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현대소설 감상 교육 연구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이 논문은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교육에서 감상을 현대소설 교육의 내용으로 체계화하고 교육적 실천 구도를 설계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어 학습자는 감상을 통해 현대소설의 이해뿐만 아니라 소설텍스트를 해석하고, 삶의 의미를 성찰하고, 자아와 세계를 발견할 수 있다. 그동안 한국어교육에서는 현대소설을 통한 언어·문화의 교육을 넘어 문학에 대한 교육을 중시하였다. 하지만 그러한 현대소설 교육에서 문학 감상은 무엇인지, 문학 감상을 어떠한 방법으로 수행하는지에 대해서는 충분히 논의하지 못했다. 이 논문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대소설 감상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현대소설 감상의 개념과 구조를 밝힌 뒤, 현대소설 감상 교육의 실천 방안을 구안하였다.
    먼저 현대소설 감상의 이론을 논의하기 위해 현대소설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각각 설명하였다.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 감상이란 한국어 학습자들이 텍스트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글로 창조하는 과정이자 자아 정체성을 재구성하는 활동이다. 이때, 텍스트에 대한 이해와 해석은 텍스트에 대한 감식에 의한 평가와 소설 속 타자와의 소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체험, 투사, 갈등 등을 통해 나타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과정에서 현대소설의 올바른 이해가 가능해지고 정확한 감상, 창의적인 감상을 수행할 수 있음을 밝혔다.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 감상의 구조는 크게 이해, 해석, 감상의 범주로 구체화된다. 한국어 학습자는 감상 행위에서 소설텍스트의 미적 형상화를 이해하는 한편 소설 속 타자와 소설 세계에 대한 해석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이해와 해석이, 하나의 완성된 감상 행위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소설 속 타자의 호소와 부름에 응답하여 학습자 개인의 선험지식과 체험을 적극적으로 동원한 글로 표현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감상 행위는, 단순히 이해와 해석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현대소설에 대한 학습자들의 감식과 이를 통한 평가로 실천된다.
    감상 행위의 실천을 살펴보기 위해 제시한 소설텍스트들에 대해 학습자들은 다양한 감상의 양상을 보였다. 구체적으로는 이청준의 〈서편제〉, 하근찬의 〈수난이대〉, 박미하일의 〈발가벗은 사진작가〉라는 소설에 대한 감상문들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에 따라 정리된 이해와 해석, 감상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미학적 형상화에 대한 이해에서는 문학적 표현에 대한 이해, 문학적 장치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참여를 통한 타자체험에 의한 해석에서는 타자 행위와 태도에 대한 해석, 타자체험 동참에 의한 해석, 타자세계 탐색에 대한 해석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자아 성찰에 의한 감상에서는 자아 정체성에 대한 환기, 성찰적 지각을 통한 반성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는 현대소설 교육에서 감상의 교육적 실천을 논의하였다. 우즈베키스탄 한국어교육에서의 현대소설 교실은 다소 수동적인 면을 보이면서도 다양한 문화 간의 충돌이 발생하는 곳이다. 이러한 현대소설 교실의 특성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현대소설의 교육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감상의 구조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감상 양상에 대한 고려가 병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현대소설 감상 교육의 목표를 설정한 뒤, 각각의 목표가 성취되는 단계를 체계화하여 교육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로 현대소설 교실에서 이루어진 감상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감상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느끼는 갈등과 충격 등을 해소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교사와 동료 학습자들이 수행할 수 있는 활동을 구체화하였다.
