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麗末名儒牧隱李穡的中華思想探析 = 麗末名儒牧隱李穡的中華思想探析
저자
범영총 (香港浸會大學)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09-253(45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本文旨在探討高麗 (公元918∼1392年) 末年名儒牧隱先生李穡 (公元1328∼1396年) 的中華思想. 作爲麗末名儒之一, 李穡於宋代 (公元960∼1279年)性理學在朝鮮半島上的傳承與發揚實有大功, 朝鮮王朝 (公元1392∼1910年)初年的著名性理學者之中, 權近 (號陽村, 公元1352∼1409年) 及鄭道傳 (號三峰, 公元1342∼1398年) 堪稱 “雙璧”, 均曾受學於他; 而李穡對於宋代性理學建基於儒釋道 “三敎合流” 此一事實的認識, 以至其對 “援佛入儒” 的提倡, 更爲麗末群儒中之少數, 足見其對華夏文化的深刻理解與不凡見識. 李穡曾經長期留居中國, 致力學習朱子 (朱熹, 號晦庵, 公元1130∼1200年)性理學, 又參加元朝 (公元1271∼1368年) 科擧, 與元朝官員及學者多有交往,對蒙元政權之本質, 尤其元室對高麗的長久剝削與欺壓, 認識甚深, 頗感不滿. 李穡的詩文作品中, 也曾提及宋朝賜贈高麗 “小中華” 的稱號, 以及宋室將高麗使館命名爲 “小中華館” 等往事; 在其詩作『我昔』中, 更有 “已恥爲小人, 祗願爲君子; 及游學中華, 益勵前日志” 一句, 足見其慕華之情; 也隱然反映他對蒙元出於夷狄的묘視. 李穡的中華思想, 以及他對 “小中華” 的追述, 可說是朝鮮王朝時代“小中華” 意識的起源, 影響至爲深遠. 至於麗鮮易代以後, 李穡恪守 “不事二君”的傳統儒學大義名分思想, 拒絶爲朝鮮王朝效力, 更見其對宋代性理學精神與原則的堅持. 由是, 透過考察李穡的一生言行, 不僅能探究其中華思想, 更能進而察見麗末鮮初改朝換代期間的文化發展圖景, 頗具學術價値.
더보기본문은 고려(A.D.918-1392)말 名儒 牧隱 李穡 선생(A.D.1328-1396)의 중화 사상을 탐구한 논문이다. 고려 말 名儒의 한 사람으로서 李穡은 송대(A.D.960-1279) 性理學이 한반도에 전승, 발양되는데 실로 큰 역할을 하였으며, 조선왕조(A.D.1392-1910) 초기의 저명한 성리학자 중 “雙璧”이라 할 수 있는 권근(호 陽村, A.D.1352-1409) 및 정도전(호 三峰, A.D.1342-1398)이 모두 그에게 수학하였다. 또한 이색은 송대 성리학이 유·불·도의 “三敎合流”에 기반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에서, “援佛入儒”의 제창에까지 이르러, 고려 말 여러 유학자 중에서 드물게, 그의 華夏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와 비범한 식견을 충분히 알 수 있다. 이색은 일찍이 중국에 장기간 거류하며, 朱子(朱熹, 호 晦庵, A.D.1130-1200) 성리학 학습에 진력하였으며, 元朝(A.D.1271-1368)의 과거에도 참가하여 元朝의 관원 및 학자들과 많은 교류를 하였고, 蒙元정권의 본질에 대해, 특히 원 황실의 고려에 대한 장기간 착취와 압박에 대해 깊이 인식하고 자못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이색의 시문 작품 중에서도 일찍이 宋朝가 고려에 “小中華”라는 칭호를 내린 일과, 송 황실이 고려의 使館을 “小中華館”으로 명명한 일 등을 언급하였다. 더욱이 그의 詩作 <我昔>중에는 “已恥爲小人, 祗願爲君子; 及游學中華, 益勵前日志”의 구절이 있어, 그의 ‘華’에 대한 사모의 정을 충분히 알 수 있으며, 그가 蒙元을 夷狄으로 경시한 것도 은연중 반영 되어 있다. 이색의 중화사상 및 그의 “小中華”에 대한 술회는 조선왕조 시대 “小中華”의식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영향이 지극히 컸다. 고려-조선 교체 이후에도 이색은 “不事二君”의 전통유학 대의명분 사상을 엄격히 지켜 조선왕조의 노력을 거절하였는데, 그의 송대 성리학 정신과 원칙에 대한 견지를 잘 보여준다. 따라서 이색 일생의 언행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그 중화사상을 탐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고려 말 조선 초 왕조 교체 기간의 문화발전 모습을 살필 수 있는데, 이는 학술적 가치가 있는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23 | 통합 | KCI등재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9 | 0.79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2 | 0.66 | 1.364 | 0.2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