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해병대 전략문화와 행동 양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rategic Culture and a pattern of behavior the Republic of Korea Marine Corp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5-113(29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public of Korea Marine Corp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Marine Corps) history and tradition, the perception imprinted on the people, identity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strategic culture that exists based on the values it seeks. I believe that strategic culture holds research value because it results in a pattern of behavior. The reason why the Marine Corps has been selected for this research is that unlike the Army, Navy and Air Force, the Marine Corps does not have an exclusive field of battle and yet, is considered a small but strong military of the people. In general terms, culture is an abstract and macroscopic concept that influences a member’s behavior, as it refers to the collective values, beliefs, ideologies, customs, norms, traditions, symbols, knowledge and technological systems shared by the members of a society. Applied to an organizational group, this concept is call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when it influences certain policy decisions regarding the military or national security it is called strategic culture. The study of strategic culture of a specific branch of the military is important because it affects the way of battle. Since its inception, the Marine Corps was influenced by the endogenous organizational culture forme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historic process of engaging in the Korean War and the Vietnam War, and merging with the Navy, as well as the exogenous organizational culture formed by the Imperial Japanese Navy Land Forces’ spirit of Yamato and the United States Marine Corps’ spirit of Semper Fidelis. Thus, strategic culture was formed against this backdrop of organizational culture, which is expressed as a special pattern of behavior unique to the Marine Corps. The way Marines wage war is aggressive and hierarchical, and behaves like sheep to the people and like lions to the enemy. Marines regard the Marine Corps honor as their highest value, claim to be a spearhead force in the most dangerous places, and have a very strong sense of homogeneity with the U.S. Marine Corps. Therefore, the nation will have to consider where and how the Marine Corps will be effective to operate.
더보기본 논문은 대한민국 해병대(이하 해병대라 함)의 역사와 전통, 국민에게 각인된 인식, 정체성과 조직문화 그리고 그들이 추구하는 가치를 바탕으로 존재하는 전략문화를 탐구할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전략문화는 곧 행동 양식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본다. 특정 군(軍)의 전략문화 연구가 전무(全無)한 상태에서 해병대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것은 육・해・공군과 달리 해병대는 독자적인 전장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서 작지만 강한 국민의 군대로 평가받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문화란 한 사회의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가치관, 신념, 이념, 관습, 규범, 전통, 상징체계, 지식 및 기술체계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구성원의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추상적이고 거시적인 개념이다. 이러한 개념을 특정 조직집단에 적용 시 이를 조직문화라 하고, 문화가 국가안보 및 군사 영역에서 국방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전략문화라 하는데 특정 군(軍)의 전략문화 연구가 중요한 것은 그 군(軍)의 전투 수행방식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해병대는 창설로부터 6.25 전쟁 및 베트남 전쟁 참전과 해군에 통폐합되는 역사적 과정을 배경으로 형성된 내생적 조직문화와 일본 육전대 대화혼(大和魂) 정신과 미국 해병대의 Semper Fidelis(Semper Fi) 정신의 영향으로 형성된 외생적 조직문화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직문화를 배경으로 전략문화가 형성되었고, 이는 해병대만의 특별난 행동 패턴으로 표출된다. 해병대의 행동 양식은 공격적이고 위계적이며, 민(民)에게는 양(羊)처럼, 적(敵)에게는 사자처럼 행동한다. 해병대원들은 해병대 명예를 최고의 가치로 여기고, 가장 위험한 곳에서 선봉군임을 자처하며, 미국 해병대와의 동질의식이 매우 강하다는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국가는 해병대를 어디에서, 어떻게 운용하는 것이 효율적인지 생각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8 | 0.29 | 0.58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