    감상 수행의 동기화를 위해서는 감상 수행 과정에서 소설 속 타자나 세계와의 접촉의 과정에서 발생한 갈등과 오해의 해소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공감과 포용적 태도로 이루어진 대화를 통해 자신의 체험 결과를 공유해야만 한다. 학습자의 체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감상에 대해 체험을 명료화하고, 감상문으로 표현하여 소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창조적 삶의 구성을 위해서는 감상 결과로서의 반성과 감상 행위로서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학습자 자신의 삶을 타자의 삶으로 치환하여 삶에 대한 전망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
    감상 수행의 과정은 소설텍스트의 타자와 세계에 대한 갈등을 해소하고 고정관념을 타파해준다. 또한 공감적 능력을 성장시키는 과정에서 소설 교실 자체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교육적 기제로 작용한다. 따라서 대화적 소통과 합의를 바탕으로 자기 감상의 결과를 공유하고, 감상 공동체 내의 교사와 동료 학습자들 간의 상호주관적 관계를 기반으로 자기 감상을 통한 삶의 전망을 마련하는 것이 바로 현대소설 교육의 목표가 된다

    더보기
    • I. 서론 1
    • 1. 문제제기 및 연구 목적 1
    • 2. 연구사 검토 6
    • 3.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12
    • II.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 감상 교육의 이론 24
    • 1. 우즈베키스탄 현대소설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24
    • 1) 현대소설 교육과 관련 교과목 24
    • 2) 현대소설 교육과 관련 교재 28
    • 3) 현대소설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선호도 38
    • 2. 한국어교육에서의 현대소설 감상 교육의 개념과 구조 46
    • 1) 현대소설 감상의 개념과 특성 46
    • 2) 현대소설 감상의 구조 58
    • 3. 한국어교육에서의 현대소설 감상 교육의 의의 64
    • 1) 능동적 참여와 경험의 구체화 64
    • 2) 감상을 통한 소통의 지평 확장 66
    • 3) 문화적 정체성의 확립 68
    • III. 현대소설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 감상의 양상 분석 71
    • 1. 미학적 형상화에 대한 이해 71
    • 1) 문학적 표현에 대한 이해 72
    • 2) 문학적 장치에 대한 이해 86
    • 2. 참여를 통한 타자의 체험과 세계에 의한 해석 92
    • 1) 타자체험 동참에 의한 해석 93
    • 2) 타자세계 탐색에 의한 해석 125
    • 3. 자아 성찰에 의한 감상 140
    • 1) 자아 정체성 문제에 대한 환기 141
    • 2) 성찰적 지각을 통한 반성 148
    • IV. 현대소설 교육에서 감상 교육의 실천 161
    • 1. 현대소설 감상 교육의 목표 161
    • 1) 이해와 표현을 통합한 감상 능력의 획득 163
    • 2) 체험 공유를 통한 소통 능력의 신장 167
    • 3) 세계에 대한 방향성 획득 170
    • 2. 현대소설 감상 교육의 내용 171
    • 1) 형상화 방식에 대한 이해 172
    • 2) 타자 체험을 통한 자기 세계 확장 174
    • 3) 각성을 통한 자기 삶의 실현 176
    • 3. 현대소설 감상 교육의 방법 179
    • 1) 자발적 감상 수행의 동기화 181
    • 2) 인상에 의한 감상 수행의 활성화 184
    • 3) 감상 수행의 환기를 통한 성찰 195
    • V. 결론 213
    • 참고문헌 217
    • Abstract 231
    • 표 차례
    • 〈표 Ⅰ-1〉인터뷰 대상 학습자 정보 14
    • 〈표 Ⅰ-2〉1차 감상문 쓰기 대상 학습자에 대한 정보 15
    • 〈표 Ⅰ-3〉2차 감상문 쓰기 학습자 정보 16
    • 〈표 Ⅰ-5〉1차 연구 자료의 수집 기간 19
    • 〈표 Ⅰ-6〉2차 연구 자료의 수집 기간 20
    • 〈표 Ⅱ-1〉 한국어(한국어교육) 관련 교육 과정 26
    • 〈표 Ⅱ-2〉한국 문학 관련 교육 과정, 문학 강좌, 교수 요원 27
    • 〈표 Ⅱ-3〉『Modern literature of Korea』 교재에 수록된 문학 작품 30
    • 〈표 Ⅱ-4〉 『외국인을 위한 한국 문학사』 교재에 수록된 문학 작품 32
    • 〈표 Ⅱ-5〉 『한국 현대문학 산책』 교재에 수록된 문학 작품 34
    • 〈표 Ⅱ-6〉 학습자의 한국 문학에 대한 관심도 39
    • 〈표 Ⅱ-7〉 한국어교육의 교수·학습에 대한 만족도 40
    • 〈표 Ⅱ-8〉 한국 문학과 관련 개설 과목에 대한 요구도 40
    • 〈표 Ⅱ-9〉 한국 현대소설에 대한 관심도 42
    • 〈표 Ⅱ-10〉문학 장르 학습 필요성에 대한 요구도(복수응답가능) 43
    • 〈표 Ⅱ-11〉 한국 소설 학습에 대한 요구도 43
    • 〈표 Ⅱ-12〉 한국 소설 학습에 대한 수업의 효과(복수응답가능) 44
    더보기
    • 1 이돈희, "『존 듀이』", 서울대출판부, 1992
    • 2 우한용, "『창작교육론』", 태학사, 2009
