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구강 편평태선의 악성 변이 예측을 위한 표지자 발굴 = The Identification of Biomarkers for Predicting Malignant Transformation of Oral Lichen Planus
저자
조은규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병리학교실) ; 주시유 (전남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구강병리학교실) ; 김옥준 (전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지(The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6(16쪽)
제공처
Oral Lichen Planus (OLP) is a T-cell-mediated autoimmune disease, with the reticular type being the most common among its subtypes, while the erosive type is known to have a relatively higher risk of malignant transformation. The reticular subtype of OLP has a low risk of malignancy, whereas the erosive subtype has a higher risk, leading to a debate on whether OLP should be considered a precancerous lesion. On the other hand,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is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 occurring in the oral cavity. It often originates from precancerous lesions, and due to its often unclear early symptom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early diagnosi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alivary biomarkers associated with malignant transformation from OLP to OSCC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review was conducted using the PubMed and Google Scholar databases, focusing on the last 20 years. The search keywords used were "Oral lichen planus reticular," "Oral lichen planus erosive,"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and "Biomarker."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a total of 48 biomarkers showed increased or decreased expression in OLP-reticular, 43 in OLP-erosive, and 54 in OSCC. There were 27 common biomarkers between OLP-reticular and OLP-erosive, and 11 common biomarkers between OLP-erosive and OSCC. Nine biomarkers were common across OLP-reticular, OLP-erosive, and OSCC. Among the 27 biomarkers showing a shift from OLP-reticular to OLP-erosive, TNF-α, IL-1β, IL-6, IL-8, and TBARS were observed to increase in expression as the condition progressed from OLP-reticular to OLP-erosive. The nine biomarkers involved in the transition from OLP-reticular to OLP-erosive and subsequently to OSCC were TNF-α, IL-1α, IL-1β, IL-6, IL-8, CD44, MMP-9, Catalase, and Survivin. Notably, Survivin was found to decrease in expression in both OLP-reticular and OLP-erosive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but its expression increased in OSCC, making it the most noteworthy biomarker.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