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국의 TV와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 간 경쟁에 관한 연구 = 한국 영상 콘텐츠 이용 동기 요인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13-242(30쪽)
제공처
본 연구에서는 중국 내 한국 영상 콘텐츠 유통 플랫폼이 다양해짐에 따라 기존 미디어 플랫폼인 TV와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인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 간 경쟁상황을 적소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플랫폼 이용 동기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우월성’, ‘사회적 교류 용이성’, ‘경제적 효율성’, ‘시청 편의성’으로 나타났다. 4가지 이용 동기를 대상으로 세 플랫폼 간 적소분석을 한 결과, 경쟁우위 측면에서 ‘시청 편의성’을 제외하고 다른 모든 요인에서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들이 TV를 앞서고 있어, 한국 영상 콘텐츠를 시청하는 주요 플랫폼은 TV에서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로 대체되고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특히 TV 대신에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를 선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우월성’과 ‘사회적 교류의 용이성’이기 때문에 TV가 이러한 요인들을 충족시켜 주지 못한다면 TV가 온라인으로 빠르게 대체될 것이다. 반면, 기업형 온라인과 이용자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들 간의 이용 동기 중복 지수는 매우 높아 두 플랫폼 간에 경쟁이 치열하며, 경쟁우위지수 역시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우월성’과 ‘사회적 교류의 용이성’에서는 이용자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가 우위를 점하였으나, ‘경제적 효율성’과 ‘시청 편의성’에서는 기업형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가 우위를 점하고 있어 현재 어느 한 플랫폼이 다른 플랫폼으로 대체되기보다는 향후 경쟁을 통해 경쟁우위 플랫폼이 부상되리라 예측된다.
더보기With the promotion of Chinese Government’s triple play policy, China has ushered in a new multi-media environment, and video platforms providing Korean film and TV programs in China have also become more diversified. Recently, Chinese users have become more active in using online video platforms, especially when Chinese government has strengthened restrictions on the introduction of foreign film and TV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ompetitive relationship among the video platforms in China providing Korean film and television resources for Chinese audiences on the basis of viewing motivation. This paper divides the video platforms into 3 categories: TV, sizeable video portal site and small-scale user generated video site. Through factor analysis, it gets 4 factors for ‘Superiority of contents service’, ‘For social communication’, ‘Economic benefit’ and ‘Easy viewing’. On the level of utilizing resources, the online platforms precede TV, especially the ‘small-scale user generated video site’ show highest niche breadth value in the factors of ‘superiority of contents service’ and ‘social communication’, and are located in the competitive position. But because the ‘small-scale user generated video site’ introduce the Korean film and TV programs through illegal ways, it will become a stumbling block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n a long term, so currently, the most important problem is to legalized the video platforms in China providing Korean film and TV program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