    • 3 우한용, "문학교육과정론", 삼지원, 1997
    • 4 한용환, "『소설학 사전』", 문예, 문예출판사, 2001
    • 5 남궁달화, "가치탐구 교육론", 철학과현실사, 철학과 현실사, 1994
    • 6 김광명, "칸트 미학의 이해", 철학과 현실사, 2004
    • 7 김상욱, "문학교육의 길찾기", 나라말, 나라말, 2003
    • 8 채운, "재현이란 무엇인가", 그린비, 그린비출판사, 2009
    • 9 강승혜, "『한국문화교육론』", 형설, 대구 : 형설, 2010
    • 10 백남욱, "『한국문화의 이해』", 대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9
    • 11 신춘자, "『현대소설의 이론』", 이회문화사, 이회문화사, 2000
    • 12 김성진, "문학비평과 소설교육", 태학사, 2012
    • 13 김중신, "소설감상방법론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
    • 14 최연희, "『영어 쓰기 교육론』", 한국문화사, 2009
    • 15 전소영, "『하근찬 소설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 16 김대행, "外, 『문학교육원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17 최지현,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 역락, 2007
    • 18 김해옥, "문학 교육과 어휘 교육", 새미, 국학자료원, 2005
    • 19 조정래, "『소설이란 무엇인가』", 평민사, 2001
    • 20 정일호, "『초등교육의 재조명』", 문음사, 문음사, 2004
    • 21 박영민, "독서교육의 성격과 유형", 『청람어문교육』 제31권, 2005
    • 22 임경순, "문학의 해석과 문학교육", 역락, 2003
    • 23 우한용, "(실용과 실천의) 문학교육", 새문사, 새문사, 2009
    • 24 박미하일, 전성희, "역,〈발가벗은 사진작가〉", 수산출판사, 2007
    • 25 김명순, "『소설 감상문 지도 연구』", 목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8
    • 26 김대행,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학」",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3, 서울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지도자 과정, 2000
    • 27 박영순, "『 한국어의 사회언어학』",  , 한국문화사, 2001
    • 28 윤여탁, "『문화교육이란 무엇인가』", 태학사, 2013
    • 29 윤여탁, "외국어로서의 한국문학교육", 한국문화사, 2007
    • 30 이강은, "미하일 바흐친과 폴리포니야", 역락, 역락, 2011
    • 31 고미영, "초보자를 위한 질적연구방법", 청목, 2012
    • 32 조영달, "(제도공간의)질적연구 방법론", 교육과학사, 교육과학사, 2005
    • 33 선주원, "자전적 소설 읽기와 소설교육", 『독서연구』제12호, 한국독서학회, 2004
    • 34 서편제, 이청준, 최원식, 이병주, "등 엮음,『이청준 이병주 외』", 창비, 2005
    • 35 임경순, "서사, 연대성 그리고 문학교육", 푸른 사상, 2013
    • 36 김한식, "「미메시스 해석학을 위하여」", 한국불어불문학회, 『불어불문학연구』 제79집, 2009
    • 37 김영숙, "「바흐친과 다문화사회 담론」", 한국노어노문학회, 『노어노문학』 제24집 2권, 2012
    • 38 김한식, "「폴 리쾨르의 이야기 해석학」",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제146호, 2007
    • 39 정희모, "『1950년대 한국문학과 서사성』", 깊은샘, 깊은샘, 1998, 1998
    • 40 이호철, "外, 『소설, 나는 이렇게 썼다』", 평민사, 1999
    • 41 조현일 ( Hyeon Il Jo ), "리쾨르의 서사이론과 서사 교육",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연구』 제22권, 2005
    • 42 김중신, "한국 문학교육론의 방법과 실천", 한국문화사, 한국문화사, 2003
    • 43 민춘기, "「독어독문학과 상호문화학습」", 한국독어독문학회, 『독일문학』 제80권, 2001
    • 44 배규범,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사』", 夏雨, 2011
    • 45 김효정, "문학 수용에서의 공감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 46 김남희, "현대시의 서정적 체험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7
    • 47 홍혜준, "「문학을 이용한 한국어교수법」",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12차 국제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2002
    • 48 우한용, "문학교육과 도덕성 발달의 의미망",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제14집, 2004
