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생광 채색화의 색채표현 연구 = A study of color in the work of Saengkwang Park
저자
발행사항
서울: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5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 미술학과 동양화전공 , 2015. 2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한국어
DDC
759.1107 판사항(22)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iii, 49 p.; 26cm.
일반주기명
추계예술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 study of color in the work of Saengkwang Park
지도교수:이길원
참고문헌: p.
소장기관
박생광은 민족적 소재와 색을 차용하여 자신만의 채색화 화풍을 구축하고 연
구해온 근현대 작가이다. 그는 일본유학을 통해 일본식 근대 회화를 습득하고
해방 후 한국으로 돌아왔지만 당시 척색주의(斥色主義)로 경도된 사회적 시선
에 의해 화단에서 배척되었다. 하지만 1970년대 후반부터 단청, 무속신앙, 불
교, 역사 등의 민족적 소재를 한국의 색을 통해 작품으로 풀어나갔으며 한국
채색화의 성립과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는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경제발전과 문화운동을 숙제로
가지고 있었다. 또한 서양문화의 유입으로부터 우리의 고유문화를 고수하고 발
전시키기 위해 70년대 미술계에는 다양한 변화들이 등장하였다. 수묵화 운동은
추상적 요소를 수용하였으며 서양화는 한국적 소재를 얻어 발전한 반면 채색
화만큼은 왜색이 짙은 작품이라 하여 배척 되었다. 이러한 시대상황에서 박생
광의 작품이 주목을 받게 된 이유는 그가 작품으로 승화시킨 한국의 색에 대한 이해 때문이다. 박생광은 역사의 흐름에서 배재되어 온 색채를 그의 작품에
선명한 원색적 색감으로 표현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음양오행사상에 근본을
둔 오방색을 차용하였다.
오방색은 흑, 적, 청, 백, 황을 지칭하며 음양오행사상이 풀어낸 섞임이 없는
순수한 색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다섯 색을 기본으로 하여 의식주(衣
食住)는 물론이고 삶에 필요한 모든 것들에 오방색을 사용해 왔다. 박생광은
이러한 한국적 색감을 민족적인 소재를 통해 재해석하였으며, 청년시절 습득한
근대적 조형성이 내포되어 그만의 조형언어를 구축하였다. 즉, 채색화를 일본
화의 범주에 두고 배척하기만 한 것이 아니라 일제 강점기 이전에 우리가 쌓
아온 채색화의 근간들을 연구하고 차용하여 한국인의 감성을 풍부하게 드러냈
다.
박생광의 후기작품에 해당하는 1980년대의 작품들을 살펴보면 각각의 회화작
품에는 오방색과 녹색, 주황색, 보라색의 8가지의 색채가 주로 사용되었다. 인
간의 심리와도 연결되어 있는 8가지 색채는 박생광의 작품을 통해 한국적 감
성과 적절하게 융화 되었다. 박생광은 작품의 소재를 서민들의 삶과 연결된 민
족, 종교, 역사에서 찾아 이와 결부된 한국적 색감은 서민들의 의식과 적절하
게 부합되었다. 원시적인 색감은 본질에 더 가까이 다가갔으며, 이는 우리에게
친근감과 불안감을 동시에 느끼게 하였다.
박생광이 후기에 사용한 이 색채들은 시각을 자극하는 기본적인 빛의 색이다.
이 색들은 아주 오랫동안 우리의 인식 속에서 여러 의미를 두고 사용되었고
박생광은 이점을 간파하여 작품으로 승화하였다. 이 때문에 박생광의 작업은
진정성이 내포되어 친밀하면서도 불편하게 다가 왔으며 한국 회화사 안에 중
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Park, Saengkwang is a modern painter who has studied and established
his own unique painting style by adopting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colors. When he returned to Korea after Liberation of Korea from
study in Japan where he learned Japanese modern painting, he was
excluded from painting circle due to cold eyes of the society which was
inclined to 'Color Exclusionism (斥色主義)' of the time. And yet, from
late 1970s, he applied traditional Korean ethnic materials such as
Dancheong (丹靑,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Shamanistic beliefs, Buddhism and history and presented new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color painting.
Through the tumultuous historical period of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and the Korean War, Korea had its mission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al enlightenment movement. In addition, to preserve unique
traditional Korean culture from the inflow of Western culture, various changes appeared in the painting community in the 1970s. While
Ink-and-wash painting (水墨畵) movement adopted abstract factors and
Western painting developed with materials of Korean tradition, colored
painting was ostracized with the reason of its connection with the
Japanese style. Under these historical circumstances, the reason why
Park, Saengkwang's works attracted attention was none other than his
understanding on colors of Korea he sublimated into his works of art.
Park expressed colors excluded from the current of history in raw
primary color tones and, in the process, adopted O-Bang-Saek (五方色:
colors designated in 5 directions) based on ideology of Yin-yang & Five
Elements (陰陽五行說) of Oriental philosophy.
O-Bang-Saek (五方色) are pure colors of black, red, blue, white and
yellow without mixture in the ideology of Yin-yang & Five Elements
(陰陽五行說). Korean people have used these 5 colors of O-Bang-Saek
in almost all things in life including food, clothing, and shelter
(衣食住). Park reinterpreted these Korean colors through traditional
ethnic Korean materials and established his own unique formative
language by adding modern formative nature he acquired while he was a
young adult. That is, he did not discriminate against colored painting as
painting belong to Japanese painting but expressed Korean emotions
abundantly by studying and adopting colored painting which Koreans had
accumulated even before Japanese occupied and annexed Korea by brutal
force.
Park, Saengkwang's later painting works in 1980s mainly used 8 colors
which are green, orange and purple in addition to O-Bang-Saek. These 8
colors which are also connected with human psychology were
appropriately harmonized in Park's works. Park found his subject matters
in ethnicity, religion and history related to the life of ordinary people
and related Korean color tones properly corresponded with conscious of
people. Primitive colors approached closer to the essence, which has
made us feel at once familiar and uneasy at the same time.
These colors Park used in his later years are colors of basic light
stimulating sense of sight. These colors have been used with various
meanings in our consciousness for a long time. Park saw this through
and sublimated into his works of art. For this reason, works of Park
approached us in familiar and uncomfortable way simultaneously with
genuineness inside and they came to occupy important place in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