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경영학 학문분야에 대한 평가․인증 제도의 현황과 발전 방안 = Evaluation of Korean Business Program Accreditation and Future Directions
저자
손성진 (단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9-153(25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accreditation system of Korean business program, to evaluate its current level, and finally to suggest the developmental strategies and future directions for Korean business accreditation system. The directions and developmental strategies of Korean business accreditation suggested by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focusing university and business program, they must try to suggest newly vision and related business programs for the specialization, practical application, characterization, and globalization of business education with pride of responsibility organization in higher education innovation. In focusing government, government must guarantee the autonomy of universities and business programs, enlarge related business plans, and stop doing evaluation with quantitative short-term indicators. In focusing Korean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KABEA), it must complete successful Korean accreditation system that is well-fitted in the Korean circumstance with enlarged participation of Korean universities, securing financial independence and build a brand as a representative agency of international business accreditation. In order to establish business program accreditation systems successfully, education-quality trilogy must collaborate on establishment of strategy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PMS) that is balancing quantitative/qualitative indicators and short-term/long-term indicators. I believ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making developmental strategies of Korean business accreditation.
더보기이 연구는 고등교육기관, 감독당국, 외부전문평가기구로 구성되는 교육품질삼위일체의 관점에서 미국, 유럽, 일본의 기관 및 프로그램 평가인증제를 검토하여 최근까지의 현황을 살펴보고 현 시점에서 한국의 경영학 학문분야 평가인증제에 대한 수준을 평가하여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경영학학문단위)은 고등교육혁신의 1차 책임기관이라는 인식과 함께 경영학교육의 전문화(경영·회계전문인력양성), 특성화(융·복합교육 및 창의인재양성), 실용화(현장중심교육 및 맞춤형인재양성), 국제화(글로벌인재양성)와 같은 교육혁신전략을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감독당국(정부)은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대학운영의 자율성을 보장해주어야 하고 대학과 학문단위 교육혁신전략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관련 사업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야 하며 현행 단기·정량지표중심의 평가방식을 지양해야 할 것이다. 외부전문평가기구(경인원)는 한국대학의 참여확대, 재정독립성확보, 아시아 지역 국가와의 교류확대 등 보다 실효성 있는 노력을 통해 경영학분야 대표전문평가기구로서의 브랜드를 구축하여야 한다. 한국의 경영학 학문분야 평가인증제가 보다 더 성공적으로 정착하려면 교육품질삼위일체의 노력은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정성·정량지표, 장·단기지표가 균형을 이루는 전략적 성과관리시스템으로서의 평가인증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를 보다 원활히 운영하기 위한 교육품질삼위일체의 상호 협력적 노력이 전제될 때 경영학학문분야의 교육품질은 보장될 것이고 국제통용성도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2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경영교육논총 -> 경영교육연구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9 | 1.39 | 1.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 | 1.28 | 1.351 | 0.5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