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ministrative Implications of the 1979 Comprehensive Measures for Economic Stabilization in Korea = 政策改革의 決政과 執行 : 80年代 經濟安政化 施策을 中心으로
저자
Whang, In Joung (International Cooperation, Korea Development Institute)
발행기관
漢陽大學校 行政問題硏究所(The Research Institute for Public Administration Hanyang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86
작성언어
English
KDC
35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1-113(33쪽)
제공처
소장기관
80年代 韓國經濟는 刮目할 만한 成長과 發展을 가져 왔다.
技術開發과 生産性向上, 物價安定, 輸出伸張과 貿易收支黑字基調, 經濟成長 등은 韓國經濟의 構造的 탈 바꿈의 結果라고 할 수 있다.
즉, 80年代에 집요하게 推進해온 構造調整施策으로 이루어진 經濟安定化 綜合施策(1979.4.17字 發表)에 緣由한 것으로 理解된다.
이 安定化 施策은 비록 朴正熙大統領 末期에 論議·採擇되었으나 實際로 有效한 政策으로 執行된 것은 5共和國이 들어선 1981년 이후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安定化 施策의 內容이 重化學投資調整, 補助金止揚, 公正競爭의 普遍化, 部分的 輸入 自由化등이 기존의 政策基調에 根本的인 變革을 試圖하는 것이기 때문에 큰 抵抗을 받아 왔기 때문이다.
政策改革을 管理함에는 ① 與件變化에 適切히 適應할 수 있고, 適時의 決定이 이루어져야 하고 ② 經濟界나 社會의 積極的인 支持를 動員함으로써 政策執行을 效率化하는 것이다.
따라서 本 硏究는 安定化 施策에 대한 政策決定이 어떻게 適時에 效率的으로 이루어졌으며, 특히 問題의 發掘과 政策代案의 모색에 누가, 어떻게 참여하였는가?
또 政策改革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抵抗을 극복하기 위해서, 또 政策執行을 慣徹하기 위해서 필요한 調整役割을 어떻게 수행했는가를 集中的으로 고찰하였다.
構造調整을 위한 政策變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要因은 政治指導者와 改革主導官僚 사이의 同伴關係(partnership)에 달려 있었다.
특히 政策改革에 대한 最高責任者의 강력한 意志(commitment)는 새로운 安定化 施策이 단순한 公文上의 計劃(paper plan)이 아니고 實踐할 수 있는 具體的 行動計劃(action plan)이 되게 하였고 이를 執行하는데 必要한 調整機能을 촉진하는 條件이 되었다.
또한 改革主導官僚들의 政策提唱을 權威있은 國策硏究機關이나 學者들이 맞장구를 쳐주었던 要因이 크게 肯定的 寄與를 하였다는 사실도 看過할 수 없다.
安定化 施策의 執行은 물론 잘 짜여진 行政的 下部構造(administrative infrastructure)에도 힘입은 바 크지만, 무엇보다 特記할 것은 「經濟敎育」을 들 수 있다.
60年代, 70年代 韓國經濟의 成長의 지렛대 役割을 해 온 각종 特惠支援을 除去하려는 安定化 施策은 過去施策의 受惠集團(vested interest group)으로부터 엄청난 抵抗을 받아 왔다.
그것은 政府內에서 또 政府밖의 特定産業分野에서 그러했다.
이것을 克服하는데 각종 經濟敎育을 집요하고 꾸준히 推進하였다.
이러한 經濟敎育은 高度의 成熟欲求와 有能한 改革主導官僚들의 줄기한 努力의 結實이라 할 수 있다.
結論的으로 80年代 實施해온 安定化 施策은 韓國政府의 經濟運用(economec management)의 成功事例라 할 수 있다.
이러한 經濟運用은 科學的 接近에 의하여 이루어진다고 하기보다 오히려 藝術(art)의 경지라고 할 수 있다.
즉, 改革을 主導하는 사람(官僚)과 政治指導者, 組織·制度들의 行政의 下部構造, 官僚들의 熟情과 높은 敎育에 힘입은 國民들의 理解와 支持등 모든 要因이 잘 調和됨으로써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Ⅰ. Introduction
Ⅱ. How Decisions Were Made
1. Organizational Context of Policy Planning
2. General Procedures of Economic Policy-making
3. Decision Makers of CMES and Political Environment
4. Technical Aspects of the Policy-Making Process
Ⅲ. How Decisions Were Implemented
1. Intra-government Coordination
2. Mobilization of Societal Support
Ⅳ. Conclusion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