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고대사 연구 동향- 학술지 계량 분석을 중심으로 = North Korea s ancient history configuration and Research Trend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9-203(35쪽)
KCI 피인용횟수
4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research is analysis of papers of North Korea s ancient history published after liberation 1945. To this end, composition of the University, laboratory organization, and the Institute's organization in North Korea are analyzed. Especially noteworthy, research trends of North Korea's ancient history has closely associated with political change of North Korea.
The study most focused on North Korea is ancient history. In addition, the center of North Korea's ancient history is an archaeologist. Research of the artifacts remains is even more important than literary research. Looking at the statistics of papers of ancient history, Goguryeo was the most research, the next Gojoseon, followed by the Bolhae was studied.
The direction of study of ancient history has changed several times becaus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Juche idea. Initially, the materialism to clean up the ancient history had experienced pain, since the late 1950s, the Juche idea was to reconstruct ancient history. Dangunneng case of 1993 shows the process of ancient history to be composed of nationalism. After Dangunneng excavation, Taedonggang area was extensively excavated, and argued Taedonggangmunhwalon. So-called Taedonggangmunhwalon, Taedonggang area is the cradle of civilization and the oldest civilization.
본고는 북한에서 발간된 각종 학술지에 실린 고대사 논문을 추출하여 해방 후 60여 년 동안 북한 고대사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북한 역사학 내에서의 고대사 편제 방식과 각 학술지의 간행 연혁과 현황을 북한의 정치 변동과 관련하여 살펴본 후, 1,354편의 고대사 논문을 시대별ㆍ국가별로 분류하여 전체적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북한의 역사 논문 중 고대사 논문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북한 역사학이 가장 주력한 분야가 고대사이고, 고대사 논문 중에서는 고고학 논문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북한의 고대사 연구가 문헌보다는 유물ㆍ유적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국가별로는 고대사 논문 편수가 高句麗, 古朝鮮, 渤海의 순으로 나타났고, 시기로는 1980년대 후반 이후에 고조선ㆍ고구려ㆍ발해의 계승 체계가 완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북한의 고대사 연구는 권력 변동에 따라 몇 차례 파동을 겪었다. 1950년대 후반의 반종파투쟁, 1960년대 후반의 5.25교시, 1990년대의 檀君陵 발굴 등은 그때마다 북한의 고대사 연구 방향을 변화시켰다. 정권 초기에는 唯物史觀에 입각한 고대사 체계를 정립하는 진통을 겪었고, 1950년대 후반부터는 ‘주체사상’으로 재정립되는 과정을 거쳤고, 1990년대 이래는 ‘民族主義’로 고대사 체계를 재편성하는 과정을 거쳤다. 단군릉 발굴 이후 ‘大同江文化論’을 주장하고 결국 ‘김일성 민족론’으로 귀결되는 과정은 북한 고대사가 유물사관을 넘어 민족주의 일변도로 재구성되는 과정이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6 | 0.97 | 2.484 | 0.4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