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고려 명종대 外官 文武交差의 시행과 기원 = The Implementation and Origins of Wegwan Munmugyocha(外官 文武交差) in Local Government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明宗) of Goryeo
저자
최동녕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83-313(31쪽)
제공처
무신정변 직후에 시행된 외관 문무교차는 얼핏 보기에 지방사회의 혼란을 야기하는 그릇된 제도로 이해하기 쉽다. 하지만 당시 무신집정자들이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확대만큼이나 지방사회의 안정화도 필수적인 과업이었다. 그러한 입장에서 바라보면 이때 시행된 외관 문무교차가 지방제도의 운영 차원에서 나름의 효과적인 면도 있었다.
무신정변을 통해 권력을 장악한 무신집정은 1173년(명종 3)에 경・목・도호부를 비롯해 일반 군현과 관・역에 이르기까지 무인을 병용하는 외관 문무교차를 단행하였다. 이는 어느 한 지역에 대하여 문반과 무반이 고르게 임명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이러한 원칙은 군현 단위뿐 아니라 서경의 분사기구, 양계 주진의 분도원 등 폭넓게 적용되었다. 하지만 늦어도 고종대 이후부터는 문무반의 균등한 임명 원칙이 깨지고 현실적인 여건에 맞게 조정되었다.
명종대 초기에 문반과 무반이 고르게 임명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 외관 문무교차는 김보당의 난이 발생하면서 기원하였다. 김보당의 난은 기본적으로 문반관료가 중심이 되어 일으킨 反무신란의 성격을 지닌다. 동북면에서 시작된 난으로 인해 전국 각지의 외관은 난에 동조하거나 호응하였는데, 그 대부분이 문반 출신이었기에 무신집정자들에게는 상당한 위협으로 다가왔다. 이에 김보당을 붙잡아 처형한 후 불과 한 달도 지나지 않아서 남방의 수령들을 상당수 축출하고, 의종을 시해하고, 외관 문무교차를 전격 단행하였다. 이의방 자신은 知兵部事를 겸하여 외직으로 보낼 무반을 선별하면서 잠재적 위협이 될만한 요소들을 모두 제거하였다. 따라서 외관 문무교차는 문반과 무반을 균등하게 파견함으로써 외지에서 문・무반의 상호 견제를 통해 혹시 있을 거병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At first glance, the system of Wegwan Munmugyocha in local government positions, implemented shortly after Musin Jeongbyeon(武臣政變), may seem like a misguided policy that caused disorder in local society. However, for the military rulers at the time, stabilizing local society was just as essential as expanding their power base in order to maintain their regime. Viewed from that perspective, the implementation of Wegwan Munmugyocha had its own practical effectiveness in terms of managing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In 1173 (the 3rd year of King Myeongjong’s reign), the military government, which had seized power through the Musin Jeongbyeon, implemented the Wegwan Munmugyocha system throughout various administrative units, including the Gyeong(京), Mok(牧), and Dohobu(都護府), as well as ordinary counties and prefectures, and even government stations and posts. This system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appointing both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equally to each region. If the head official, such as a governor or magistrate, was a civil official, then the deputy, such as a vice-governor or assistant magistrate, would be a military official, and vice versa. This principle was applied not only at the county and prefectural level but also extended broadly to administrative organs in the Seogyeong(西京), military commands in Yanggye(兩界), and Bundowon(分道員). However, by the reign of King Gojong(高宗), the principle of balanced appointments between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began to break down and was increasingly adjusted to suit the realities of the time.
The immediate origin of the Wegwan Munmugyocha policy, implemented in the early Myeongjong(明宗) period, can be traced back to the rebellion led by Kim Bo-dang(金甫當). This rebellion was essentially an anti-military uprising led by civil officials. Originating in the northeastern frontier, the rebellion inspired support and responses from local officials across the country, most of whom were from the civil bureaucracy, posing a significant threat to the military rulers. In response, after capturing and executing Kim Bo-dang, the military government dismissed many local officials in the southern regions, executed the deposed king Uijong(毅宗), and swiftly carried out the Wegwan Munmugyocha policy—all within the span of a month. Lee Ui-bang(李義方), one of the key military leaders, personally oversaw the selection of military officials to be dispatched to local posts, ensuring that all potential threats were eliminated.
Thus, while the Wegwan Munmugyocha system did serve to expand the power base of the ruling military elite, it also had a crucial purpose: preventing potential uprisings by ensuring mutual surveillance and checks between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in local areas. For the ruling military government at the time, stabilizing local society was as critical a task as consolidating political power.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