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가 노인을 위한 양생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Background and purpose : Yansaeng, which has been used in our daily life
for a long time, is not only easily accessible by the elderly, but also has
different uses depending on the type of constitution, life cycle, seasons, diseases,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Yangsaeng program based on
Pender's (1996) health promotion model to improve Yangsaeng for the elderly at
home and to evaluate the application effect.
Methods :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ogram for the
elderly at home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model. First, in the analysis phase,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to analyze implication and strategy of
Yangsaeng program. In addition, thirty elderly people were surveyed regarding
their educational needs.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stage, the program's
goals were set and the program's intervention and strategy were designed. The
intervention of the Yangsaeng program consisted of moral, mental, diet, activity
and relaxation, exercise, sleep, season, sex life education, qigong
therapy(badanjin) and meridian massage. Also, the program changed the
strategies of the perceived benefits of action, the perceived barriers to action,
the perceived self-efficacy, and the social support. Third, the content validity
index (CVI) was checked by experts on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program, after receiving user feedback, the final draft of the program was
completed. Yangsaeng program were developed for each 16 sessions (2 times a
week for 8 weeks). Fourth, in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developed programwas distributed and examined.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32 at-home
elderly who used the Senior Welfare Center D. The control group was 32
home-made elderly who used the Y Comprehensive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Fifth, for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perceived benefit of action, perceived barriers to action, perceived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and Yangsaneg were investigated. The collected data of this
study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WIN 24.0 program, and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and 2-way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 :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irst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Yangsaeng program for the elderly at hom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benefit of action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hypothesis was supported(F=4.28, p=.043). The secon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Yangsaeng program for the
elderly at hom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barriers to
action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hypothesis was supported(F=4.30, p=.042).
The third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Yangsaeng
program for the elderly at hom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self efficacy than the control group, thus this study supported the
hypothesis (F=9.28, p=.003). The fourt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Yangsaeng program for the elderly at hom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than the control group, so the
hypothesis was supported(F=6.87, p=.011). As for the fift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Yangsaeng program for the elderly at
hom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Yansaeng than the control
group, the hypothesis was supported(F=679.70, p<.001). As a result of
Yangsaeng's subdoma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morality yangsaeng
(F=242.04, p<.001), mind yangsaeng(F=316.66, p<.001), diet yangsaeng(F=375.86,
p<.001), Activity & rest yangsaeng(F=288.32, p<.001), exercise
yangsaeng(F=288.34, p<.001), sleep yangsaeng(F=175.60, p<.001), seasonal
yangsaeng(F=114.28, p<.001) showed that the cur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i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life yangsaeng(F=2.83, p=.098).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nursing activities based
on Yangsaeng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s
well as holistic health in old age. In addition, i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sseminated and utilized in various clinical and local communities,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health promotion and health care improvement
effect of the elderly it would be helpful promotion health care improvement in
elderly. By applying Yangsaeng program, an oriental health management method,
to nursing,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field of
oriental nursing practice
양생(養生)은 건강유지와 장수를 위한 전통적인 건강증진행위이다. 동양철학의 천인합일(天人合一)과 형신합일(刑神合一)사상에 그 원리를 두고 있는 양생은 노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질별, 생애주기별, 계절별, 질환별 등에 따라 활용이 다르게 제시되어 있어 신체적, 정신적으로 병약한 노인에게 적합한 건강증진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 노인의 양생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양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효과를 평가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Pender(1996)의 건강증진모델을 근간하여 프로그램을 개발 및 평가하였으며, 프로그램을 통해 양생 행위에 대한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를 높이고, 지각된 장애성은 낮춤으로써 양생행위를 수행할 것을 전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ADDIE(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의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분석(analysis)단계에서 선행 양생 프로그램 분석, 이론기반의 전략 분석,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설계(design)단계를 통해 프로그램 목표 설정과 프로그램 중재 및 전략을 설계하였다. 이어 개발(development)단계를 통해 주차별 세부교안과 PPT 강의안, 소책자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자료는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방법에 대해 전문가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고 사용자 피드백을 거쳐 생활 양생교육, 기공과 안마를 활용한 전통 건신술(健身術)로 구성된 회기 당 90분 씩 주 2회, 총 16회기의 프로그램을 최종 확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행(implementation)단계를 통하여 재가 노인을 대상으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를 시행하였고, 평가(evaluation)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 측정을 위하여 중재 전후에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양생에 대한 설문조사와 프로그램 운영 방법과 관련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탈락자를 제외한 실험군 32명과 대조군 32명을 최종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2-way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제 1가설인 양생 프로그램을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지각된 유익성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이 지지되었다(F=4.28, p=.043). 제 2가설인 양생 프로그램을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지각된 장애성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이 지지되었다(F=4.30, p=.042). 제 3가설인 양생 프로그램을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이 지지되었다(F=9.28, p=.003). 제 4가설인 양생 프로그램을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사회적 지지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이 지지되었다(F=6.87, p=.011). 제 5가설인 재가 노인을 위한 양생 프로그램을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양생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이 지지되었다(F=679.70, p<.001). 양생 하위 영역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도덕수양(F=242.04, p<.001), 마음조양(F=316.66, p<.001), 음식양생(F=375.86, p<.001), 활동과 휴식양생(F=288.32, p<.001), 운동양생(F=288.34, p<.001), 수면양생(F= 175.60, p<.001), 계절양생(F=114.28, p<.001)은 대조군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여 양생 프로그램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생활양생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2.83, p=.098).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재가 노인을 위한 양생 프로그램은 양생행위와 관련된 인지와 감정을 변화시켜 양생실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재가 노인의 양생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DDIE의 절차에 따라 개발된 본 양생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현장 적용 가능성이 검증되어 한방간호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하였다. 추후 본 프로그램이 노년기 총체적 건강은 물론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건강증진 실무 지침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