    • 49 윤 영, "외국인을 위한 한국소설교육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 50 장미영, "제의적 정체성과 디아스포라 문학", 『한국언어문학』 제 68집, 2009
    • 51 배재원,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문화 교육", 서울 : 혜안, 2014
    • 52 나정선, "외국인을 위한 문학 교육 방법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8
    • 53 정진석, "윤리적 가치 중심의 소설 읽기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2013
    • 54 임경순, "「자아 정체성 형성과 이야기교육」",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제5호, 한국문학교육학회, 2000
    • 55 송명진, "현대소설과 외국인을 위한 문학교육", 『시학과 언어학』 제18권, 2010
    • 56 염창권, "미적 정서의 특성과 문학교육적 함의",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초등국어교육』, 제 36집, 2008
    • 57 김근호, "이태준 소설의 서사 윤리와 소설교육", 『현대소설연구』 제54집, 2013
    • 58 윤여탁, "한국어교육에서 현대 문학 정전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제10권, 2002
    • 59 우신영, "「소설의 가치 탐구 수업 방안 연구」", 『새국어교육』 제86집, 2010
    • 60 이득재, "바흐찐 읽기-바흐찐의 사상?언어?문학", 문화과학사, 2003
    • 61 김근식, 김주영, "역,『천둥 소리(Раскаты грома)』", Рик "Культура", 1999
    • 62 임경순, "다문화 시대 소설(문학)교육의 한 방향", 『문학교육학 』 제36집, 2011
    • 63 황인교, "외국어로서의 한국문학 교육의 가능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제25?26집,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01
    • 64 경규진, "『양상은 중심 문학교육의 방법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3
    • 65 정우향, "바흐친의 대화주의와 외국어 읽기 교육", 박이정, 박이정, 2011
    • 66 윤여탁,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의 위상과 역할", 『국어교육연구』제7집, 2000
    • 67 김순자, "한국어교육에서 소설 텍스트 교육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부산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68 김라연, 박은경 ( Eun Gyung Park ), "「독서 감상문의 구성 요소 분석 연구」", 신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연구』 제17권, 2011
    • 69 양정실, "해석 텍스트 쓰기의 서사교육 방법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6
    • 70 김근호, "「서사적 정체성 경험의 현대소설교육」", 『한국어교육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2010
    • 71 이선이, "『(외국인을 위한) 한국 현대문학 산책』", 한국문화사, 2012
    • 72 김성진, "비평의 논리로 본 문학 수행 평가의 철학",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제3집, 1999
    • 73 정연숙, "문학텍스트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의 양상", 『국어교과교육연구』 제21집, 2012
    • 74 김진기, "『민요적 세계관의 의미구조 - 하근찬론』", 박이정, 1999
    • 75 조하연, "감상(鑑賞)의 개념 정립을 위한 소고(小考)", 『문학교육학』 제15집, 2004
    • 76 조하연, "문학 감상 교육 연구 : 고려속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 77 박완서, 함영준, 이상윤, "역,『박완서 단편소설선(Как их много)』", Vremya, 2010
    • 78 이광복, "문화적 기억과 상호텍스트성, 그리고 문학교육", 『독어교육』 제39권, 2007
    • 79 신주철, "(한국어 교육에서)한국문학 교육의 이론과 실제", 커뮤니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80 윤여탁, "?한국어 문학 교수-학습 방법의 현황과 과제?, ??", 국어교육연구?? 18집, 2006
    • 81 배재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 82 김완균, "다문화주의시대의 문화상호적 문학텍스트 해석", 『독일어문학』 제40집, 2008
    • 83 우한용,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에서 문학의 효용」",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연구』제3집, 서울대학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지도자 과정, 2000
