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삼국사기 ⋅ 삼국유사 를 통해 본 고대의 한국역학 = Understanding The I Ching in Ancient Korea as seen through Samguk Sagi and Samguk Yusa
저자
구미숙 (창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7-103(27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글은 한반도 고대사를 기록하고 있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통해 고대 한국역학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두 역사서는 주된 내용이 역사적 사건을 정리한 것이기에 본 연구의 주제인 역학(易學)과 관련된 자료를 찾는 일은 쉽지 않았다. 이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한반도의 삼국 시기, 구체적으로는 6~7세기에서 후삼국 시대인 10세기까지 각 나라는 「문왕 팔괘도」의 방위와 8괘의 의미를 일상에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둘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한대 상수역의 재이설과 관련된 자료가 많았다. 재이설은 엄밀한 의미에서 역학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지만, 넓은 의미로는 역학으로 볼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수록된 역학 관련 자료는 한대 상수역, 경방(京房)과 초공(焦贛)의 역학, 왕필(王弼)의 역학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삼국 모두 경서(經書)로는 5경(五經)과 3사(三史)를 주로 읽었다. 백제에서는 송나라에서 초공의 역림과 식점(式占)을 들여왔고, 신라의 태학에서는 주역이 교과목이었지만 독서삼품과에서는 과목에 포함되지 않았다. 한편 주역 관련 주석서는 정현(鄭玄)과 왕필의 것이 사용되었다고 추정한다. 넷째, 삼국유사의 「가락국기」 좌지왕 기사에 유일하게 시초점을 친 사례가 나온다. 이 사례는 어떤 사건을 두고 「역경」에 조언을 구하는 전형적인 형식을 취하고 있다. 삼국이 아니라 가야에서 주역의 시초점을 사용한 것이 다소 의외였으나, 그 사용방식은 좌전의 예시와 비교하여도 조금도 부족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다른 경서와 달리 점서(占書)라는 독특한 특징을 지닌 주역은 삼국시대 경전으로 받아들여지고 학습되었음에도 주역에 대한 해석이나 평가 등의 이론적 탐구보다 더욱 실증적으로 사용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aim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understanding the I Ching in ancient Korea through Samguk Sagi(三國史記) and Samguk Yusa(三國遺事), which record the ancient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main content of the two history books is a summary of historical events, it was not easy to find data related to understanding the I Ch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Despite these difficulties, this study was based on data directly related to the I Ching from Samguk Sagi and Samguk Yusa, but also included materials related to the theory of omen(災異說) in the Han Dynasty into the category of understanding the I Ching in a broad sense. As a result, we were able to find sever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on the Korean Peninsula, specifically the 6th to 7th centuries, to the 10th century during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each country was using the directions and meanings of the eight trigrams in the “The eight trigrams of King Wen(文王八卦)” by applying them to daily life. Second, there are many materials related to the omen theory of the Han Dynasty in Samguk Sagi and Samguk Yusa. Although the theory of omen that draws on the theory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to interpret it does no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 Ching in a strict sense, the period in which the Three Kingdoms were active was, in China, since it overlaps with the Han Dynasty and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it can be fully assumed that China's main the I Ching’s ideas flowed into and influenced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context, the data related to the I Ching’s ideas contained in Samguk Sagi and Samguk Yusa appear to be deeply related to the Sangsu Divination(象數易) in the Han Dynasty, the I Ching research of Gyeong Bang(京房), Cho Gong(焦贛) and Wang Pil(王弼). Third, all three kingdoms mainly read the Five Classics and the Three History Books as scriptures. In Baekje, Cho Gong's Yeokrim(易林) and Sikjeom(式占) were imported from the Song Dynasty, and in Silla's Taehak, the I Ching was a subject, but it was not included as a subject in the Department of Readings. Meanwhile, the commentary related to the I Ching presumes that Jeong Hyeon(鄭玄) and Wang Pil's were used. Fourth, the only example of the use of yarrow stalks appears in the article about King Jwaji in Garakgukgi in Samguk Yusa. This case takes the typical form of seeking advice from the I Ching regarding a certain incident. It was somewhat surprising to see that the use of yarrow stalks was Garakguk rather than Three Kingdoms. Lastly, it can be confirmed that, unlike other scriptures, the I Ching, which has the unique feature of being a book of fortune-telling, was accepted and studied as a scriptur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but was used more empirically than theoretical research such as interpretation or evaluation of the I Ching.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