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프랑스 지역학 강의에서 ‘교육과 연구를 위한 프랑스어(FE)’ 교육모델 적용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French Area Stuides courses Applying the ‘French for Education and Research(FE)’ Teaching Model
저자
김희경 (경북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99-418(20쪽)
제공처
목적 본 연구는 프랑스 지역학 강의에 특수 목적성을 띤 프랑스어(FOS) 교육 방법론 중 ‘교육과 연구를 위한 프랑스어(FE)’ 교육모델을 적용하여, 국내 대학의 프랑스어 교육이 일상 회화 중심에서 전문적이고 실용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방법 K대학 불어불문학과 전공학생을 대상으로 2023년 2학기 ‘프랑스와 유럽연합’ 강의에서 FE 교육모델에 기반한 단계별 학습을설계하고 적용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3, 4학년 재학생 총 12명으로, 이들은 유럽언어 공통참조기준 (CECRL) A2 수준의 프랑스어 능력을 갖춘 학습자들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별 토론을 바탕으로 한 문서 독해, 한국어 및 프랑스어 요약, 프랑스어 개별 발표 활동을 점진적으로 심화하는 학습과정을 설계해 적용하였다. 연구 자료는 학기 초 사전 설문조사, 강의자료 및학습자 과제물, 학기 말 개별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고, 삼각검증기법(triangluation)을 활용한 질적 내용분석을 통해 학습자들의학습 성취도와 교수⋅학습 방법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성과와 한계점이 확인되었다. 첫째, 단계별 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의 유럽연합에 대한 이해도가향상되었고, 조별 토론과 발표 활동이 지식 습득과 개념 정리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 용어 습득과 독해 능력이 개선되었으며, A2 수준의 학습자들도 반복학습을 통해 시사⋅학술 어휘를 효과적으로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었다. 셋째, 말하기와 작문과 같은 언어 생산 능력 면에서 한계점이 드러났다. 학습자들은 조별 활동에서 일정 수준의 프랑스어 발화가 가능했으나, 개별 활동에서는 자동번역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고 구어적 표현과 논리적 작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넷째, 비판적 사고력은 향상되었으나, 프랑스어 표현 능력의 부족으로 사고의 깊이를 언어적으로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FE 교육모델의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첫째, 대학 내 프랑스 지역학 수업에 FOS 교육모델의 체계적 도입의필요성, 둘째, 학습자의 언어 생산 능력 강화를 위한 교수⋅학습법 개발, 셋째, 학습자 수준과 관심사를 고려한 교육자료 개발(인공지능 기술 활용 포함)을 제언하였다. 본 사례연구의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으나, 도출된 교수⋅학습 전략은 국내 대학 프랑스어 교육의 실용적⋅전문적 발전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pply the French for Education and Research(FE) educational model, a methodology within French for Specific Purposes(FOS) Education, to a French Area Studies course. By doing so, it seeks to pro pose ways for French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to transition from a focus on daily conversation to a more professional and practical approach.
Methods This case study designed and implemented a staged learning approach based on the FE educational model for the “France and the European Union” course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23, targeting French lan guage and literature majors at K University.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sisted of 12 third and fourth-year stu dents with French language proficiency at the A2 level according to the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CECRL). The study applied a progressive learning process that incorporated document reading based on group discussions, summarizing in both Korean and French, and individual presentations in French. Research data was collected through pre-semester surveys, teaching materials, student assignments, and end-of-semester individual interviews, and was evaluated throug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using triangu lation to assess student achieve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identified the following major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First, the stage-based learning enhance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European Union, and group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proved effective for knowledge acquisition and concept clarification. Second, acquisition of specialized terminol ogy and reading comprehension improved, with even A2-level learners effectively acquiring and utilizing current affairs and academic vocabulary through repeated learning. Third, limitations emerged in language production skills such as speaking and writing. While students could produce a certain level of French utterances in group ac tivities, they showed high dependence on automatic translation tools in individual activities and struggled with oral expressions and logical writing. Fourth, although critical thinking skills improved, students were limited in linguis tically articulating the depth of their thinking due to insufficient French expression abilities.
Conclusion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FE education model, this study suggests: first, the systematic in troduction of the FOS education model into French area studies courses at universities; seco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strengthen learners' language production abilities; and thir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considering learners' levels and interests (including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 nology). Although there ar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is case study, the deriv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practic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French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