    • 84 Nam, Victor남 빅토르,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 쓰기 교육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85 유승만, "「우즈벡어와 한국어의 형태적 특징 비교연구」", 한국슬라브학회, 『슬라브학보』, 제24권2호, 2009
    • 86 이기성, "「장르통합적 방법을 이용한 한국어 문학교육」",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28집,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03
    • 87 김상욱, "문학에 바탕을 둔 읽기/쓰기 통합의 방법과 의의",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초등국어교육』 제38집, 2008
    • 88 이재호, "서사해석학에 비추어 본 도덕수업의 방법적 원리", 『道德敎育硏究』第24卷 3號, 2012
    • 89 Rosenblatt, Louise M, "『독자, 텍스트, 시 : 문학 작품의 상호교통 이론』", 한국문화사, Rosenblatt, Louise M., The Reader, the text, the poem, 김혜리 & 엄해영 역, 2008
    • 90 조옥영, "『초급 단계 학습자를 위한 소설 지도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 91 박안토니나, "「우즈베키스탄의 한국 문학 교육의 현황과 과제」",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우리말교육현장연구』, 제6호 2권, 2012
    • 92 신윤경, "「한국어 문학 수업을 위한 읽기, 쓰기 통합 방안」", 한국작문학회, 『작문연구』 제7권, 2008
    • 93 박일태, "「원초적인 타인경험으로서 '강한 응답성'의 구성」", 한국하이데거학회, 『존재론 연구』 제28집, 2012
    • 94 유영지,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 교재 분석 및 개선 방안』",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 95 이인화, "소설 교육에서 해석소통의 구조와 실천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
    • 96 이홍매, "『반응 텍스트 쓰기 중심의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 97 우한용, "「소설 텍스트 중심으로 본 문학능력과 한국어교육」",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한국어와 문화』제7집, 2010
    • 98 오지혜, "시적 텍스트 변형을 통한 한국어 어감 이해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박사학위 논문, 2012
    • 99 Palmer, E., "Richard, Hermeneutics, 이한우 譯,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文藝出版社, 2001
    • 100 김승옥, "쿠지나 역, 『서울, 년 겨울(Сеул, Зима 1964года)』", Hyperion,2013, 1964
    • 101 장한업, "이제는 상호문화교육이다 : 다문화 사회의 교육적 대안", 교육과학사, 2014
    • 102 홍서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학 텍스트 분류 방안",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아주대학교석사학위 논문, 2001
    • 103 은희경, "이상은 & 조근희 역, 『비밀과 거짓말(Тайна и ложь)』", Время, 2010
    • 104 이청준, 최인선, "카사트키나 역, 『서편제(Песни Западного края)』", МГУ, 2010
    • 105 김금숙, "『외국인을 위한 한국 문학 교육 목표와 수업 모형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강원대학교박사학위 논문, 2014
    • 106 선주원, "「에피파니 인식과 서사적 정체성 구성을 위한 서사교육」",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회), 『국어교육』제129호, 한국어교육학회, 2009
    • 107 여종현, "「플라톤의 변증법적 방법과 후설(Husserl)의 현상학적 방법」", 『철학과현상학 연구』, 제16집, 2000
    • 108 이종주, "「타자체험(Fremderfahrung)의 세 가지 층위의 구분근거와 전거」", 『철학사상』 제51권, 2014
    • 109 우한용, "서사능력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그 교육에 대한 이론적 탐구", 『문학교육학』 제13집, 2004
    • 110 한영균 ( Young Gyun Han ), 김류보비 ( Lyubou Kim ), 김수경 ( Su Kyung Kim ), "중앙아시아 3국의 한국어 교육 -교육 현황과 특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 제20집 2권, 2009
    • 111 우신영, "『해석교육 연구 - 독자군별 해석텍스트의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5
