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안전하지 못한 공산품으로 인해 소비자의 재산이나 신체, 생명의 위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지속적이며 일관성 있는 공산품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공산품규제의 궁극적 목적은 안전하고 우수한 공산품이 생산 및 유통되어 공산품으로 인한 소비자문제를 최소화하고 소비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공산품 규제에 대한 소비자의 의견을 개진하는 것에 한계가 있으며, 주로 규제개선에 대한 건의는 기업 측의 요구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산품 규제와 관련한 여러 이슈 중에서도 소비자와 직접적인 관련이 높은 이슈를 선정하여 소비자의 관점에서 규제의 적절성과 실효성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공산품 규제에 관한 아홉 가지의 규제관련 이슈를 발굴하고 소비자의 규제인지도와 소비자 및 사회적 측면 효과의 기대수준, 필요성 인식 수준이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발굴된 이슈는 권장안전사용기간 표시제도, 에너지효율관리제도, 폐가전 재활용제도, 어린이제품 유해물질관리제도, 녹색기술제품확인제도, 리퍼부품사용, 화학물질등록제도,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이다. 아홉 가지 이슈에 대해 기업 측의 개선요구와 비교하여 소비자의 필요성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본 결과 기업 측의 개선요구와 상반된 의견이 나타난 규제의 이슈는 주로 소비자가 전문적인 지식이 없이 판단하기 어려운 공산품의 안전과 관련한 규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규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는 규제에 대한 인지수준 및 규제의 효과에 대한 기대, 전반적인 규제에 대한 태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정부와 사업자를 중심으로 공산품의 규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오던 것에서 더 나아가 규제의 결과에 따라 직간접적으로 생활의 질에 영향을 받게 되는 최종소비자의 관점에서 규제를 검토함으로써 향후 규제의 적절성과 실효성에 대한 다각적 검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As the cases that consumers’ financial, physical, or life security are harmed by insecure industrial products are increasing in recent years, constant and coherent policies to control industrial products are required. The final aim of the regulations on industrial products is to minimize the consumer problem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controlling the quality and safety of the products. However, consumers have only limited opportunities to offer suggestions on the policies for the product regulations. Contrary to the consumers’ limited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making and improving the policies related to the products in general, the companies have more chances to propose the improvement of the regulations. It is because the organizations that represent companies interests, such as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FKI), can gather the opinions from every industry and propose improvement or reformation of regulations, which makes bigger glomerates of power. This study focused on this imbalanced opportunities to advocate views on the regulations and systems for industrial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and relevance of regulations on industrial products, focusing on some issues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consumers from consumers’ viewpoint. First of all, nine consumer issues were extracted from the proposal of the FKI for the reformation and improvement of regulations in the year of 2014. The nine issues include suggested period labeling for safe use,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system, consumer electronics recycling system, toxic chemicals control for child goods, certification of green technology, use refurbish components for warranted repairs, registration of chemicals, punitive damage reimbursement for insecure industrial products. For these nine regulation issues, consumers’ awareness, expectations, and recognized necessity we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o the companies’ requirements from the proposal of the FKI.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sumers have conflicting opinions on the safety issues that consumers have difficulties to examine the safety of industrial products due to the lack of expertise in general. The level of the recognized necessity of each regulation was influenced by the consumers’ awareness, expectation, and general attitudes toward regulations. This study examined consumers’ opinions on product regulations and tried to extend the scope of the discussion about regulations on industrial products to embrace consumers as major stakeholder for making and improving the product regula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viewpoint of consumers as final users of the regulated products will be reflect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and relevance of the regulation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유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6-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소비자정책·교육학회 ->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9-12-2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소비자정책ㆍ교육학회 -> 소비자정책·교육학회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3 | 1.13 | 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3 | 1.14 | 1.22 | 0.3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