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고조선단군학』 25년의 성과와 활용 방안 = The Achievements and Applications of The Journal of Gojoseon&Dangun Studies over 25 Years
저자
이승호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1-80(30쪽)
제공처
본 논문은 지난 25년 간 고조선단군학회(단군학회)가 발행해 온 『고조선단군학(단군학연구)』의 연구 흐름을 살펴본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장기간 축적되어 온 학술지의 연구 성과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그리고 지금 우리 학회에 주어진 과제는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간단히 짚어보았다.
먼저 1999년 창간호부터 『고조선단군학』 54호(2024.8)에 이르기까지 본 학술지에 게재된 총 477편의 논문에 대해 연도별 수록 논문 편수를 정리하고 주제별로 논문 게재 상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조선단군학』의 연구 동향은 창립기[1999~2002], 확장기[2003~2014], 과도기[2015~2020]를 거쳐 지금의 정립기[2021~현재]에 이르렀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나아가 학술지 연구 성과의 활용 방안에 대해서는 ①홈페이지 개편(고조선‧단군 학술 DB 구축)과 전자책 발간, ②연구 분야의 확장에 따른 『고조선단군학 연구총서』 편찬, ③신진 연구자 연구 발표 섹션, ④북한 학계 연구 성과에 대한 이해 심화, ⑤재야사학‧사이비역사학[유사역사학]의 최근 역사 인식 분석 등 총 다섯 가지 항목으로 제시해 보았다.
This paper reviews the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 of Gojoseon&Dangun Studies, published by the Gojoseon&Dangun Studies Association over the past 25 years. Additionally, it briefly discusses how the accumulated research achievements of this academic journal can be utilized in the future, as well as the current challenges facing our society.
To begin, the total of 477 articles published from the inaugural issue in 1999 to Issue 54 (August 2024) were analyzed, categorizing them by the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annually and by research topic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 of Gojoseon&Dangun Studies, can be divided into four phases: the Founding Period (1999–2002), the Expansion Period (2003–2014), the Transitional Period (2015–2020), and the current Consolidation Period (2021–present).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s five strategies for utilizing the research outcomes of the journal: ①revamping the website (building an academic database) and publishing e-books, ②compiling a Comprehensive ‘Gojoseon&Dangun Series’ in response to the expansion of research fields, ③creating sections for the presentation of research by emerging scholars, ④deepening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North Korean academia, and ⑤analyzing recent historical perspectives within the pseudohistory scholarship.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