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몽고문 금강경의 번역적 특징에 관한 고찰 - 범본·한역·티베트어 역과 비교하여 -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nslation of Mongolian version of the Diamond Sutra : Compared with the Sanskrit text, the Chinese and Tibetan version
저자
박서연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5-183(39쪽)
제공처
소장기관
본 연구는 18세기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몽고문 금강경을 범본 및 한역·티베트어 역 『금강경』과 대조하여 몽고문 『금강경』의 번역상의 특징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범본과 비교해 볼 때 몽고문 금강경』에는 일부 생략된 내용이 있는데, 바로 앞의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한 듯하다. 범어 saṃjñā는 몽고문 금강경에 섣키퀴(sedkiküi, 생각하다)로 번역되었으며, 네 가지 섣키퀴(sedkiküi)의 배열 순서는 ‘나’라고 하는 생각·중생이라고 하는 생각·생명이라고 하는 생각·뿌드갈라라고 하는 생각이며, 구마라집 역의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과 차이가 있다.
몽고문 『금강경』 번역자들은 쉬라바스티(ŝiravasti), 아나다빈다디(anādabindadi) 등 인명이나 지명의 범어 고유명사를 몽고문으로 음역하였고, 티베트어 역 금강경』의 “sham thabs”을 몽고문으로 음역하기도 하였다.
몽골족은 『금강경』과 함께 다라니의 독송을 중시한 것으로 보인다. 몽고문 『금강경』 사본에는 범본에는 없는 다라니가 첨가되어 있으며, 이 다라니는 티베트어 역 금강경 사본에도 있지만 북경판 『티베트대장경』에는 없다. 한역본 중에는 구마라집 역 금강경에 짧은 다라니가 있다. 몽고문 금강경 사본에 다라니가 적혀 널리 수지독송된 것은 금강경을 읽고 독송하는 공덕이 무량하다는 인식을 가졌던 북아시아 유목민족의 금강경 다라니 신앙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ongolian version of the Diamond Sutra,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copied in the 18th century, by comparing it with the sanskrit text, the Chinese and Tibetan versions of the Diamond Sutra. Compared to the original version, there are some missing contents in the Mongolian version of the Diamond Sutra, which seem to have been omitted because they overlap with the immediately preceding contents. The Sanskrit word saṃjñā was translated as “sedkiküi” in the Mongolian text, and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four sedkiküi is different from the Kumarajiva’s translation.
In relation to the sanskrit text, sanskrit nouns were transliterated in the Mongolian version of the Diamond Sutra, and words appearing in the Tibetan version of the Diamond Sutra were also transliterated into Mongolian.
The Mongolian people appear to have placed great importance on the recitation of dharani in the Diamond Sutra. The Mongolian version of the Diamond Sutra contains dharani that is not in the sanskrit text. This dharani is also present in the Tibetan version of the Diamond Sutra, but not in the Beijing edition of the Tibetan Tripitaka. Among the Chinese translations, there is a short dharani in the Kumarajiva’s translation. Dharani was written in the Mongolian version of the Diamond Sutra and widely distributed. I think that it is an example of the Dharani belief in the Diamond Sutra of the nomadic peoples of North Asia.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