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경산소월리출토목간」의 내용과 서체 = Contents and Handwriting of 「Mokkan Excavated from Sowol-ri, Gyeongsa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81-618(38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Mokkan(wooden tablet) excavated from Sowol-ri, Gyeongsan」 is a Yajang(野帳), which means a field investigation record of agricultural products ; it was related to the imposition system of tax on farmland per village unit. The shape of Mokkan is cylindrical-tag-type, it is the longgest Mokkan in existence. The name of place were countyies, the village units of a lower rank than several villages such as ‘Gammalgok(甘末谷)’, ‘Gumigok(仇弥谷)’, ‘Naedogok(乃刀谷)’, ‘Hajisigok(下只尸谷)’, Sangjisigok(上只尸谷), ‘Gongmunmijin(谷門弥珎)’, ‘Nae-ri(內利)’ and ‘Gurigok(仇利谷)’. The location of land was at Gongmunmijin and ‘Nae-ri(內利)’. Land classification were divided into ‘Sang-jeon(上田: good-level-land)’, ‘Ha-jeon(下田: poor-level-land)’ and so on. The classification of land was agricultural land such as paddy(畓), field(田) and slash-and-burn field(火田). The unit of products output was used as ‘Gyeol(結)’, ‘Bu(負)’.
「Mokkan excavated from Sowol-ri, Gyeongsan」 is a Yajang(野帳), a field investigation record of agricultural products. It contains the contents to research and record agricultural output, based on the imposition system of tax on farmland per unit area, such as ‘paddies with irrigation facilities’ to boost agricultural production and an output of slash-and-burn agriculture. The shipment record of agricultural production is the regional output management document to collect taxes.
「Mokkan excavated from Sowol-ri, Gyeongsan」 is a small record, however it shows the document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 from eight villages, people produced 13Gyeol(結: meaning 100Bu(負)) and 30Bu(負), from 205,452㎡(about 62,258pyeong(a measurement unit of area in Korea), 311Majigi, 1330Bu, 53,200kg) ; from the whole output, they paid 5Gyeol and 40Bu as taxes(about the amount as produced from 8,3397.5㎡(25,272pyeong, 126Majigi, 540Bu, 21,672kg)). Government had built dikes, they collected about 40% of the output as tax. This is farmland tax rate of Silla period. It means that four rice bags(1Bu(負) or 1Jim(same unit as Bu), one bags of 40kg rough grains) were produced per one Majigi(Korean measurement unit of farmland). The output was about one-third output of modern agriculture.
「Mokkan(wooden tablet) excavated from Sowol-ri, Gyeongsan」 has similar writing style of 「Mokkan excavated from Haman Seongsansangseong fortress(592)」. Particularly, the old writing style of Sagyeong, which had been popular in 6th century, served as a good reference ; Sagyeong(寫經) is Buddhist rituals of the manual transcription process of the Buddhist sutra. From the features above, this Mokkan can be regarded as the record of late 6th century
「경산소월리출토목간」은 고을단위로 생산된 농산물을 결부제로 현장조사기록한 야장(野帳)으로 생각된다. 목간의 형태는 원주형꼬리표목간으로 현재 전하는 목간 중에서 가장 길다. 지명은 ‘감말곡(甘末谷)’・‘구미곡(仇弥谷)’・‘내도곡(乃刀谷)’・‘곡문미진(谷門弥珎)’・‘하지시곡(下只尸谷)’・‘내리(內利)’・‘구리곡(仇利谷)’・‘상지시곡(上只尸谷)’ 등으로 마을의 하위단위인 고을이다. 토지위치는 ‘곡문미진(谷門弥珎)’과 ‘내리(內利)’, 토지등급은 ‘상전(上田)’, ‘하전(下田)’ 등으로 구분하였다. 토지종류는 농경지로 답(畓)과 전(田), 화전(火田)이 있다. 생산량 단위는 ‘결(結)’・‘부(負)’ 등이 사용되었다.
「경산소월리출토목간」은 농업 생산량확대를 위한 관개수리답과 화전농업의 생산량 등을 결부제(結負制)에 따른 단위면적 당 농산물 생산량을 조사기록 한 야장(野帳)이다. 농산물생산출하관련 기록은 징세를 목적으로 기록하였을 것이다.
「경산소월리출토목간」이 작은 기록이지만 8개 지역에서 13결 30부(20만5,452㎡, 약 6만 2258평, 311마지기, 1330부, 5만 3200kg)의 생산량 중에서 5결 40부(8만 3397.5㎡=2만 5272평, 126마지기, 2만 1672kg)를 세조로 납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가에서 제방(堤防)을 제공하고 생산량의 약 40%를 세금으로 거둔 셈이 된다. 즉 신라의 농지세율은 약 40%이다. 생산량은 한 마지기에 조곡 40kg 포대(1부, 한 짐)로 4개가 생산되었다. 현재 3분의 1 수준의 생산량이다.
「경산소월리출토목간」은 「함안성산산성출토목간(592)」의 필법과 매우 유사한 필법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특히 6세기에 유행한 고식의 사경법이 많이 갖추어진 필법도 참고가 된다. 이런 특징을 통하여 이 목간은 6세기 후반으로 비정할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6 | 0.97 | 2.484 | 0.4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