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새로 쓰기와 기억/망각화 작업 - 역사와 기억 그리고 정체성 = Neue Geschichtsschreibung, Erinnern und Vergessen - Geschichte, Gedachtnis und Identita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6
작성언어
-주제어
KDC
800
등재정보
구)KCI등재(통합)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11-436(26쪽)
제공처
소장기관
In der vorliegenden Arbeit ist unter der Fragestellung, wie die Vergangenheit im Geschichtsbuch als kulturelles Gedachtnis dargestellt und wie sie durch verschiedene Gedachtnismedien behalten, ubergeben und verandert wird, der Mechanismus der neuen Geschichtsschreibung betrachtet worden. Diese Arbeit ist dadurch angeregt worden, dass die neue Geschichtsschreibung neuerdings viel Aufsehen erregt hat. Sie ubt auf das Geschichtsbewußtsein und die Identitat des Individuums und des Volks einen großen Einflußaus, indem sie durch verschiedene Gedachtnismedien in das Gedachtnis eingeht und zugleich das vorhandene Gedachtnis zum Vergessen zwingt. Um den Mechanismus der neuen Geschichtsschreibung zu erklaren, werden drei reale Beispiele angefuhrt, und zwar die Neuschreibung der Borderland`s History in China, die Verdrehung der Geschichte in japanischen Schullehrbuchern und die neue Deutung der Ereignisse vom 18. 5. 1980 in Kwangju. Geschichte selbst wird durch das Interesse und Bedurfnis der Gegenwart gebildet, was bei der neuen Geschichtsschreibung noch deutlicher zum Ausdruck kommt. Sie zielt darauf ab, die vorhandene Geschichtsdeutung umzudrehen, was zum Vergessen und zur Ausloschung des bisherigen Gedachtnisses fuhrt und endlich zur Veranderung der Identitat. Die neue Geschichtsschreibung wird durch das staatliche Interesse oder durch das der Machthaber eines Staates verursacht. Durch sie wird entweder die Geschichte verdreht oder richtig gestellt. Die Neuschreibung der Borderland`s History in China und die Verdrehung der Geschichte in japanischen Schullehrbuchern gehoren zum ersten und die neue Deutung der Geschehnisse in Kwangju zum zweiten Fall. Ob die neue Geschichtsschreibung ihr Ziel erreicht oder nicht, hangt nicht von der effektiven Nutzung der verschiedenen Gedachtnismedien, sondern von der Richtigkeit oder Objektivitat der neuen Geschichtsauffassung ab, was anhand der drei angefuhrten Beispiele bewiesen wird.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