    • 112 김완일, "알렉산드르 인 역,『마당깊은 집(Дом c глyбoким двором)』", МГУ, 2009
    • 113 김 염,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영상텍스트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
    • 114 오지혜, "국외 한국어교육의 문학 교재 구성을 위한 언어학습자문학 연구", 『새국어교육』 제95호, 2013
    • 115 노금숙,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 문학 읽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 116 신해홍,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해학 소설 이해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 117 박안토니나, "『중앙아시아권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소설교육 방법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 118 박인철, "「이질감과 친근감 - 상호문화성의 양면성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철학과 현상학 연구』 제50집, 2011
    • 119 윤대석, "「결혼 이주자를 위한 한국어 문학 교육 -다문화 소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제34집, 2014
    • 120 박영순, "제 2언어 교육으로서의 문화교육; 한국어의 문화적 요소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제5권 1호, 이중언어학회, 1989
    • 121 최인자, "「문학 독서의 사회 문학적 모델과 “맥락” 중심 문학교육의 원리」", 『문학교육학』제25집, 2008
    • 122 김동리, 이승우, "니코라트-시비르스카야 역,『까치 소리(Плач сороки)』,ИЗДАТЕ?", СТВО, 2010
    • 123 이수안, "지속 가능 공동체의 사회적 가치로서 ‘상호관용’과 ‘상호보살핌’", 『문화와 사회』제7권, 2009
    • 124 박 청, "외국인을 위한 한국 소설 교육 방안 연구, -메밀 꽃 필 무렵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 125 하근찬, "〈수난이대〉, 하근찬, 한무숙 외; 최원식 등 엮음, 『하근찬 한무숙 외』", 창비, 2005
    • 126 김근식, 김주영, "역,『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 (Рыбак не ломаеткамышей)』", МГУ, 2003
    • 127 유 진, "『소설을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 연구 : 하근찬의 <수난이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 128 황인교, "「외국인을 위한 한국 문학교육 -기초단계의 문학작품 읽기를 중심으로-」", 『이화어문논집』 제16집, 1999
    • 129 박현진, "니콜라 프라스키니, 「한국어 학습자의 문학 텍스트 이해 실패 요인분석」", 『이중언어학』 제51집, 2013
    • 130 조희정, "「고전시가를 활용한 투사적 글쓰기 방법 연구 - 〈오우가〉를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제28권, 2009
    • 131 이승우, "마리아 꾸즈네초바 역, 『식물들의 사생활(Тайная жизньрастений)』", Hyperion, 2013
    • 132 배정희, "「텍스트에서 "상호작용과 교섭의 공간"으로 : 문화개념의 변화와 그 함의」", 『독일어 문화권 연구』제17집, 2008
    • 133 김은정, "상호문화 접근법에 기반 한 문화 교육 -프랑스와 한국의 문화 비교 관점에서", 『프랑스어문교육』 제 37집, 2011
    • 134 임경순, "『경험의 서사화 방법과 그 문학교육적 의의 연구 : 유소년기소설을 中心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3
    • 135 이 영,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 이청준의 『축제』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
    • 136 Huang, LuoYing,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교육 연구 : 한국 문학 작품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4
    • 137 이노미, "문화 간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서의 한국과아시아 지역 손짓언어의 비교 연구",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16권2호, 2008
    • 138 손단,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 김승옥의 「무진기행」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 139 선주원, "「서사적 정체성 함양을 위한 놀이로서의 서사 읽기 과정?, 『문학교육학』제29호", 한국문학교육학회, 2009
