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뉴노멀 시대의 문화 패러다임과 외국어 (프랑스어)교육에서의 함의 = Les paradigmes culturels à l’ère du « New Normal » et leurs implications dans l’enseignement des langues étrangères: le françai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1-55(25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Cette étude traite de la diversité culturelle qui est mise en avant dans le domaine de la didactique des langues au sein de la nouvelle ère normale. Pour ce faire, nous avons examiné les évolutions connues dans les concepts culturels et les paradigmes culturels au sens moderne.
Le concept de culture change selon les circonstances de l’époque, et les catégories mises en avant changent. Cela coïncide avec l’évolution du statut de la culture dans l’enseignement des langues étrangères. La culture moderne se définit à travers les valeurs de la culture et la manière dont nous la comprenons. Elle n’est plus le reflet de connaissances antérieures ou d’une culture. À présent, la question culturelle ne renvoie pas seulement à un apprentissage de connaissances préalables, mais aussi à acquérir les outils pour vivre en harmonie et communiquer avec des individus, des groupes et des sociétés de différentes cultures.
La compétence interculturelle est une compétence essentielle pour vivre dans une société moderne et diversifiée, et a récemment été soulignée dans le programme des langues étrangères coréen. L’enseignement des langues étrangères modernes nécessite non seulement des compétences en communication, mais également des compétences interculturelles pour comprendre et respecter la diversité culturelle.
Il est essentiel de prendre des mesures concrètes pour comprendre le paradigme de la culture moderne, reconnaître le flux de la culture dans l’enseignement des langues étrangères et trouver une méthode d’enseignement/ apprentissage permettant de pratiquer cette diversité culturelle.
본 연구는 뉴노멀 시대 교육현장에서 강조되고 있는 문화 패러다임에 대해서 논의하고 특히, 외국어 교육에서 문화 다양성이 어떤 의미를 갖고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화 개념의 변화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후, 외국어 교육과 한국의 교육과정에서 문화를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논의해 보기로 한다.
현대 사회는 문화의 정의나 사전적 지식이 아닌 문화의 가치, 문화를 이해하는 방법에 더욱 관심을 두고 있다. 이제 문화는 단순히 사전적 지식을 배우는 차원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를 가진 개인, 단체, 사회와 어떻게 화합하고 소통하며 잘 살아가느냐가 쟁점이 되고 있다. 이런 시대적 필요에 발맞추어 현대의 외국어 교육은 기존의 의사소통능력을 넘어서 문화다양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상호문화역량까지도 요구하고 있다. 현대 문화의 패러다임을 이해하고 외국어 교육에서의 문화의 흐름을 인지하여 문화다양성을 실천하는 방안으로 나아가기 위한 구체적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