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고전시가의 대중문화콘텐츠화를 위한 기획과 실천방향 = Directions for Planning and Practice for Korean Classical Poetry as Popular Cultural Conten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주제어
KDC
8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7-75(3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고에서는 고전시가의 대중화를 위한 기존 문화콘텐츠의 성과를 검토하고, 다변화하는 현대인의 코드를 능동적으로 맞추기 위한 새로운 기획과 실천방향을 각매체별로 궁구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고전시가를 영화나 애니메이션ㆍ방송ㆍ게임ㆍ대중가요 등 여러 형태의 콘텐츠로 연동시키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스토리텔링을 창작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콘텐츠 솔루션으로서의 스토리보드(story board) 제작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이어서 일반인은 물론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매체인 만화는 기지화(基 地化)하여 통합DB로 관리하고, 콘텐츠산업 총 매출액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출판 부문에서는, 책이 지식의 창고만이 아니라 장난감이 되고 소장품이 되며 인터넷과 모바일로 들어가는 창구 역할을 하는 등, 개별 콘텐츠를 연결하는 망(網)의 중심에 서도록 하는 새로운 플랫폼(platform)이 되도록 ‘전자고전시가집 (電子古典詩歌集)’을 개발할 필요도 제시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여러 매체들의 특성에 기하여 원천소스 개발에서부터, 전문 작가의 스토리텔링 창작, 전문가집단의 스토리보드 제작, 아웃소싱의 단계를 거치는 멀티소스멀티유스(MSMU) 개념을 실현할 ‘고전시가 대중화 시스템’을 제안함으로써 이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achievements of conventional cultural contents aimed at the popularization of Korean classical poetry, and discuss possible new directions for planning and practice of different types of media to allow for a proactive response to the ever-diversifying preferences of contemporary society.
First, the present study raised the need for storytelling as the foundation on which Korean classical poetry may be turned into various types of contents, such as movies, animations, broadcasts, games, and pop songs, based on which story boards need to be created as contents solutions.
Next, the present study raised the need to manage comic books, which are the medium most easily accessible to students and the public in general, through an integrated DB, and to develop ‘electronic classical poetry compilations’ to allow for books to serve not only as warehouses for knowledge but also as toys, collectibles, and as windows to the Internet and mobile worlds, becoming a new platform central to the network connecting individual content types.
Lastly, the present study will propose a ‘system for popularization of Korean classical poetry’ wherein the steps of source development, storytelling creation by professional writers, storyboard production by a panel of experts, and outsourcing are followed for individual media to realize the concept of multi-source multi-use (MSMU).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