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놀이의 목회신학 서설 - 연결하기 놀이가 이끌어가는 신앙공동체 = Preface to Pastoral Theology of Play – A Faith Community Led by The Linking Play
저자
정연득 (서울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99-231(33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놀이문화가 발달한 시대에 살고 있다. 오늘날 놀이는 더 이상 가끔 주어지던 보너스가 아니라 삶의 핵심적인 부분이 되었다. 이 논문은 놀이가 사치가 아니라 일상으로 자리 잡은 놀이 전성시대를 살아가는 현대 기독교인들에게 놀이를 이해하는 목회신학적 관점을 제공하고자 연구되었다. 논문을 이끌어가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놀이 전성시대를 사는 현대인들은 제대로 놀고 있는가?”, “오늘을 사는 기독교인들은 놀이를 위한 신학적 언어를 제대로 공급받고 있는가?”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이 논문은 우선, 영국의 정신분석가 도널드 위니캇의 놀이 이론을 통해 우리 삶에서 놀이가 차지하는 위치와 놀이를 누릴 수 있는 자아의 능력이 발달하는 과정과 이에 미치는 환경의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논의를 기초로 놀이 전성시대라고 불릴 정도로 놀이문화가 발전한 시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들이 누리는 놀이에 대해 비판적 성찰을 시도하였다. Ⅲ장에서는 놀이와 신앙이 함께 가기 위한 가능성을 ‘역설과 역동’이라는 관점을 통해 논한다. 놀이와 신앙은 역설적으로 보이지만, 함께 갈 때 역동적 창조성을 발휘할 수 있다. Ⅳ장은 위니캇의 이론과 위르겐 몰트만의 놀이의 신학을 기초로, ‘연결하기 놀이’라는 놀이에 대한 목회신학적 관점을 제시한다. 연결하기 놀이는 세상 나라와 하나님 나라를 함께 살아가는 신앙인들에게 양자택일의 압박이 아닌, 놀이하듯 두 세계를 살아갈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한다. Ⅴ장에서는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종교를 비판하면서 사용한 ‘환상’ 개념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시한 폴 프루이저의 논의를 통해서 ‘창조적 환상의 미래’라는 목회신학의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창조적 환상의 미래로서의 신앙은 삶의 현실에 든든히 발을 디디면서도 하나님 나라를 꿈꾸는 창조적 신앙생활로 우리를 안내할 것이다.
더보기We live in an era where play culture is more developed than ever. Today, play is no longer an occasional bonus but has become an essential part of life.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pastoral theological perspective of play to help Christians understand it in this golden day of play, where play has become a daily routine rather than a luxury. The research questions that develop this paper are as follows: Are modern people living in the golden days of play playing well enough? and Are Christians living today being properly fed with theological language for play?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sphere of play in our lives,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ego's ability to enjoy play, and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on this process through the play theory of British psychoanalyst Donald Winnicott. Based on this discussion, an attempt was made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play enjoyed by contemporary people living in an era where play culture has developed to the extent that it is called the golden age of play. Chapter III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play and faith joining through the perspective of 'paradox and dynamics.' Play and faith may seem paradoxical, but when combined, they can facilitate dynamic creativity. Chapter IV introduces a pastoral theological perspective called 'linking play,' drawing on Donald Winnicott's theory and Jurgen Moltmann's theology of play. This concept offers believerswho live between the realities of the world and the vision of the kingdom of Goda way to navigate both worlds playfully, rather than being pressured to choose between them. Chapter V then explores a vision of pastoral theology called 'the future of a creative illusion' inspired by Paul Pruyser's reinterpretation of Freud's critique of religion. In this view, faith becomes a form of creative illusion that will enable believers to dream of the kingdom of God while remaining grounded in the reality of life. It is a faith that invites us into a creative and engaging way of living.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