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서비스 영역 내 동료지원 활동 비교 연구 - 서울시 동료지원 사업 운영에의 함의 도출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Peer Support Activities in the Mental Health Service Area - Focused on Deriving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the Peer Support Project in Seoul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7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0-53(14쪽)
제공처
. Objective : The study aims to review and compare articles in the mental health area about education, activities (duties), operating system, and effectiveness of peer supporters in order to set the business plan for the city of Seoul.
. Methods : The U.S. and the U.K., which play an advanced role in peer support projects in the mental health sector, conducted a literature study on such data as types and operating models of peer support activities in each country.
. Results : A common element in the peer support curriculum was the fact that it focuses on peer support and self-disclosure between the recipients of the service.. The education takes about 40 to 100 hours in the U.S., 60 hours in the U.K., and 40 hours in Korea. As for the peer support activities, primarily covered are the peer consultation and support for community settlement. In terms of the operating system for peer support, some areas in the U.S. and U.K. are seeking to institutionalize the peer support to proceed and expand the recruiting. Unfortunately, in Korea, each agency has its own authority instead of any institutionalization. For the effect of peer support, there was a positive recognition for future and recovery, a decrease in re-admission rate, and mutual support for recovery.
. Conclusion :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Seoul Peer Support Program,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ime assigned for education and operation system for peer support and to establish a curriculum that further subdivides categories such as recovery and counseling techniques. In addition, awareness and institutional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are required for the dissemination of peer support.
■ Keywords : Mental health, Recovery, Peer support, Recipient of service, Social support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정신건강 영역 내 동료지원가의 교육, 활동(직무), 운영체계, 효과성에 대해 문헌을 통해 검토하고 비교하여 추후 서울시의 사업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정신건강 영역 내 동료지원 사업에서 선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미국과 영국을 선정하여 국가 별 동료지원 활동(직무)의 형태 및 운영모델 등의 자료에 대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 동료지원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인 요소는 동료지원가와 서비스를 받는 당사자 상호간의 회복과 자기개방에 초점을 둔다는 것이었다. 교육 시간은 미국 40-100시간, 영국 60시간, 한국40시간 정도였다. 동료지원 활동(직무)에서는 주로 동료상담 및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지원을 담당하였다. 동료지원 운영시스템에서는 미국과 영국의 일부 지역에서 동료지원을 제도화하여 고용을 진행하고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었으나 한국은 기관에 따라 활동을 진행했고 제도화된 형태는 아니었다. 동료지원의 효과에 대해서는 공통적으로 미래와 회복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재입원 감소 그리고 상호 간의 회복 지원으로 나타났다.
. 결 론 : 서울시 동료지원 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동료지원의 교육과정과 운영시스템에 있어 교육 시간을 증가시키고 회복 및 상담기법 등에 대한 카테고리를 보다 세분화한 커리큘럼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동료지원의 보급을 위해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인식과 제도적 지원이 요구된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