는 칼빈의 하나님 나라 신학을 근대적 연방공화국으로 발전하던 네덜란드의 역동적 상황에 적용함으로 근세 역사에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공헌할 수 있었다. 칼빈과 화란개혁주의는 하나님의 나라를 하나님의 이중의 통치로 이해하면서 하나님의 통치를 수행하는 교회와 국가는 구별되면서도 국가는 반드시 정의로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하나님나라운동을 신앙과 삶의 모든 영역에서 성령의 도우심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주되심을 실현하는 운동이라고 명확하게 해석해내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국가와 사회를 통한 하나님의 통치에대한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심화된 연구가 요청된다.
화란 개혁주의 역사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구원의 생명을 얻은성도들이 하나님 나라 신앙대로 살아갔을 때 교회를 살릴 뿐 아니라 근대 시민사회가 열리는 데 공헌하게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나님 나라 지향성이 선명한 개혁주의생명신학도 세속화되고 무기력해진 현대 교회와 신학계에 영적 생명을 공급하고 하나님의 정의를 세우기 위한 역사적 공헌이 있기를 기대한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