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時祭 전승의 지속과 변화-충청남북도 조사사례를 중심으로- = The continuity and change of the transmission of Sije (seasonal ancestor-memorial ceremony)
저자
방인아 (국립문화재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41-167(27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This paper draws on a content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from ‘the investigation of the Rites of Passage’ of Chungcheongnam-do and Chungcheonbuk-do provinces which was conducted in 2007 and 2010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The analysis focuses on the change and continuity of Sije (seasonal ancestor-memorial ceremonies hosted by a clan) that have been passed down to the present in those provinces. Findings indicate as follows;
The range of the ancestors worshipped through Sije are from the father of great-great-grandfather to the progenitor of a branch of a clan and sometimes include the progenitor of a clan. The changing thing is that the Sije for great-grandfather, great-great-grandfather is increasing as a result of reduction of the objects of ancestor-memorial ceremony of each household.
In terms of season of Sije, almost ceremonies have been held in October of the lunar calendar, reducing the period of the ceremonies and setting the dates of Sije on Sunday or public holiday. This is an effort to fasten bond with family members by providing convenience for participants of Sije. On the other hand, the date of Sije for a progenitor of a clan or a well-known ancestor is generally the first day of October in the lunar calendar or a special day which has been fixed from the past. This comes from the intention to keep the original standard because these ancestors are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ancestor of a clan.
The place of ceremony is the most changeable elements. According to the principal, Sije is held in front of the each ancestor's grave, however, the joint service rites for the ancestors inside Jaesil or Jaegak (houses for preparing seasonal ancestor-memorial ceremony) are increasing. This is an alternative to deal with the decreasing number of participants by reducing workload. Meanwhile, there has been a noticeable increase in choosing a charnel house instead of grave as a way of enshrining the dead. In other words, the cases of cremation instead of burial are increasing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graveyard management.
An interesting aspect is that, in many cases, this trend have generally applied to the grave of ancestors except for the grave of progenitor of a clan. That is, it is confirmed again that the traditional standards have been strictly kept for the representative ancestors of a clan while the changes have been accepted to other ancestors.
The Sije sequence has been strictly continuous than other elements. Although a ceremony takes place inside Jaesil or Jaejak, a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should not be missed.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a ceremony held inside Jaesil or Jaejak tends to be the same with the ancestral-memorial ceremonies of household. The scale of offerings of Sije is downsizing. This is related to the tendency that a ceremony held in one place as a joint service is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 is reducing. Furthermore, acceptance of ready-made offerings to reduce the workload of descendant who have responsibility to prepare the ceremony stands out.
To sum up, in Chungcheong-do provinces, the range of ancestors worshipped by Sije, the sequence of the ceremony and the types of offerings have had a strong tendency to persist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norms. In comparison, the date, place and preparation of offerings have been changed by much in line with the descendant's circumstances and it has been positive to accept these trends by the clans concerned.
이 글은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2007년과 2010년에 실시한 충남과 충북지역 ‘일생의례 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것으로, 충남과 충북지역에서 현 시대에 전승되고 있는 시제의 모습을 통해 그 변화와 지속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시제에서 모시는 대상은 5대조 이상부터 파시조, 중시조까지 때로는 시조까지 포함하였다. 변화하는 것이 있다면 기제사 대상의 축소에 따라 증조 및 고조를 시제로 모시는 사례가 늘어난다는 점이다. 또한, 충남북 지역에서는 대부분 음력 10월 중에 시제를 행하지만, 시제를 지내는 기간이 줄어들고, 휴일로 제일을 고정하여 지내는 등의 변화 양상이 눈에 띄었다. 이는 시제에 참여하는 참사자의 입장을 배려함으로써 친족성원 간의 결속을 꾀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보인다. 이와 달리 시조(始祖)나 이름 난 조상의 시제인 경우에는 음력 10월 1일 혹은 예전부터 지내오던 특정한 날을 고수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이들 조상이 문중을 대표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본래의 규범을 지속하고자 하는 경향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제의 장소는 가장 많은 변화를 보이는 요소이다. 시제는 조상의 묘소마다 다니며 지내는 것이 원칙이지만, 재실이나 제각에서 합동으로 지내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이는 참사자의 감소로 노동력이 줄어들면서 보다 간편하게 변하는 경우이다. 한편, 분묘 대신 화장하여 납골당을 선택하는 문중이 늘어가는 것도 변화하는 양상 중 하나이다. 즉, 매장 대신 화장을 선택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묘소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적극적으로 선택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 같은 추세에서도 흥미로운 것은 입향조의 묘소는 그대로 유지한 채 이후 조상들에 대해서만 적용하는 사례가 많다는 것이다. 즉, 자신의 문중을 대표하는 조상인 경우에는 전통적인 규범을 고수하는 대신, 이후 조상들에 대해서는 변화를 수용하고 있는 모습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제의 순서의 지속성은 다른 요소에 비해 강하다. 제의가 실내에서 이루어지더라도 묘소가 자리한 산신제는 빼놓지 않으며, 재실 및 제각에서 지내는 경우에는 기제사의 절차와 동일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시제에 올리는 제물의 규모는 점차 축소되고 있다. 이는 제사를 각 조상의 묘소 마다 다니며 지내지 않고 한꺼번에 지내는 경우가 늘어나고 참사자도 줄어드는 추세와 관련된다. 한편, 제물 준비를 맡은 자손의 번거로움을 덜기 위해 기성품으로 만들어진 제물의 적극적인 수용도 눈에 띈다.
종합하여 보면, 충남북 지역에서는 시제의 제사 대상 및 제의 순서, 제물의 종류는 전통적인 규범에 따라 지속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제사 시기 및 장소, 제물 준비 등은 참사자 즉, 자손들의 형편에 맞추어 변화의 정도가 많았으며, 이에 대한 문중의 수용도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12-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8 | 0.66 | 1.486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