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한 산업보안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2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7-109(23쪽)
제공처
산업기술의 유출은 기업 및 소속 국가에 막대한 피해를 불러올 뿐만 아니라 국가경쟁력 하락 까지 이어질 수 있다. 우리나라는 중요 산업 기술유출을 예방·방지 및 대응하고자 노력하고 있 으나, 국내·외로 산업기술을 유출하는 범죄는 매년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산업보안 관련 법·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산업 기술유출 범죄에 대한 억제수단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해외에서 시행하고 있는 산업보안 관련 법·제도와 국내 산업보안 관련 법·제도를 비교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 하였다. 국내 산업보안 관련 법·제도적 문제점으로는 법적 틈새로 인한 약한 처벌, 산업보안 관 련 컨트롤타워 및 협조체계 미비, 효율적 제도 부재로 분석되었다. 개선방안으로는 산업보안 관 련 법률 검토 및 처벌 강화, 원활한 협조체계구축, 중재와 내부고발자 등의 제도 도입을 제시하 였다. 산업보안 분야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그 분야가 점차 확장되고 수없이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법·제도적 개선 및 관련 분야에 속한 종사자들의 지속적인 연구 와 노력이 요구된다.
더보기The leakage of industrial technology can cause significant damage not only to companies and their respective countries but also potentially lead to a decline in national competitiveness. Despite efforts in South Korea to prevent, deter, and respond to critical industrial technology leaks, incidents of such crimes,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continue unabated. Many cases result in minimal punishment due to significant legal and regulatory gaps, despite the astronomical losses incurred. This study aims to propose improvements in South Korea's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industrial security to act as deterrents against crimes involving industrial technology leaks. To achieve this objective,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comparing the laws and regulations on industrial security implemented abroad with those in South Korea, identifying shortcomings and suggesting improvements. Analyzed problems within domestic industrial security laws and regulations include weak punishments due to legal loopholes, inadequacies in industrial security control towers and cooperation systems, and inefficiencies in institutional frameworks. Proposed solutions include revising industrial security laws, strengthening penalties, establishing effective cooperation systems, and introducing mechanisms for mediation and whistleblowing. As technology advances, the field of industrial security expands and presents various challenges, necessitating ongoing research and efforts from professionals in related fields to address these issues comprehensively.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