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21세기 중국학계의 고구려 中央官制 연구동향 -⾼福顺 『⾼句丽中央官制硏究』(吉林⼤学出版社, 2015)의 분석- = Research Trends on the Central Administration of Goguryeo in 21st-Century Chinese Academia
저자
이규호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71-292(22쪽)
제공처
본 논문은 高福顺의 『高句丽中央官制硏究』를 중심으로 하여 21세기 중국 학계의 고구려 官制 연구 동향을 살펴본 것이다. 그는 고구려 관제의 발달과정을 건국초기, 漢魏, 晉隋, 唐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이러한 시기 구분은 고구려사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고려했다기보다는 중국 정사 고구려전의 내용을 근거로 나눈 것이다. 특히 건국초기와 漢魏 시기는 사료적으로도 시기적으로도 분명하게 구분지을 수 없는 부분이 많아, 여러 측면에서 초기 관제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晉隋 시기는 흔히 국내 학계에서 고구려 중기(4~5세기)로 파악하는 기간에 해당한다. 국내의 견해와 달리 『위서』를 『주서』, 『수서』와 같은 그룹으로 이해하여 당시의 관제구조를 파악하는 한편, 兄과 使者의 성격을 5부와 결부시켜 신분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사료를 자의적으로 해석하거나, 극히 일부의 사료를 확대해석 하는 경향이 있어, 관제 구조의 운영 양상을 도식적으로 이해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唐 시기는 고구려 후기(6~7세기)에 해당하며, 『한원』 「고려기」의 내용을 근거로 내용을 전개하였다. 그는 당의 9품 관제를 의식하여 비어 있는 품계에 관명을 보입함으로서 완성하려 했으나, 각 관명이 당시의 시대상에 맞는지는 의심스러운 면이 많았다. 또한 대대로와 막리지를 공존한 것이 아니라, 연개소문 정변을 기점으로 대체된 것처럼 이해한 것도 국내와는 다른 시각이라 할 수 있다.
高福顺의 연구는 전반적으로 고구려 지배자 집단의 변화라는 점을 이해의 바탕에 두고, 그에 따라 관제의 변화 양상을 살피고 있다. 연구 방법 자체에는 크게 문제가 없지만, 사료를 활용하고 해석하는 방법 측면에서는 시간적 선후관계나 인물의 변화양상을 면밀히 살펴보지 않은 문제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search trends in the 21st-century Chinese academic studies on the government system of Goguryeo, focusing on Gao Fushun's Research on the Central Administration of Goguryeo. Gao categoriz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Goguryeo's administrative system into the periods of the founding era, Han and Wei Dynasties, Jin and Sui Dynasties, and Tang Dynasty. This periodization is not based on the historical progression of Goguryeo but rather on the contents of Goguryeo-related sections in Chinese historical records.
Notabl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founding era and the Han and Wei periods is ambiguous both chronologically and in terms of available historical records, posing challenges in understanding the early administration of Goguryeo. The Jin and Sui period corresponds to what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generally identifies as the mid-period of Goguryeo (4th–5th century). Unlike Korean scholars, Gao groups the Book of Wei with the Book of Zhou and the Book of Sui to understand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of the time. He links the roles of "Xing" (兄) and "Shizhe" (使者) with the five regional divisions of Goguryeo, interpreting them as representing different social strata. However, his tendency to interpret historical records subjectively or overgeneralize specific sources leads to a dichotomous view of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The Tang period corresponds to the late Goguryeo era (6th–7th century), and Gao bases his analysis on the content of the History of the Yuan Dynasty's Goryeo Section. In an effort to align with the Tang Dynasty's nine-rank system, he fills in the missing ranks with specific titles, though these assignments are often questionable in their historical accuracy. Additionally, his view that the position of Daedaero (大對盧) was replaced by Makriji (莫離支) after the coup led by Yeon Gaesomun differs from the Korean academic perspective, which sees them as coexisting.
Gao's research is primarily grounded in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Goguryeo's ruling class and the corresponding administrative shifts. While this approach is not inherently flawed, his methods of utilizing and interpreting historical sources often overlook temporal and personal dynamics, raising issues in his analysi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