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김종직의 초기시에 담긴 ‘애민의식’ 재론 - ‘사의식(士意識)’의 일환으로서 - = Re-examine Kim Jong-Jik’s Early Poem of ‘People’s Love Consciousness’ - As Part of the Self-consciousness as a Scholar (士意識)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7-152(36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연구는 『회당고』(悔堂稿) 등에 수록된 김종직의 초기시를 대상으로, 그의 애민의식이 즉자적 공감의 차원을 넘어 대자적 사의식의 발로로 이어지는 성과를 추적한 것이다. 김종직이 10대에 밀양 등지에서 수학하던 시기, 영남의 민은 잦은 자연재해로 인해 정주(定住)와 생업 영위에 고통을 겪었고, 여기에 더해 수취제도의 맹점으로 인한 이중고까지 감내해야 했다.
김종직은 민의 질고에 깊이 밀착하고 진정성 있게 공감하는 자세를 확장하여, 그러한 질고가 초래된 이면의 문제, 즉 수취와 구휼을 포함한 제도적 문제와 리(吏)·지방관의 무관심 등 계급적 문제에 주목하였다. 특히 민에 가장 밀착해 있는 ‘사’인 지방관이 무엇에 주안점을 두고 민생을 해결해야 하는지를 실천적 차원에서 제기하였다.
김종직은 ‘사’가 민의 생존본능을 지켜줌은 물론 그들의 정신적 안정을 도모하는 존재임을 명시하고, 그것이 일방적 시혜가 아닌 상보적 관계에 기반한 것임을 제시하였다. 즉, 김종직의 애민의식은 민의 삶에 대한 면밀한 공감과 비판적 시화라는 즉자적 차원에서 나아가, 민을 통해 능동적 애민의 주체로서 사의 역할과 존재의의를 구체적으로 발현하는 대자적 사의식의 구축으로 가시화된다는 점에서 애민시의 내적 전통에 새롭게 기여하였다.
This study re-examines the poems written by Kim Jong-Jik (金宗直) from his school days to the beginning of his bureaucratic life, and traces the process of expanding feelings of compassion and empathy for the people into self-consciousness of scholarship. When Kim Jong-Jik was a teenager studying in Miryang (密陽) and other places, the people of Yeongnam had difficulties in settling and living due to frequent natural disasters, and had to suffer from double trouble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tax system. It is meaningful that Kim Jong-Jik said that the people’s suffering began with institutional problems such as the collection and relief system and class problems such as the indifference of local public officials. To solve these problems, he asked questions about what policies local public officials closest to the people should pursue and what practical problems they are interested in, and sought answer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Kim Jong-Jik imagines the existence of a scholar as one who not only protects the survival instinct of the people but also promotes mental stability, but is based o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In other words, Kim Jong-Jik’s public affection consciousness goes beyond an immediate level of closeness, empathy, and critical poetry to people’s lives to establish the role and meaning of his existence as an active subject of compassion. In this regard, it can be evaluated that it has laid a new foothold in the inner tradition of poem about one’s love for the people (愛民詩).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