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소비에트 사회에서의 여성해방론 실험 : 콜론타이의 여성해방론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Kollontai's Theory of Women's Liberation = Try to Realize Socialist Feminism in Soviet society
저자
김은실 (숙명여대 아시아여성연구소)
발행기관
淑明女子大學校 亞細亞女性問題硏究所(Research Center For Asian Women Sook Myung Women's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37.0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9-211(43쪽)
제공처
소장기관
콜론타이는 러시아가 소비에트화 되는 시기의 혁명가로서 사회주의 국가건설에 앞장섰다. 그리고 러시아 여성들로 하여금 새로운 사회건설의 대열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것을 호소하였다. 레닌을 비롯한 볼셰비끼들은 콜론타이의 혁신적인 사회주의여성운동에 찬사와 두려움의 양면적인 감정을 갖고 있었다. 이것은 콜론타이와 볼세비끼 혁명가들 사이에 여성에 대한 인식이 근본적으로 달랐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었다. 콜론타이는 무엇보다 여성들을 얽어매고 있던 관습과 결혼제도 등 사회구조적인 모순들을 극복하고, 여성들로 하여금 경제적인 독립을 획득함으로써 남성과 더불어 당당한 인격체로 사회 속에서 살아갈 것을 주장하고 있다. 콜론타이는 자신의 여성해방론을 소비에트 내에서 실천하기 위해 후생성과 제노텔를 중심으로 정치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그러나 볼셰비끼들은 여성해방에 대한 직접적인 관심보다는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여성대중의 조직화와 동원에 몰두하였다. 이런 당과 레닌의 정책에 반발하고 맞섰던 콜론타이는 정치적 기회를 박탈당했고, 콜론타이즘은 변형된 형태로 소비에트 사회에 적용되어 갔다. 콜론타이가 지적했던 불평등과 사회구조적인 여성문제는 20세기를 넘어 오늘날까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를 넘어 현대사회에 이르기까지 본질적으로 별다른 차이가 없다. 따라서 콜론타이즘의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여성문제 해결을 위한 또 하나의 열쇠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Kollontai was a revolutionist during the period when Russia was being sovietized, leading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ist nation. She also appealed to Russian women to join the march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society. Bolsheviks including Lenin took a double-sided attitude of applause and fear toward Kollontai’s revolutionary socialist women’s movement. It was mainly because Kollontai and Bolshevik revolutionists had fundamentally different perception on women’s movement. Kollontai maintained that women must overcome socio-structural contradictions such as customs and marriage system that chained them down and achieve economical independence so that they could live as dignified individuals equal to men in the society. Kollontai waged his political campaigns based on the Department of Welfare and Zenotdel in order to apply her theory of women’s liberation to the Soviet society. However, Bolsheviks were interested more in the organization and mobilization of women for the construction of socialism rather than in women’s liberation. As she resisted such a policy of the Party and Lenin, Kollontai was deprived of political opportunities and her philosophy was transformed and adapted to the soviet society. Inequality and other socio-structural feminist issues pointed out by Kollontai have fundamentally been in the same pattern throughout the 20^(th) century to the present and throughout capitalism and socialism to the contemporary society. Thus, research on Kollontai’s philosophy may provide a key to solutions for women’s problem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