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가야의 南齊 교섭과 ‘本國王’호의 의의 = Dagaya's Negotiations with the Namje and the Meaning of the Bonkukwang(本國王)
저자
신가영 (연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1-74(34쪽)
제공처
이 글에서는 5세기의 국제정세 속에서 대가야가 어떻게 남제와 교섭할 수 있었는지 그리고 교섭 결과로 책봉된 ‘本國王’호가 대가야에 어떠한 의미가 있었는지를 검토하였다.
남제로부터 책봉 받은 보국장군 본국왕호를 근거로 금관국이 남제와 교섭했다고 파악하거나 최근의 발굴 성과를 근거로 안라가 남제와 교섭했을 것으로 추정되기도 하지만, 남제서의 가라국은 대가야로 파악된다.
대가야의 남제 교섭루트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지만, 한반도에서 중국으로 가려면 백제 영역이었던 서해안을 경유해야 했다. 당시 대가야와 백제의 밀접한 관계를 고려하면 대가야는 백제의 도움을 받아 남제에 사신을 파견하였을 것이다.
대가야가 남제에 견사하여 책봉호를 받은 것은 대외적으로 성과를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 내부적으로도 대가야의 성장・발전을 상징하는 의미가 있다. ‘본국왕’호는 대가야 세력권 내에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대가야에만 한정되는 것이었다. 이를 근거로 대가야가 가야 제국의 대외 교섭권을 장악했다거나 가야 제국을 주도하였다고 파악하기는 어렵다. 즉 ‘본국왕’이라는 작호는 대가야 세력권을 벗어나 다른 가야 지역까지 영향력을 미칠 수는 없었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Daegaya was able to negotiate with Namje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the 5th century, and what the title of “Bonkukwang(本國王)” as a result of the negotiations meant to Daegaya.
Although it is sometimes assumed that Geumgwanguk negotiated with Namje based on the title of “Bokukgukgun Bongukwang(輔國將軍 本國王)” by Namje, or that Anra negotiated with Namje based on recent excavations, Garaguk in “Namjeseo” is identified as Daegaya.
There are varying opinions on Daegaya's negotiation route for the Namje, but the route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China was via the west coast, which was Baekje territory. Give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Daegaya and Baekje at the time, it is likely that Daegaya sent envoys to the Namje with the help of Baekje.
It can be said that Daegaya's external achievement of receiving the appointment title from Namje was a success. Internally, it also symbolize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Daegaya. The title of “Bonkukwang” may have been used within the sphere of influence of Daegaya, but it was limited to Daegaya. Based on thi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Daegaya dominated the foreign negotiations of the Gaya countries or led the Gaya countries. In other words, the title of “Bonkukwang” could not have influenced other Gaya regions beyond Daegaya's sphere of influenc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