    • 140 윤여탁, 박은숙, 유영미, "「한국어교육에서 한국 문학 정전 목록 선정 연구 -한국, 미국, 중국을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제34집, 2014
    • 141 오은경, "「우즈벡의 구연자와 구연학파, 알퍼므쉬콘그롯(우즈벡) 판본의 구연본비교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중동연구』 제31권 1호, 2013
    • 142 Hoang, Thi trang,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소설 교육 연구: 간문화적 의사소통을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
    • 143 김연수, "「상호문화적 소통과 오해 -헤벨의 달력이야기 〈칸니트페어스탄〉분석을 토대로」", 한국독일어문학회, 『獨語敎育』 제50집, 2010
    • 144 이수안, "「문화혼종화 양상에 대한 문화이론적 연구 : 년대 이후 한독 문화교섭을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논총』, 제23권 제3호, 2013, 1970
    • 145 백장미, "『현대소설을 활용한 한국 문화교육 방안 연구 : 「사랑 손님과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 146 권오현, "「독어교육 : 상호문화적 문학교육에서 "낯섦 이해"의 문제 -세계문학 교육과 관련하여」",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獨語敎育』 제49집, 2010
    • 147 이희중, "「문학 작품 감상 교육의 연구 방안 : 시 감상 교육의 이론과 수용자의 반응을 중심으로」", 『敎育論叢』 제15집, 2000
    • 148 Nam Victor,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 교육 : 타슈켄트 국립 니자미 사범대 한국어문학과를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語文論集』 제36집, 2006
    • 149 Abbott, H., "Porter, (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narrative, 우찬제 外 역, 『서사학 강의 : 이야기에 대한 모든 것』", 문학과지성사, 2010
    • 150 전병쾌, 은죽남, 조문호, 유기룡,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언어 및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와 그 적응에 과한 연구」", 慶北大學校 語學硏究所, 『語文硏究』 제16집, 1991
    • 151 이홍경, "「독일과 터키문화 간의 상호 문화적 대화 -스탠 나돌니의 소설 『샐림또는 언변의 재능』 연구",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獨語敎育』 제39집, 2007
    • 152 장경숙, "『문학 작품을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가치 체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 153 임규연, "집단탐구(Group Investigation) 협동학습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업 성과의 관계", 한독교육학회, 『교육의 이론과 실천』 제 16집 2권, 2011
    • 154 염은열, "「문학치료의 방법으로서의 독후감 쓰기에 대한 연구 - ‘한국문학치료학회’의 방법을 중심으로 -」", 『독서연구』 제14권, 2005
    • 155 신윤경, "「한국문학 읽기를 위한 어휘 주석 연구 : 사회 문화적 배경지식 및 맥락이해 추가 설명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제11권 1호, 2014
    • 156 이정민, "외국어교육에서의 문화교육 : 상호문화적 의사소통에 요구되는 문화능력의 교수-학습 문제를 중심으로", 『프랑스어문교육』 제31집, 2009
    • 157 김근식, "엮음,『한국 현대 단편선(Сезон дождей : рассказы современныхкорейских писателей)』", Санкт-петербург, 1995
    • 158 Maslow Abraham, "정태연 & 노현정 역, 『존재의 심리학』, 문예, McNeil, John D., Curriculum, 전성연 & 이흔정 공역, 『교육과정의 이해』", 학지사, 2002, 2005
    • 159 이광수, "外, 알렉산드르 인 & 김승우 역,『한국 현대 단편선(Избранныекopeйcкиe рассказы новейшего времени)』", МГУ, 2003
    • 160 주요섭, "外, 알렉산드르 인 & 김효자 역,『한국 현대 단편선(Избранныекopeйcкиe рассказы новейшего времени)』", МГУ, 2003
    • 161 윤 영, "「한국어교육에서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를 위한 문학교육 방법 연구 -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비판적 수용을 바탕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언어와 문화』 제9권2호,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